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6 23:02:39

환황룡 스파이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환황룡
,
,
,
,
,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일반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6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환황룡 스파이럴,
일어판명칭=<ruby>幻煌龍<rp>(</rp><rt>げんおうりゅう</rt><rp>)</rp></ruby>スパイラル,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Dragon,
레벨=8, 속성=물, 종족=환룡족, 공격력=2900, 수비력=2900,
효과외1=치열한 전와를 거친 맹렬한 용. 상처 입은 그 몸은 옛적의 빛에 닿아\, 침와를 이루었다. 이윽고\, 용은 그 날개를 펼쳐\, 천와를 제압하는 찬란한 빛이 된다. 그 새롭고 찬란한 빛은\, 꿈일까 현실일까 환상일까.)]
ferocious serpent that was being hunted by Atlanteans. Battle-weary and ragged, it came upon an ancient light, and gained new strength for its battle. With its increased power, it launched an invasion of enemy territory with a renewed assault.
해황 세력에게 사냥당하던 사나운 뱀. 전와에 지치고 상처 입은 그 뱀은 고대의 빛을 발견하여, 전와를 위한 새로운 힘을 얻게 되었다. 강력해진 침와로서, 그것은 새로워진 천와와 함께 적의 영토를 침략하기 시작한다.
북미판 플레이버 텍스트

메타파이즈 암드 드래곤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한 최상급 환룡족 일반 몬스터.

원본으로 추정되는 스파이럴 드래곤과 종족을 제외한 모든 능력치가 일치한다. 일반 몬스터로서의 단점도 스파이럴 드래곤과 공유하나, 환황룡 장착 마법으로 강화될 수 있고 덱 / 묘지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타점 담당으로서의 가치는 있다. 그러나 자체 특수 소환이 불가능한 이런 최상급 메인 덱 몬스터는 패 말림을 쉬이 유발한다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고, 환황룡 스파이럴 역시 예외는 아니다. 게다가 일반 몬스터 기믹은 하급 일반 몬스터와 환황룡 토큰만으로도 어느 정도 소화할 수 있기도 하다. 그래서 환황룡 테마의 유일한 몬스터라는 점이 무색하게도 채용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플레이버 텍스트환황룡의 전와, 환황룡의 침와, 환황룡의 천와 순으로 환황룡 함정 카드들의 이름이 순서대로 언급된 것을 보면 해룡이었던 스파이럴 드래곤환황의 도시 퍼시피스에서 고대의 빛에 접촉해 환계돌파한 모습으로 보인다. 이것은 영문판 플레이버 텍스트에서도 재현되어 있다.
수록 시리즈
2017-01-14 |
[[일본|]][[틀:국기|]][[틀:국기|]] MACR-JP028 | マキシマム・クライシス [ MAXIMUM CRISIS ]
2017-04-11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MACR-KR028 | 맥시멈 크라이시스
2017-05-05 |
[[미국|]][[틀:국기|]][[틀:국기|]] MACR-EN028 | MAXIMUM CRISIS

2.2. 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幻煌龍 スパイラル(TB0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레전드=,
한글판명칭=환황룡 스파이럴,
일어판명칭=<ruby>幻煌龍<rp>(</rp><rt>げんおうりゅう</rt><rp>)</rp></ruby> スパイラル,
영어판명칭=Phantasm Spiral Dragon (미발매),
레벨=8, 속성=물, 종족=환룡족, 공격력=2900, 수비력=2900,
효과외=치열한 전와를 거친 맹렬한 용. 상처 입은 그 몸은 옛적의 빛에 닿아\, 침와를 이루었다. 이윽고\, 용은 그 날개를 펼쳐\, 천와를 제압하는 찬란한 빛이 된다. 그 새롭고 찬란한 빛은\, 꿈일까 현실일까 환상일까.)]

일반 몬스터임을 고려해야 겠지만 이례적으로 OCG 9기에 해당하는 카드가 러시 듀얼에 그대로 들어왔다.

공격력은 푸른 눈의 백룡에 못미치지만, 그래도 퓨전 몬스터 정도는 전투로 상대할 수 있다. 수비력은 백룡보다도 높으니 표시 형식 변경에 강하다는 차별점도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는 역시 환룡족 덱에서 일반 몬스터 서포트를 받아가며 운용하게 될 것이다. 환인룡 빌드 드래곤으로 되살릴 수도 있고, 환괴병 카세츠 바이텐이나 환인보초 드래그라인에도 대응한다. 종족이 다르기는 해도 레전드 매지션으로 회수해올 수도 있으니 해당 카드의 묘지 덤핑 역시 환룡 덱에서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3-06-24 |
[[일본|]][[틀:국기|]][[틀:국기|]] RD/TB01-JP063 | トリプルビルドパック ゴッドブレス・ウィング
2023-09-20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RD/TB01-KR063 | 트리플 빌드 팩 갓브레스 윙

3. 관련 카드

3.1. 스파이럴 드래곤

3.2. 환황룡의 스파이럴 크래시

3.3. 환황룡의 스파이럴 홀드

3.4. 환황룡의 스파이럴 웨이브

3.5. 환황룡의 천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1 (이전 역사)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