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13 05:21:28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화법과 작문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과목을 계승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화법과 작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11~'17 高1)
일반 과목
화법과 작문'11 ( / )'09 · 독서와 문법'11 ( / )'09 · 문학'11 ( / )'09 · 고전'11
■ '09는 제2009-41호로 2011년~2013년도 고교 입학생에 적용되었고, '11은 제2012-14호로 각론이 개정되어 2014년~2017년도 고교 입학생에 적용되었다.
■ 이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이 문서는 교과 문서입니다. 교과는 단순히 시험 상의 선택 과목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하는 문항 관련 트렌드나 콘텐츠(EBSi 연계 교재 등)에 대해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국어 영역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해당 문단 편집 시 유의 바랍니다.

1. 개요2. 목표3. 내용 체계
3.1. 화법 [지식]
3.1.1. 화법의 성격3.1.2. 화법의 요소3.1.3. 화법의 유형3.1.4. 화법과 매체 언어
3.2. 화법 [기능]
3.2.1. 수용과 생산3.2.2. 사회적 상호 작용3.2.3. 의사소통의 점검과 조정3.2.4.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3.3. 작문 [지식]
3.3.1. 작문의 성격3.3.2. 작문의 맥락3.3.3. 작문의 기능과 가치3.3.4. 작문과 매체 언어
3.4. 작문 [기능]
3.4.1. 작문 맥락의 파악3.4.2. 작문에 대한 계획3.4.3. 작문 내용의 생성3.4.4. 작문 내용의 조직과 전개3.4.5. 작문 내용의 표현3.4.6. 작문 과정의 재고와 조정3.4.7. 매체 자료의 변용과 생산

1. 개요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교육부에서 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법률적으로 고시하는 제2009-41호 그리고 제2012-14호 [별책5]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원문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1 ‘화법과 작문 Ⅰ’은 공통 교육과정의 ‘국어’ 과목 중에서 ‘듣기’, ‘말하기’, ‘쓰기’ 영역을 심화ㆍ발전시킨 과목이다.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통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행위는 개인적인 행위이자 사회적인 행위이다. 현대 사회가 지식 정보화 사회, 전문화 사회로 재편되면서 개인적·사회적 측면에서의 표현과 소통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이 과목에서는 화법, 작문의 본질과 특성을 살리면서,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화법은 말하는이와 듣는이가 생각과 느낌을 소통하여 협력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상호 교섭 행위이다. 화법을 통하여 우리는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대인 관계를 형성ㆍ유지ㆍ발전시키고, 정서를 교감하며 나아가 우리의 말 문화를 창조하여 나갈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소통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화법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익히어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사회가 전문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이러한 화법 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작문은 필자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구성하여 표현한다는 점에서 개인적 행위이며, 다른 사람과 소통하면서 구성된 의미를 발전시킨다는 점에서는 사회적 행위이다. 그래서 작문은 개인적 의사의 표명을 넘어, 사회·문화적 흐름에 참여하고 기여하는 언어활동이다. 작문 과정에 참여하는 필자는 제시된 문제를 창의적인 방식으로 분석ㆍ해석ㆍ비판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해결 방안을 찾아냄으로써, 자신의 의미 구성 능력을 신장할 수 있고, 나아가 사회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화법과 작문 Ⅰ’ 과목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둔다.}}}

2. 목표

화법과 작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목적과 상황에 맞게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절차와 전략을 익혀, 다양한 소통 맥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을 신장하고 바람직한 국어 문화를 창조하는 태도를 기른다.
가. 화법과 작문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나. 목적과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화법의 절차와 전략을 익힌다.
다. 작문 상황에 맞게 글을 쓸 수 있도록 작문의 절차와 전략을 익힌다.
라. 다양한 담화 활동과 글쓰기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가진다.

3. 내용 체계

3.1. 화법 [지식]

3.1.1. 화법의 성격

① 화법의 구두 언어적 성격을 이해한다.
② 화법의 상호 교섭적 성격을 이해한다.
③ 화법의 대인 관계적 성격을 이해한다.
④ 화법의 사회ㆍ문화적 성격을 이해한다.

3.1.2. 화법의 요소

① 화법에서 말하는이와 듣는이의 역할을 이해한다.
② 화법에서 전언의 기능을 이해한다.
③ 화법에서 시공간 및 사회ㆍ문화적 맥락의 기능을 이해한다.

3.1.3. 화법의 유형

① 참여자 구성에 따른 화법 유형을 이해한다.
② 의사소통 목적에 따른 화법 유형을 이해한다.
③ 의사소통 상황에 따른 화법 유형을 이해한다.

3.1.4. 화법과 매체 언어

① 면대면 소통과 매체 언어를 통한 화법의 차이를 이해한다.
② 매체를 통한 화법이 인간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한다.

3.2. 화법 [기능]

3.2.1. 수용과 생산

① 내용 구성
㉮ 개인적, 사회적 관심 분야에서 다양한 화제를 수집하고 탐구한다.
㉯ 의사소통의 목적과 참여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생성한다.
㉰ 담화 유형, 화제 특성, 상황에 알맞게 내용을 조직한다.
㉱ 배경 지식, 경험, 추론을 바탕으로 담화의 내용을 재구성한다.
㉲ 화법이 의미의 교섭 과정임을 알고 협력적으로 의미를 구성한다.
② 언어적ㆍ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
㉮ 언어적ㆍ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에 함축된 의미를 파악하며 듣는다.
㉯ 언어적ㆍ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의 적절성을 평가하며 듣는다.
㉰ 내용과 상황에 어울리는 낱말을 선택하여 말한다.
㉱ 상황에 따라 표준어와 비표준어를 구별하여 말한다.
㉲ 공식적인 상황에서 표준 발음으로 정확하게 말한다.
㉳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도록 어법에 맞게 말한다.
㉴ 목적, 대상, 상황에 따라 적절한 억양, 성량, 속도, 어조로 말한다.
㉵ 목적, 대상, 상황에 따라 시선, 표정, 몸짓 등을 적절히 조절한다.

③ 의사소통 전략
㉮ 의사소통의 목적, 상대의 처지 등을 고려하여 공감하며 듣는다.
㉯ 의사소통 참여자의 소통 방식과 의도, 상황 등을 추리하며 듣는다.
㉰ 의사소통 내용의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평가하며 듣는다.
㉱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인 규칙에 따라 의사소통에 참여한다.
㉲ 가치관이나 문화 차이 등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
㉳ 상대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 우리말의 문화적 전통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한다.
㉵ 의사소통의 시공간 및 사회ㆍ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

3.2.2. 사회적 상호 작용

① 참여자 인식
㉮ 상대의 수준, 요구, 태도 등을 분석한다.
㉯ 상황이나 상대에 따른 자신의 역할과 기여를 분석한다.
㉰ 가족과 친구 등 참여자 간의 관계, 참여자의 사회 계층ㆍ연령ㆍ성별ㆍ출생지 등을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② 대인 관계의 형성과 발전
㉮ 대인 관계가 지니는 중요성을 이해한다.
㉯ 대인 관계의 형성을 위한 사회적 상호 작용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 대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 해소나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 대인 관계의 발전에 기여하는 의사소통의 요소를 이해하고 활용한다.

③ 주도와 협력
㉮ 다수가 참여하는 의사소통에서는 주도자와 협력자의 역할이 필요함을 이해한다.
㉯ 의사소통 상황에 따라 주도자와 협력자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④ 말하기 불안 해소
㉮ 말하기 불안의 원인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한다.
㉯ 상대가 말하기 불안을 극복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3.2.3. 의사소통의 점검과 조정

① 수용과 생산의 점검과 조정
㉮ 내용의 확인, 추론, 비판, 평가와 감상 과정이 적절한지 점검하고 조정한다.
㉯ 내용의 생성, 조직, 표현 및 전달 과정이 적절한지 점검하고 조정한다.

② 사회적 상호 작용의 점검과 조정
㉮ 담화 참여자의 역할과 기여가 적절한지 점검하고 조정한다.
㉯ 담화 참여자 간의 상호 작용이 적절한지 점검하고 조정한다.

3.2.4. 매체를 통한 의사소통

① 여러 가지 의사소통 상황에서 매체 활용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②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표현한다.
③ 사적ㆍ공적인 언어생활에서 적절한 매체 언어로 소통한다.

3.3. 작문 [지식]

3.3.1. 작문의 성격

①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작문의 특성을 이해한다.
②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작문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③ 사회ㆍ문화적 실천 행위로서의 작문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작문의 과정 ====
① 작문의 심리적 과정을 이해한다.
② 작문의 일반적 절차를 이해한다.
③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작문의 절차를 이해한다.

3.3.2. 작문의 맥락

① 작문의 상황 맥락이 작문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② 작문의 사회ㆍ문화적 맥락이 글의 내용 선정, 조직과 전개,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③ 사회ㆍ문화적 상황이 공동체의 담화 관습과 장르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3.3.3. 작문의 기능과 가치

① 자기 성찰 과정으로서의 작문의 특성을 이해한다.
② 창조적 의미 구성으로서의 작문의 기능을 이해한다.
③ 문화 공동체 참여 행위로서의 작문의 가치를 이해한다.

3.3.4. 작문과 매체 언어

① 작문 과정에서 매체 언어가 어떻게 의미를 생성하는지 이해한다.
② 글의 전달과 사회적 파급력에 미치는 매체의 효과를 이해한다.

3.4. 작문 [기능]

3.4.1. 작문 맥락의 파악

① 작문의 목적, 주제, 독자 등 작문 상황을 분석한다.
② 작문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정보를 파악한다.
③ 작문 과정에서 지켜야 할 작문의 관습을 파악한다.
④ 공동체의 규범과 가치에 비추어 자기가 쓸 글이 미칠 영향을 인식한다.

3.4.2. 작문에 대한 계획

① 작문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찾고 분석한다.
② 작문 과정에 대해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한다.
③ 작문에 필요한 배경 지식을 준비하고 내용 생성을 계획한다.
④ 글의 제목이나 대략적인 내용을 떠올리고 내용 구조 및 전개를 계획한다.

3.4.3. 작문 내용의 생성

① 글의 제목과 중심 내용을 바탕으로 삼아 체계적이며 창의적인 사고 활동을 전개한다.
② 작문 상황 및 작문 계획에 맞게 글의 중심 내용을 조정하고 구체화한다.
③ 작문 계획과 생성한 내용을 비교ㆍ검토하여 생성한 내용을 수정ㆍ보완한다.
④ 작문 상황에 적합한 전략을 활용하여 중심 내용을 뒷받침할 세부 내용을 생성한다.
⑤ 생성된 내용을 검토하여 작문 계획을 조정하고 구체화한다.

3.4.4. 작문 내용의 조직과 전개

① 작문 맥락을 고려하여 글의 내용을 조직하고 전개한다.
② 글의 통일성과 응집성을 고려하여 내용을 조직하고 전개한다.
③ 내용 전개의 일반적인 원리를 고려하여 글의 내용을 전개한다.
④ 내용의 조직과 전개 과정에서 다른 글을 참조하여 활용한다.
⑤ 내용의 조직과 전개를 검토하여 필요에 따라 내용을 조정한다.

3.4.5. 작문 내용의 표현

① 작문 맥락과 작문 내용에 적합한 어휘와 문장을 선택하여 어법에 맞게 표현한다.
② 작문 맥락과 작문 내용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표현 기법을 활용한다.
③ 생성한 내용을 조직 및 전개 계획에 따라 초고로 작성한다.
④ 작문 맥락을 고려하여 작문 내용을 효과적이고 개성적인 문체로 표현한다.
⑤ 표현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그림이나 도표 등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⑥ 표현 과정을 점검하여 필요에 따라 작문의 내용, 조직과 전개 방법을 조정한다.

3.4.6. 작문 과정의 재고와 조정

① 작문의 맥락에 따라 초고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적절하지 않은 부분을 고쳐 쓴다.
② 작문의 과정, 글의 통일성과 응집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지 못한 부분을 고쳐 쓴다.
③ 작문의 각 과정에서 활용한 전략의 적절성 및 효율성을 평가하고 조정한다.
④ 고쳐 쓰기 과정을 검토하여 필요에 따라 글의 내용, 전개, 표현을 수정ㆍ보완한다.

3.4.7. 매체 자료의 변용과 생산

① 매체 언어의 특성을 고려하여 동일 내용 혹은 기존 매체 자료를 변용하여 표현한다.
② 목적, 수용자, 매체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매체 자료를 생산한다.
③ 매체를 통한 개인적ㆍ사회적 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