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09:57:29

황재훈(고고학자)

황재훈
Hwang Jae Hoon
파일:황재훈(고고학자)1.jpg.jpg
출생일 1979년
학력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 / 학사)
전남대학교 대학원 (인류학 /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고고학 전공 / 박사)
현직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약력 전남대학교 박물관 연구원
국립나주문화재 연구소 연구원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학예연구원
경희대학교 객원교수
지린대학 변강고고연구센터 교환연구원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전임연구원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

1. 개요2. 생애3. 연구주제4. 저술 및 연구실적
4.1. 주요 저역서4.2. 기타 활동
5. 기타

1. 개요

대한민국고고학자.

2. 생애

1979년에 전라남도 해남에서 태어났다. 2003년에 전남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남서부지역 마제석촉의 변천과정」으로 2005년에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 부여군문화재보존센터 조사팀장,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학예연구원, 객원교수, 지린대학 변강고고연구중심 연구원을 거쳐 경희대학교 사학과에서 2014년에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무문토기시대 전기 사회의 상호작용과 문화변동」[1]이다. 이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전임연구원을 거쳐 2017년에 충남대학교 고고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3. 연구주제

주 연구 분야는 한국 청동기시대 고고학이다. 세부 연구로는 한국 청동기시대의 토기문화와 편년, 인구 분포 변동, 묘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

4. 저술 및 연구실적

*황재훈, 2021, 「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영남고고학』 90, 영남고고학회
*황재훈, 2021, 「호서지역 청동기시대 무덤의 특징과 전개」, 『호서고고학』 48, 호서고고학회
*황재훈 공저, 2020, 「충청, 전북지역 적색마연토기의 제작기술적 특징과 성격」, 『호서고고학』 46, 호서고고학회

4.1. 주요 저역서

4.2. 기타 활동

5. 기타



[1] 2014 경희대학교 최우수 학위논문상[2] 충청타임즈, 2021년 1월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