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북마케도니아 대통령 선거 Македонски претседателски избори 2024 | |||||||||
| 결선 투표 결과 | |||||||||
| {{{#!wiki style="margin: -0px -11.7px -5px" {{{#!wiki style="margin-top: -6px; margin-bottom: -8px" | 2019 선거 | → | 2024 선거 | → | 차기 선거 | ||||
| 일정 | 1차: 4월 24일 | |||
| 결선: 5월 8일 | ||||
| 투표율 | 1차: 49.91% ▲8.24%p | |||
| 결선: 47.47% ▲0.81%p | ||||
| 선거 결과 | ||||
| 후보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SDSM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 ||
| 1차 | ||||
| 41.21% 363,085표 | 20.49% 180,499표 | |||
| 결선 | ||||
| 69.01% 561,000표 | 30.99% 251,899표 | |||
| 당선인 | ||||
| | ||||
| VMRO-DPMNE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 ||||
1. 개요
2024년에 실시된 북마케도니아의 대통령 선거. 2024년 4월 24일에 1차 투표가 실시되며, 과반 투표자가 나오지 않아서 총선과 같은 날인 5월 8일에 결선투표가 실시되었다.현직 대통령인 스테보 펜다로프스키가 재선에 도전하는 선거이다.
2. 후보
| 후보명 | 정당 |
| 빌랴나 반코프스카 Билјана Ванковска | 무소속[1] |
| 아르벤 타라바리 Арбен Таравари | 알바니아인 동맹 |
| 스텝초 야키모프스키 Стевчо Јакимовски | GROM[2] |
| 부야르 오스마니 Бујар Османи | 통합을 위한 민주연합 |
| 막심 디미트리에프스키 Максим Димитриевски | ZNAM[3] |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Гордана Силјановска-Давкова | VMRO-DPMNE |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Стево Пендаровски | SDSM |
3. 선거 결과
3.1. 1차 투표
| 2024년 북마케도니아 대통령 선거 1차 투표 (2024. 4. 24.) | ||||||
| 순위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진출 여부 | |
| 1위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363,085 | 41.21% | 진출 | |
| 2위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180,499 | 20.49% | ||
| 3위 | 부야르 오스마니 | 통합을 위한 민주연합 | 120,811 | 13.73% | 낙선 | |
| 4위 | 막심 디미트리에프스키 | 우리의 마케도니아를 위하여 | 83,855 | 9.52% | ||
| 5위 | 아르벤 타라바리 | 알바니아인 동맹 | 83,337 | 9.47% | ||
| 6위 | 빌랴나 반코프스카 | 무소속[4] | 41,331 | 4.68% | ||
| 7위 | 스텝초 야키모프스키 | 마케도니아를 위한 시민의 선택 | 8,121 | 0.92% | ||
| <rowcolor=#000> 전체 | 선거인수 | 1,814,317 | 투표수 | 904,858 | ||
| <rowcolor=#000> 무효표수 | 24,549 | 투표율 | 49.87% | |||
1차 투표에서는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후보가 친EU 성향의 펜다로프스키 후보를 앞서며 우세를 보이고 있다.
3.2. 결선 투표
| 2024년 북마케도니아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 (2024. 5. 8.) | ||||||
| 순위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 여부 | |
| 1위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561,000 | 69.01% | 당선 | |
| 2위 |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 251,899 | 30.99% | 낙선 | |
| <rowcolor=#000> 전체 | 선거인수 | 1,814,317 | 투표수 | 812,899 | ||
| <rowcolor=#000> 무효표수 | 48,289 | 투표율 | 47.47% | |||
결선 결과 북마케도니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탄생하였다.
로이터 통신은 유럽연합(EU) 가입 실패에 대한 좌절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민족주의 성향을 가진 VMRO-DPMNE의 집권으로 북마케도니아와 그리스·불가리아의 해묵은 민족 갈등이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