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6 17:09:14
𭎞 ⿰土豆 |
| <colbgcolor=#fff,#1f2023>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미배정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
미상 한자이다.
![파일:土豆.svg]()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豆(콩 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2D39E에 배당되어 있다.
duh 豆类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短(짧을 단)
- 浢(강이름 두)
- 𤞟[⿰犭豆](개가짖을 두)
- 梪(나무그릇 두)
- 𨁋[⿰𧾷豆](넘어질 두)
- 𢭃(네움큼 두, 짧을 단)
- 𥆖[⿰目豆](눈곱 두)
- 餖(늘어놓을 두)
- 侸(늘어진모양 두, 세울 수)
- 㛒(말더듬을 두)
- 脰(목 두)
- 𩊪[⿰革豆](수레에까는자리 두)
- 鋀(술그릇 두)
- 䄈(음복하는음식 두)
- 㤱(조금성낼 부, 엿볼 두)
- 裋(해진옷 수)
- 哣(거절하는소리 투/부)
- 𨹜[⿰⻖豆](높을 투)
- 䛠(머뭇거릴 투/두)
- 䱏(물고기이름 투)
- 𥺉[⿰米豆](두)
- 𭴧[⿰火豆]
- 𰖉[⿰日豆]
- 𪻡[⿰⺩豆]
- 𥐍[⿰短豆]
- 𬗖[⿰糸豆]
- 𫑶[⿰酉豆]
- 𮝒[⿰車豆]
- 𪏄[⿰黃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