1. 개요
본 문서에서는 홋카이도에서 발생되는 지진에 관해 다룬다.홋카이도 동부 태평양 연안지역은 최대 M9대까지의 지진 발생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상태이며, 동 연구에서 30년 내로 M7.8~8.5의 대지진이 80% 확률로 일어날수 있다는 결과도 도출되어 있어 현지 거주자 및 방문예정자, 현지 정계 및 학계 관계자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특히 화산까지 있는 홋카이도 특성상 방문 예정자의 경우 반드시 대량의 비상용 장기보존식량과 이를 아끼기 위한 단기섭취용 식량, 식수가 담긴 용기, 식수로 쓰지 않는 대신 단수 상황하에서 손을 씻거나 상처부위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등의 위생목적의 수돗물이나 그걸 담을 빈 용기가 포함된 생존물자와 재난용 라디오, 보조배터리, 휴대용 발전기, 핫팩[1] 또는 아이스팩[2], 텐트[3], 구급키트[4], 부수기재로 부목 등을 배낭에 넣어 필참해야 한다. 야전침대 겸용 야전들것도 일단 있으면 좋다. 대지진의 여파로 인접 화산이 덩달아 대폭발하는 경우가 있으니 재가 눈에 들어갈 일이 없는 안면형(얼굴 전부를 눈까지 완전히 덮어 보호하는 형태)이나 두건형 형태의 방독면도 있는게 좋다.
2. 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03년 9월 26일, 홋카이도 도카치 앞바다서 규모 8.3과 진도 6강, 255cm의 해일을 동반한 지진이 발생했다. 이는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5] 발생 이전까지 일본이 21세기에서 관측한 최대 규모이다.
3. 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04년 11월 29일, 2003년 도카치 지진의 유발지진이라고 생각하는 규모 7.1, 진도 5강의 강한 지진이다. 해일주의보도 발표되었다. [6]
4. 2016년 홋카이도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6년 홋카이도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6년 홋카이도 지진#|]][[2016년 홋카이도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16년 6월 16일, 홋카이도 남부 우치우라 만에서 규모 5.3, 진도 6약의 지진이 발생했다.
5. 2018년 이부리 동부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18년 9월 6일, 홋카이도 남부서 규모 6.7, 진도 7의 대지진이 발생했다.[7]
6. 2019년 홋카이도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9년 홋카이도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19년 홋카이도 지진#|]][[2019년 홋카이도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16년 6월 16일,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서 규모 5.8(발표 당시 5.7), 진도 6약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의 여진으로 간주한다.
7. 2023년 쿠시로 근해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년 홋카이도 쿠시로 근해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년 홋카이도 쿠시로 근해 지진#|]][[2023년 홋카이도 쿠시로 근해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3년 2월 25일 22시 27분,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동남동쪽 62km 해역에서 규모 6.1, 진도 5약의 지진이 발생했다.
8. 2023년 우라카와 동부 지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년 홋카이도 우라카와 지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3년 홋카이도 우라카와 지진#|]][[2023년 홋카이도 우라카와 지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겨울철 홋카이도는 강원북부를 넘어 러시아급으로 춥다.[2] 여름엔 더우니 필요하다.[3] 어느 나라든지 다 그렇지만 일본 역시 정부 텐트는 모자랄 수 있다.[4] 상처 지혈용 지혈대와 거즈, 붕대, 드레싱, 밴드, 생채기에 쓸 연고와 상처소독용 알콜 소독패드(과산화수소수는 독극물로 분류되어 어느 나라 항공사던지 간에 반입금지 대상이다) 및 물건소독용 알콜스왑 티슈(모두 현지법상 일반인 소지및 사용이 가능하며 기내반입이나 위탁이 가능한 경우로 한정)를 포함해 구성해야 한다.[5] M9.1, 최대 진도 7을 관측하고, 무려 40.57m의 쓰나미도 발생[6] 홋카이도 남동부, 쿠릴 열도 50cm[7] 진도 7 신설 이후 역대 6번째 지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