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5:45:42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그룹 배틀 3차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colcolor=white> {{{#!wiki style="width: 550px; max-width: 650px; display: inline;"<tablebordercolor=#292218><tablewidth=4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c1d1f>
<colbgcolor=#292218> 그룹 배틀
(1/13~2/4)
1차전 2차전 3차전 4차전 5차전
플레이-인
(2/10~14)
플레이-인
플레이오프
(2/17~27)
플레이오프 결승전
결산 }}}


1. 개요2. 대회 정보3. 11경기 KT 2 : 0 BRO
3.1. 1세트3.2. 2세트3.3. 총평
4. 12경기 BFX 1 : 2 GEN
4.1. 1세트 재경기4.2. 2세트4.3. 3세트4.4. 총평
5. 13경기 DNF 2 : 1 DK
5.1. 1세트5.2. 2세트5.3. 3세트5.4. 총평
6. 14경기 DRX 2 : 0 HLE
6.1. 1세트6.2. 2세트6.3. 총평
7. 15경기 T1 0 : 2 NS
7.1. 1세트7.2. 2세트7.3. 총평
8. 3차전 결산
8.1. 메타/밴픽
9. 그룹별 리뷰
9.1. GROUP HERALD - 승자 그룹
9.1.1. KT Rolster Challengers9.1.2. DRX Challengers9.1.3. DN FREECS Challengers9.1.4. BNK FEARX Youth9.1.5. T1 Esports Academy
9.2. GROUP DRAKE - 패자 그룹
9.2.1.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9.2.2. Gen.G Global Academy9.2.3. Hanwha Life Esports Challengers9.2.4. Dplus KIA Challengers9.2.5. OKSavingsBank BRION Challengers

1. 개요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그룹 배틀 3차전 경기를 기록한 문서.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8B55C><tablebgcolor=#fff,#1c1d1f>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GROUP HERALD 순위표
순위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DRX 3 0 6-0 +6 3승
1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KT 3 0 6-0 +6 3승
3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DNF 3 0 6-1 +5 3승
4 파일:BNK FearX 2025.png BFX 2 1 5-3 +2 1패
4 파일:T1 로고.svg T1 2 1 4-2 +2 1패
합산 13승 2패 승자 그룹
보라색: 플레이오프 R2 직행 | 파란색: 플레이오프 R1 직행
초록색: 플레이-인 R2 진출 | 연두색: 플레이-인 R1 진출 | 볼드체: 순위 확정
}}}
{{{#!wiki style="margin: -15px -10px"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GROUP DRAKE 순위표
순위 세트 득실 득실차 연속 비고
1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S 1 2 2-4 -2 1승
2 파일:GGA 로고 심플.png GEN 1 2 2-5 -3 1승
3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DK 0 3 1-6 -5 3패
3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HLE 0 3 1-6 -5 3패
5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BRO 0 3 0-6 -6 3패
합산 2승 13패 패자 그룹
초록색: 플레이-인 R2 진출 | 연두색: 플레이-인 R1 진출
노란색: 탈락 | 볼드체: 순위 확정
}}}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2025 LCK CL Kickoff 그룹 배틀 / 1차전 중계 로테이션
<rowcolor=#fff> 경기 11경기 12경기 13경기 14경기 15경기
<rowcolor=#fff> 날짜
캐스터 이성훈 심지수
해설 김동준
이서행 신정현
인터뷰어 김옥영

1주차만에 그룹 스코어가 10:0이라는 초유의 결과가 나오며 사실상 이제 그룹 배틀은 의미가 없어졌고 각 그룹간의 싸움으로 들어갔는데, 이제는 경기 승패 뿐만 아니라 세트 승패도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극단적인 경우, "전승 세트득실 동률"이 나올 수도 있으며,[1] 이 경우 승자승 점수로도 순위가 결정이 나지 않아[2] 승리 시간으로 순위가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경기를 끝내는 것도 중요해질 수 있다.

2. 대회 정보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3차전
패치 버전 25.S1.1
글로벌 밴 -

3. 11경기 KT 2 : 0 BRO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1경기
(2025. 01. 20.)
kt Rolster
Challengers
2 0 OKSavingsBank
BRION Challengers
- × × -
3승 결과 3패
GROUP HERALD 11 0 GROUP DRAKE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1경기 Player of the Game
1세트 2세트
유백진
(Zinie)
박석현
(Paduck)
명실상부한 우승후보 KT와 베테랑들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브리온의 대결. KT가 2차전에서 흔들린 모습을 보였다고는 하나 그 흔들린 모습마저도 브리온보다는 나아서, 브리온이 적어도 1,2차전보다는 나아진 경기력을 보여줘야만 비빌 가능성이 있어보인다.

3.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1경기 1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KT, bresult=WIN, rteam=BRO, rresult=LOSS, time=25:42
, bkill=28, bdeath=11, bassist=63, rkill=10, rdeath=28, rassist=20
, bgold=55.4, rgold=42.2)]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kt Rolster Challengers, redteam=OKSavingsBank BRION Challengers
, d_blueban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스카너, d_blueban4=킨드레드, d_blueban5=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poppy, p_blueban2=pantheon, p_blueban3=skarner, p_blueban4=kindred, p_blueban5=wukong
, d_redban1=아지르, d_redban2=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3=칼리스타, d_redban4=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요네
, p_redban1=azir, p_redban2=ashe, p_redban3=kalista, p_redban4=elise, p_redban5=yone
, d_bluepic1=암베사,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코르키, d_bluepic4=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렐
, p_bluepic1=ambessa, p_bluepic2=sejuani, p_bluepic3=corki, p_bluepic4=viktor, p_bluepic5=rell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신 짜오, d_redpic3=갈리오, d_redpic4=바루스, d_red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ksante, p_redpic2=xinZhao, p_redpic3=galio, p_redpic4=varus, p_redpic5=raka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Cloud,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실패, blueobject=성공
, redfblood=실패, redfturret=성공, redobject=실패)]

3.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1경기 2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BRO, bresult=LOSS, rteam=KT, rresult=WIN, time=25:07
, bkill=14, bdeath=32, bassist=27, rkill=32, rdeath=14, rassist=69
, bgold=43.0, rgold=54.7)]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OKSavingsBank BRION Challengers, redteam=kt Rolster Challengers
, d_bluefearlessban1=크산테, d_bluefearlessban2=신 짜오, d_bluefearlessban3=갈리오, d_bluefearlessban4=바루스, d_bluefearlessban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1=ksante, p_bluefearlessban2=xinZhao, p_bluefearlessban3=galio, p_bluefearlessban4=varus, p_bluefearlessban5=rakan
, d_redfearlessban1=암베사, d_redfearlessban2=세주아니, d_redfearlessban3=코르키, d_redfearlessban4=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5=렐
, p_redfearlessban1=ambessa, p_redfearlessban2=sejuani, p_redfearlessban3=corki, p_redfearlessban4=viktor, p_redfearlessban5=rell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이즈리얼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caitlyn, p_blueban3=aurora, p_blueban4=missFortune, p_blueban5=ezreal
, d_redban1=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스카너, d_redban3=아지르, d_redban4=비에고, d_redban5=흐웨이
, p_redban1=nocturne, p_redban2=skarner, p_redban3=azir, p_redban4=viego, p_redban5=hwei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자이라, d_bluepic3=요네, d_blue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zyra, p_bluepic3=yone, p_bluepic4=ashe, p_bluepic5=leona
, d_redpic1=럼블, d_redpic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알리스타
, p_redpic1=rumble, p_redpic2=pantheon, p_redpic3=orianna, p_redpic4=jhin, p_redpic5=alistar)]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Mountain,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레드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실패
, redfblood=성공, redfturret=실패, redobject=성공)]

3.3. 총평

KT가 25분 1만골드 이상의 차이로 두 세트를 모두 끝내며 3승째를 달성했다. 브리온은 진지하게 패자조 5위로 탈락할 걱정을 해야할 정도로 경기력이 좋지 않았다.

4. 12경기 BFX 1 : 2 GEN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2경기
(2025. 01. 20.)
BNK FEARX Youth 1 2 Gen.G Global
Academy
× × ×
2승 1패 결과 1승 2패
GROUP HERALD 11 1 GROUP DRAKE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2경기 Player of the Game
1세트 2세트 3세트
김시훈
(Kemish)
오형석
(Career)
문형석
(About)

BFX 입장에서는 2승을 했음에도 세트 단 1개를 내주는 바람에 조 꼴찌로 밀려 한시가 급해졌다. 이제 BFX 입장에서는 빨리 경기를 2:0으로 끝내고 상대팀 중 아무나 한 세트를 따내기를 바라야 한다.
===# 1세트 #===
그룹 베틀 12경기 1세트
(2025.01.20
)
재경기 (36:37[3])
15/19/33 BFX GEN 19/15/50
66.5k 69.1k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BNK FEARX Youth, redteam=Gen.G Global Academy
, d_blueban1=자이라, d_blueban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크산테, d_blueban4=오로라, d_blueban5=탈리야
, p_blueban1=zyra, p_blueban2=poppy, p_blueban3=ksante, p_blueban4=aurora, p_blueban5=taliyah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럼블, d_redban4=이즈리얼, d_redban5=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skarner, p_redban2=kalista, p_redban3=rumble, p_redban4=ezreal, p_redban5=ashe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세주아니, d_bluepic3=아지르, d_bluepic4=카이사, d_bluepic5=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sejuani, p_bluepic3=azir, p_bluepic4=kaisa, p_bluepic5=elise
, d_redpic1=레넥톤,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아칼리, d_redpic4=바루스, d_red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pic1=renekton, p_redpic2=vi, p_redpic3=akali, p_redpic4=varus, p_redpic5=renataGlas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Cloud, bluedragon2=Ocean
, bluedragon3=Infernal, bluedragon4=Infernal
, reddragon1=,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레드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실패, blueobject=
, redfblood=성공, redfturret=성공, redobject=)]

BFX는 상체 위주의 3밴, 젠지는 스카너-칼리스타-럼블을 잘라주며 밴픽을 시작한다. 이에 BFX는 선픽으로 세주아니를 고르고, 젠지는 바루스와 바이를 뽑아준다. 이에 BFX는 아지르를 뽑고 풀린 애쉬 대신 제이스를 가져간다. 이에 젠지가 레넥톤을 뽑으며 처음 페이즈가 마무리된다.
다음 4밴에서 BFX는 오로라-탈리야로 미드를, 젠지는 이즈리얼-애쉬로 원딜을 견제한다. 픽에서는 젠지가 레나타를 뽑아 바텀조합을 완성시키고, BFX는 엔비가 활약한 카이사와 유행하는 엘리스 서포터 를 기용한다. 이에 젠지가 미드로 아지르 상대로 좋다고 알려진 아칼리를 뽑으며 밴픽이 마무리된다.

초반 BFX의 탑과 정글 듀오가 맞라이너를 강하게 압박하나, 웨트의 바이가 날카로운 갱킹으로 제이스를 잡아내며 젠지가 선취점을 올린다. 이에 세주아니 역시 8분경 바텀에 합류에 2:0 교환을 만들어내고, 곧이어 유충 한타에서도 젠지 상대로 BFX가 2:3 교환을 만들어내며 BFX가 초반을 웃고 시작한다. [4] 이어 12분 경에는 양쪽 탑이 다이브를 당해 1:1 교환이 되었고 젠지는 탑 포탑을 철거하며 무력행사를 달성한다.

그러나 14분경 젠지가 바텀에서 세주아니와 아지르를 잡은 걸 시작으로 16분 한타 대승과 전령까지 먹어내는데 성공하며 격차를 벌려낸다. 이에 BFX는 화염용을 잡아 3용을 달성한다.

그러나 22분 BFX가 3:5 한타도 3:0으로 이기고 아타칸도 먹으며 다시 격차가 좁혀진다. 기세를 몰아 BFX는 25분 바론을 처치하고 미드 2차/바텀 2차 포탑까지 공성한다. 그리고 제이스는 문제의 끝없는 절망을 완성한다. 그러나 30분 젠지가 세주아니를 잡은 걸 근거로 장로 드래곤을 처치하고 제이스도 잡아내며 바론까지도 공짜로 먹는다. 기세를 올린 젠지 역시 공세를 이어가나 BFX의 신들린 수성으로 탑 포탑만 내주게 된다. 그런데...

35분경, 장로 드래곤을 압두고 두 팀이 강가에서 전투를 시작한다. 젠지가 선이니시로 세주아니와 아지르를 잡아내지만 BFX 역시 아칼리를 잡은 상황. 그러나 젠지의 컨디션이 더 좋았기에 BFX는 후퇴, 젠지는 추격하는 그림이 그려지는데, 이때 제이스가 끝없는 절망이 버그를 일으켜 지속적으로 본인에게 데미지가 들어가 귀환이 안되어 결국 퍼즈가 걸린다.#

이에 2시간 가까이 퍼즈가 지속되었고, 중간에 크로노 브레이크도 시도했으나 결국 해결하지 못해 재경기가 확정되었다.

경기 이후 해당 버그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는데, 화염용 영혼을 먹은 적군이 끝없는 절망을 구매한 후 레나타의 궁을 단 한 번이라도 맞으면 끝없는 절망의 효과가 사거리 제한 없이 아군의 체력을 지속해서 빼앗으며 발동되는 것. 심지어 알려진 버그리스트에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

문제는 유사한 트리거로 작동하는 버그가 4개월 전에 있었다는 점[5]인데, 이 때문에 라이엇에 대해 '버그 픽스하는 척 하는거 아니냐' 등의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기도했다.

4.1. 1세트 재경기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2경기 1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BFX, bresult=LOSS, rteam=GEN, rresult=WIN, time=30:05
, bkill=9, bdeath=18, bassist=24, rkill=18, rdeath=9, rassist=41
, bgold=48.9, rgold=57.7)]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BNK FEARX Youth, redteam=Gen.G Global Academy
, d_blueban1=자이라, d_blueban2=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바루스, d_blueban4=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이즈리얼
, p_blueban1=zyra, p_blueban2=poppy, p_blueban3=varus, p_blueban4=rakan, p_blueban5=ezreal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ban1=skarner, p_redban2=kalista, p_redban3=nocturne, p_redban4=leona, p_redban5=renataGlasc
, d_bluepic1=럼블, d_bluepic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요네, d_bluepic4=카이사, d_bluepic5=타릭(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rumble, p_bluepic2=wukong, p_bluepic3=yone, p_bluepic4=kaisa, p_bluepic5=taric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아칼리, d_red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ksante, p_redpic2=vi, p_redpic3=akali, p_redpic4=ashe, p_redpic5=renataGlasc)]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Cloud, reddragon2=Ocean
, reddragon3=Infernal,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레드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 blueobject=실패
, redfblood=성공, redfturret=, redobject=성공)]

경기 도중 끝없는 절망 아이템 버그로 인해 장시간 퍼즈가 걸렸으며 크로노 브레이크로 해결을 못해 재경기가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피어엑스 입장에선 한시가 급한 상황에서 세트를 1개 더 내주는 바람에 초비상이 걸리고 말았다.

4.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2경기 2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GEN, bresult=LOSS, rteam=BFX, rresult=WIN, time=39:55
, bkill=26, bdeath=29, bassist=69, rkill=29, rdeath=26, rassist=66
, bgold=69.6, rgold=75.6)]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Gen.G Global Academy, redteam=BNK FEARX Youth
, d_bluefearlessban1=크산테, d_bluefearless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3=아칼리, d_bluefearlessban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5=브라움
, p_bluefearlessban1=ksante, p_bluefearlessban2=vi, p_bluefearlessban3=akali, p_bluefearlessban4=ashe, p_bluefearlessban5=braum
, d_redfearlessban1=럼블, d_redfearlessban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3=요네, d_redfearlessban4=카이사, d_redfearlessban5=타릭(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fearlessban1=rumble, p_redfearlessban2=wukong, p_redfearlessban3=yone, p_redfearlessban4=kaisa, p_redfearlessban5=taric
, d_blueban1=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세주아니, d_blueban3=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viktor, p_blueban2=sejuani, p_blueban3=poppy, p_blueban4=jax, p_blueban5=gnar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자이라, d_redban3=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아지르, d_redban5=비에고
, p_redban1=skarner, p_redban2=zyra, p_redban3=nocturne, p_redban4=azir, p_redban5=viego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리 신, d_blue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칼리스타, d_blue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leeSin, p_bluepic3=leblanc, p_bluepic4=kalista, p_bluepic5=renataGlasc
, d_redpic1=그라가스, d_redpic2=신 짜오, d_redpic3=탈리야, d_redpic4=바루스, d_redpic5=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gragas, p_redpic2=xinZhao, p_redpic3=taliyah, p_redpic4=varus, p_redpic5=elis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Chemtech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Chemtech
, reddragon3=Chemtech, reddragon4=Chemtech)]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성공, blueobject=
, redfblood=실패, redfturret=실패, redobject=)]

4.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2경기 3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GEN, bresult=WIN, rteam=BFX, rresult=LOSS, time=28:12
, bkill=14, bdeath=17, bassist=42, rkill=17, rdeath=14, rassist=42
, bgold=52.6, rgold=50.3)]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Gen.G Global Academy, redteam=BNK FEARX Youth
, d_bluefearlessban1=크산테, d_bluefearless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3=아칼리, d_bluefearlessban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5=브라움
, p_bluefearlessban1=ksante, p_bluefearlessban2=vi, p_bluefearlessban3=akali, p_bluefearlessban4=ashe, p_bluefearlessban5=braum
, d_bluefearlessban6=레넥톤, d_bluefearlessban7=리 신, d_bluefearlessban8=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9=칼리스타, d_bluefearlessban10=레나타 글라스크
, p_bluefearlessban6=renekton, p_bluefearlessban7=leeSin, p_bluefearlessban8=leblanc, p_bluefearlessban9=kalista, p_bluefearlessban10=renataGlasc
, d_redfearlessban1=럼블, d_redfearlessban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3=요네, d_redfearlessban4=카이사, d_redfearlessban5=타릭(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fearlessban1=rumble, p_redfearlessban2=wukong, p_redfearlessban3=yone, p_redfearlessban4=kaisa, p_redfearlessban5=taric
, d_redfearlessban6=그라가스, d_redfearlessban7=신 짜오, d_redfearlessban8=탈리야, d_redfearlessban9=바루스, d_redfearlessban10=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fearlessban6=gragas, p_redfearlessban7=xinZhao, p_redfearlessban8=taliyah, p_redfearlessban9=varus, p_redfearlessban10=elise
, d_blueban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세주아니, d_blueban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이렐리아
, p_blueban1=poppy, p_blueban2=sejuani, p_blueban3=jayce, p_blueban4=jax, p_blueban5=irelia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갈리오, d_redban3=자이라, d_redban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skarner, p_redban2=galio, p_redban3=zyra, p_redban4=jinx, p_redban5=caitlyn
, d_bluepic1=암베사, d_blue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진(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ambessa,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aurora, p_bluepic4=jhin, p_bluepic5=leona
, d_redpic1=마오카이, d_redpic2=비에고,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알리스타
, p_redpic1=maokai, p_redpic2=viego, p_redpic3=azir, p_redpic4=ezreal, p_redpic5=alistar)]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Chemtech,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Ocean
, reddragon3=Chemtech,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성공
, redfblood=성공, redfturret=실패, redobject=실패)]

4.4. 총평

드디어 12경기 만에 용 팀이 매치 승을 기록했다.

5. 13경기 DNF 2 : 1 DK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3경기
(2025. 01. 20.)
DN FREECS
Challengers
2 1 Dplus KIA
Challengers
× × ×
3승 결과 3패
GROUP HERALD 12 1 GROUP DRAKE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3경기 Player of the Game
1세트 2세트 3세트
이종혁
(Pungyeon)
황서현
(Wayne)
손정환
(Quantum)
전령팀의 5시드로 저평가 받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2승을 가볍게 달성한 DN 프릭스와 올해는 CL 명가답지 않게 시작이 좋지 않은 디플러스 기아의 대결.

5.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3경기 1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DNF, bresult=WIN, rteam=DK, rresult=LOSS, time=31:02
, bkill=27, bdeath=18, bassist=72, rkill=18, rdeath=27, rassist=46
, bgold=83.5, rgold=69.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DN FREECS Challengers, redteam=Dplus KIA Challengers
, d_blueban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럼블, d_blueban3=신 짜오, d_blueban4=코르키, d_blueban5=이즈리얼
, p_blueban1=poppy, p_blueban2=rumble, p_blueban3=xinZhao, p_blueban4=corki, p_blueban5=ezreal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레나타 글라스크, d_redban5=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skarner, p_redban2=kalista, p_redban3=jayce, p_redban4=renataGlasc, p_redban5=orianna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바루스,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ksante, p_bluepic2=wukong, p_bluepic3=ahri, p_bluepic4=varus,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암베사,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렐
, p_redpic1=ambessa, p_redpic2=vi, p_redpic3=aurora, p_redpic4=missFortune, p_redpic5=rell)]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Hextech, bluedragon2=Hextech
, bluedragon3=Hextech, bluedragon4=
, reddragon1=Ocean, reddragon2=Infernal
, reddragon3=Hextech,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성공
, redfblood=성공, redfturret=실패, redobject=실패)]

5.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3경기 2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DK, bresult=WIN, rteam=DNF, rresult=LOSS, time=42:16
, bkill=29, bdeath=24, bassist=77, rkill=24, rdeath=29, rassist=57
, bgold=80.4, rgold=78.8)]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Dplus KIA Challengers, redteam=DN FREECS Challengers
, d_bluefearlessban1=암베사, d_bluefearless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5=렐
, p_bluefearlessban1=ambessa, p_bluefearlessban2=vi, p_bluefearlessban3=aurora, p_bluefearlessban4=missFortune, p_bluefearlessban5=rell
, d_redfearlessban1=크산테, d_redfearlessban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4=바루스, d_redfearless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fearlessban1=ksante, p_redfearlessban2=wukong, p_redfearlessban3=ahri, p_redfearlessban4=varus, p_redfearlessban5=nautilus
, d_blueban1=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럼블, d_blueban3=세주아니, d_blueban4=비에고, d_blueban5=신 짜오
, p_blueban1=nocturne, p_blueban2=rumble, p_blueban3=sejuani, p_blueban4=viego, p_blueban5=xinZhao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우디르, d_redban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skarner, p_redban2=kalista, p_redban3=jayce, p_redban4=udyr, p_redban5=leona
, d_bluepic1=레넥톤, d_bluepic2=자이라, d_bluepic3=요네, d_blue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브라움
, p_bluepic1=renekton, p_bluepic2=zyra, p_bluepic3=yone, p_bluepic4=ashe, p_bluepic5=braum
, d_redpic1=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사이온, d_redpic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jax, p_redpic2=sion, p_redpic3=viktor, p_redpic4=ezreal, p_redpic5=raka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Cloud, bluedragon2=Infernal
, bluedragon3=Infernal, bluedragon4=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레드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실패, blueobject=
, redfblood=성공, redfturret=성공, redobject=)]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그룹 배틀 13경기 2세트 교체 출전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LCK_SUP_white1.pn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강민우
(Minous)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손정환
(Quantum)

드디어 공식 경기 최초로 파멸의 아타칸이 등장했다.

5.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3경기 3세트, year=2025, month=01, day=20
, bteam=DNF, bresult=WIN, rteam=DK, rresult=LOSS, time=31:02
, bkill=25, bdeath=11, bassist=64, rkill=11, rdeath=25, rassist=28
, bgold=65.1, rgold=51.5)]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DN FREECS Challengers, redteam=Dplus KIA Challengers
, d_bluefearlessban1=크산테, d_bluefearlessban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3=아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4=바루스, d_bluefearless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1=ksante, p_bluefearlessban2=wukong, p_bluefearlessban3=ahri, p_bluefearlessban4=varus, p_bluefearlessban5=nautilus
, d_bluefearlessban6=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7=사이온, d_bluefearlessban8=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9=이즈리얼, d_bluefearlessban10=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6=jax, p_bluefearlessban7=sion, p_bluefearlessban8=viktor, p_bluefearlessban9=ezreal, p_bluefearlessban10=rakan
, d_redfearlessban1=암베사, d_redfearlessban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5=렐
, p_redfearlessban1=ambessa, p_redfearlessban2=vi, p_redfearlessban3=aurora, p_redfearlessban4=missFortune, p_redfearlessban5=rell
, d_redfearlessban6=레넥톤, d_redfearlessban7=자이라, d_redfearlessban8=요네, d_redfearlessban9=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10=브라움
, p_redfearlessban6=renekton, p_redfearlessban7=zyra, p_redfearlessban8=yone, p_redfearlessban9=ashe, p_redfearlessban10=braum
, d_blueban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코르키, d_blueban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진(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poppy, p_blueban2=leona, p_blueban3=corki, p_blueban4=caitlyn, p_blueban5=jhin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세주아니, d_redban4=레나타 글라스크, d_redban5=직스
, p_redban1=skarner, p_redban2=kalista, p_redban3=sejuani, p_redban4=renataGlasc, p_redban5=ziggs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킨드레드, d_bluepic3=갈리오, d_bluepic4=아펠리오스, d_blue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kindred, p_bluepic3=galio, p_bluepic4=aphelios, p_bluepic5=lulu
, d_redpic1=럼블, d_redpic2=신 짜오, d_red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파이크(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umble, p_redpic2=xinZhao, p_redpic3=orianna, p_redpic4=jinx, p_redpic5=pyk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Cloud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Ocean,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성공
, redfblood=성공, redfturret=실패, redobject=실패)]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그룹 배틀 13경기 3세트 교체 출전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파일:LCK_SUP_white1.pn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손정환
(Quantum)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강민우
(Minous)
앞선 BFX vs GEN 경기에서 나온 재경기로 인한 장시간 지연 + 1세트때 발생한 장시간 퍼즈가 겹치면서 무박2일 중계가 성사되었다.

5.4. 총평

무박 2일 경기 끝에 DN 프릭스가 2:1로 승리하며 3승 달성 및 전령 그룹은 승자 그룹 달성까지 단 1승만 남겨두게 되었다. 다만 랜서의 쓰로잉과 삐걱이는 스노우볼에 관해서는 피드백이 필요하다.

디플러스 기아는 이번에도 패배하긴 했으나 세트 승을 달성하면서 용 그룹 최하위에선 벗어나게 되었다.

6. 14경기 DRX 2 : 0 HLE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4경기
(2025. 01. 21.)
DRX Challengers 2 0 Hanwha Life
Esports Challengers
- × × -
3승 결과 3패
GROUP HERALD 13 1 GROUP DRAKE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4경기 Player of the Game
1세트 2세트
손민우
(Pleata)
강예후
(kyeahoo)
멤버 전원이 1군 경험이 있는 자연재해와 같은 로스터를 앞세워 왜 대권을 노리는지 경기력으로 증명한 DRX와 용팀의 2차전 동안 유일한 세트 1승을 거머쥔 한화생명과의 대결. 어제 젠지가 BNK 피어엑스를 상대로 1승을 신고하며 용 그룹에 귀중한 1승을 챙겼기에 현재 용 그룹에서 체급이 높다고 평가받은 한화생명이 또 1승을 신고할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앞선 월요일 경기 결과로 인해 이 경기에서 DRX가 승리할 경우 전령 그룹의 승리가 확정된다.

6.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4경기 1세트, year=2025, month=01, day=21
, bteam=DRX, bresult=WIN, rteam=HLE, rresult=LOSS, time=42:59
, bkill=20, bdeath=13, bassist=53, rkill=13, rdeath=20, rassist=41
, bgold=82.2, rgold=73.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DRX Challengers, redteam=Hanwha Life Esports Challengers
, d_blueban1=럼블, d_blueban2=바루스, d_blueban3=자이라, d_blueban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rumble, p_blueban2=varus, p_blueban3=zyra, p_blueban4=leona, p_blueban5=poppy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 d_redban5=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skarner, p_redban2=kalista, p_redban3=ashe, p_redban4=kaisa, p_redban5=caitlyn
, d_bluepic1=암베사, d_bluepic2=신 짜오, d_bluepic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렐
, p_bluepic1=ambessa, p_bluepic2=xinZhao, p_bluepic3=viktor, p_bluepic4=missFortune, p_bluepic5=rell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비에고,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이즈리얼, d_redpic5=브라움
, p_redpic1=ksante, p_redpic2=viego, p_redpic3=azir, p_redpic4=ezreal, p_redpic5=braum)]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Mountain, bluedragon2=Hextech
, bluedragon3=Hextech, bluedragon4=
, reddragon1=Infernal,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Hextech,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레드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실패, blueobject=
, redfblood=성공, redfturret=성공, redobject=)]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2025 LCK Challengers League Kickoff
그룹 배틀 14경기 1세트 교체 출전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_white1.pn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노진욱
(Alive)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쩐바오민
(LazyFeel)
DRX는 테디가 독감으로 인해 입원을 하면서 레이지필이 당분간 1군 경기에 출전해야 하기에 노진욱 플레잉 코치가 선발 출전한다.

압도적인 플레타의 캐리, 한타마다 최소 2인 이상을 궁으로 묶으며 마지막 한타에선 5인궁을 맞추는 엄청난 입롤 한타를 이끌어내며 승리를 이끌었다.

6.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4경기 2세트, year=2025, month=01, day=21
, bteam=HLE, bresult=LOSS, rteam=DRX, rresult=WIN, time=31:43
, bkill=4, bdeath=12, bassist=8, rkill=12, rdeath=4, rassist=31
, bgold=51.4, rgold=60.0)]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Hanwha Life Esports Challengers, redteam=DRX Challengers
, d_bluefearlessban1=크산테, d_bluefearlessban2=비에고, d_bluefearlessban3=아지르, d_bluefearlessban4=이즈리얼, d_bluefearlessban5=브라움
, p_bluefearlessban1=ksante, p_bluefearlessban2=viego, p_bluefearlessban3=azir, p_bluefearlessban4=ezreal, p_bluefearlessban5=braum
, d_redfearlessban1=암베사, d_redfearlessban2=신 짜오, d_redfearlessban3=빅토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5=렐
, p_redfearlessban1=ambessa, p_redfearlessban2=xinZhao, p_redfearlessban3=viktor, p_redfearlessban4=missFortune, p_redfearlessban5=rell
, d_blueban1=바루스, d_blueban2=스카너, d_blueban3=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4=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varus, p_blueban2=skarner, p_blueban3=ashe, p_blueban4=leona, p_blueban5=nautilus
, d_redban1=럼블,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나르(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rumble, p_redban2=kalista, p_redban3=jayce, p_redban4=elise, p_redban5=gnar
, d_bluepic1=잭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킨드레드, d_bluepic3=갈리오, d_bluepic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bluepic1=jax, p_bluepic2=kindred, p_bluepic3=galio, p_bluepic4=caitlyn, p_bluepic5=renataGlasc
, d_redpic1=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바드(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poppy, p_redpic2=vi, p_redpic3=aurora, p_redpic4=jhin, p_redpic5=bard)]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Cloud,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Mountain,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Hextech, reddragon4=Hextech)]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레드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실패, blueobject=
, redfblood=성공, redfturret=성공, redobject=)]

6.3. 총평

DRX의 승리로 인해 단 14경기 만에 전령 그룹의 우세가 확정되었다.

7. 15경기 T1 0 : 2 NS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5경기
(2025. 01. 21.)
T1 Esports
Academy
0 2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 × - -
2승 1패 결과 1승 2패
GROUP HERALD 13 2 GROUP DRAKE
파일:LCK CL 심볼 화이트.svg 그룹 배틀 15경기 Player of the Game
1세트 2세트
최강인
(Kangin)
이승복
(Sylvie)
신인들의 안정적인 경기력을 앞세워 2승을 달성한 T1과 나름 괜찮은 로스터를 짰다고 평가받았으나 경기력이 상당히 좋지 못한 농심간의 경기.

앞서 DRX와 한화생명과의 경기결과로 인해 이미 조 승리여부가 결정났기 때문에 T1의 입장에선 세트 1개라도 내주지 않으려고 노력해야할 것이고, 농심 입장에선 현재 브리온이 세트 전패인 만큼 조 꼴지로 5게임만에 킥오프 시즌이 종료되지 않도록 최소한 세트승 이상을 노려야 할 것이다.

농심은 지우피셔가 직관을 왔다.

7.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5경기 1세트, year=2025, month=01, day=21
, bteam=T1, bresult=LOSS, rteam=NS, rresult=WIN, time=35:36
, bkill=11, bdeath=18, bassist=31, rkill=18, rdeath=11, rassist=46
, bgold=62.0, rgold=69.9)]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T1 Esports Academy, redteam=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 d_blueban1=바루스, d_blueban2=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럼블, d_blueban4=아칼리, d_blueban5=브라움
, p_blueban1=varus, p_blueban2=aurora, p_blueban3=rumble, p_blueban4=akali, p_blueban5=braum
, d_redban1=스카너, d_redban2=칼리스타, d_redban3=자이라, d_redban4=이즈리얼, d_redban5=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skarner, p_redban2=kalista, p_redban3=zyra, p_redban4=ezreal, p_redban5=poppy
, d_bluepic1=크산테, d_blue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렐
, p_bluepic1=ksante, p_bluepic2=nocturne, p_bluepic3=orianna, p_bluepic4=missFortune, p_bluepic5=rell
, d_redpic1=암베사, d_redpic2=세주아니, d_redpic3=아지르, d_red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ambessa, p_redpic2=sejuani, p_redpic3=azir, p_redpic4=ashe, p_redpic5=leon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Ocean
, reddragon3=Ocean, reddragon4=Ocea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레드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실패
, redfblood=성공, redfturret=실패, redobject=성공)]

녹턴이 꾸준히 갱을 다니며 과성장했고, 스매쉬의 미스 포츈의 뛰어난 궁각으로 첫 용 앞 한타에서 T1이 승리하며 승기를 잡았다. 이후 크산테-녹턴-오리아나-렐이라는, 애쉬를 물어죽이기 좋은 조합을 활용해 농심의 선수들을 차례차례 잘라먹으며 T1이 7천 골드를 리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탐식의 아타칸을 무리하게 치던 중 세주아니에게 아타칸을 빼앗기고 한타까지 패배하는 참사가 일어나고 말았고, 이로 인해 골드 차이가 7천에서 5천까지 좁혀졌다. 이로 인해 암베사와 아지르, 애쉬가 성장을 회복할 시간이 주어지고 말았다.

이후 바론 앞 한타에서도 패배해 바론을 내주고 말자 T1은 7천 골드를 리드하던 상황이 무색하게 오히려 수천 골드가 뒤쳐지는데도 드래곤 4스택의 압박을 받는 절망적인 상황이 오고 말았고, 바다의 드래곤 영혼을 획득한 농심이 이에 힘입어 교전을 연이어 승리하면서 이번 시즌 첫 세트승을 신고했다.

T1은 신인 이슈인지 본인들의 유리함을 과신하고 오브젝트 컨트롤에 있어 미숙했던 것이 패배의 원인이 되었다. 골드상으로도, 챔피언 상성과 조합 면에서도 절대적인 유리함을 잡았음에도 오브젝트 컨트롤을 제대로 하지 않아 되려 불리한 쪽인 농심에게 오브젝트를 내주고 무력행사 발동에도 실패했다. 반면 농심은 불리한 상황에서도 오브젝트를 착실히 챙김과 동시에 불리한 한타를 뒤집을 수 있는 딜러 챔피언들의 성장을 도모했고, 이를 제대로 성공시키면서 역전승을 거둘 수 있었다.

7.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 match=그룹 배틀 15경기 2세트, year=2025, month=01, day=21
, bteam=NS, bresult=WIN, rteam=T1, rresult=LOSS, time=36:36
, bkill=22, bdeath=9, bassist=41, rkill=9, rdeath=22, rassist=16
, bgold=73.4, rgold=64.3)]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redteam=T1 Esports Academy
, d_bluefearlessban1=암베사, d_bluefearlessban2=세주아니, d_bluefearlessban3=아지르, d_bluefearlessban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1=ambessa, p_bluefearlessban2=sejuani, p_bluefearlessban3=azir, p_bluefearlessban4=ashe, p_bluefearlessban5=leona
, d_redfearlessban1=크산테, d_redfearlessban2= 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3= 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5=렐
, p_redfearlessban1=ksante, p_redfearlessban2=nocturne, p_redfearlessban3=orianna, p_redfearlessban4=missFortune, p_redfearlessban5=rell
, d_blueban1=칼리스타, d_blueban2=자이라, d_blueban3=바루스, d_blueban4=브라움, d_blueban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kalista, p_blueban2=zyra, p_blueban3=varus, p_blueban4=braum, p_blueban5=rakan
, d_redban1=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스카너, d_redban3=럼블, d_redban4=진(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vi, p_redban2=skarner, p_redban3=rumble, p_redban4=jhin, p_redban5=nautilus
, d_bluepic1=제이스(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탈리야, d_bluepic4=이즈리얼, d_bluepic5=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jayce, p_bluepic2=pantheon, p_bluepic3=taliyah, p_bluepic4=ezreal, p_bluepic5=karma
, d_redpic1=이렐리아, d_redpic2=비에고, d_redpic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엘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irelia, p_redpic2=viego, p_redpic3=aurora, p_redpic4=caitlyn, p_redpic5=elise)]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Mountain, bluedragon2=Mountain
, bluedragon3=Mountain, bluedragon4=Mountain
, reddragon1=Cloud,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성공, blueobject=
, redfblood=실패, redfturret=실패, redobject=)]

이렐리아를 야심차게 꺼내든 T1이었으나 정작 이렐리아는 판테온과 탈리아의 골드 자판기 신세가 되었고, 종국에는 제이스에게 솔킬까지 따이는 등 이렐리아의 절망편을 제대로 보여줬다.

7.3. 총평

농심이 그동안의 부진을 이겨내고 2:0 셧아웃을 내며 단숨에 조 1위로 올라가면서 조별 순위싸움에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반면 T1은 비상이 걸렸는데 단 1패를 허용했지만 전령 그룹의 첫 셧아웃 패배를 허용하며 피어엑스와 세트 동률이 되는 바람에 공동 4위로 내려앉았다.

8. 3차전 결산

8.1. 메타/밴픽

9. 그룹별 리뷰

9.1. GROUP HERALD - 승자 그룹

1차전, 2차전과 비교하면 용 그룹과의 격차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고 피어엑스와 T1이 2패를 허용하기도 했지만, 이미 쌓아놓은 승수가 너무 많았기에 DRX의 승리와 동시에 무난히 승자 그룹을 확정지었다.

9.1.1. KT Rolster Challengers

2차전은 잠깐 흔들렸을뿐이라고 말하듯, 50분만에 2:0으로 승리하며 3승째를 달성했다.

9.1.2. DRX Challengers

1군팀 원딜인 테디의 건강 이슈로 인하여 레이지필이 콜업되고, 그 자리를 플레잉 코치인 얼라이브가 채우게 되어 우려가 있었으나, 한화를 2:0으로 잡아내며 3승째를 기록했다.

9.1.3. DN FREECS Challengers

앞 경기 퍼즈의 여파로 무박 2일 경기를 치렀고, 풀세트 끝에 2:1로 승리했다. 다만 그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이 있어서 문제점 보완이 시급해졌다.

9.1.4. BNK FEARX Youth

2:0 승리가 간절했으나, 오히려 젠지 글로벌 아카데미에게 전령 팀의 첫 패배를 내주면서 더 큰 위기에 처했다.

1세트에 퍼즈 이슈가 있었지만, 그 이전까지 젠지가 유리했다고 평가받았다는 점, 그렇기에 젠지에게 불리한 재경기 결정이 나왔음에도 패배했다는 점에서 어떠한 변명의 여지가 없다. 다른 팀들이 갑자기 부진을 겪지 않는 이상 사실상 플레이-인으로 굴러떨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으며 최악의 상황에는 플레이-인에서도 하위 시드로 시작해야할 수도 있다.

9.1.5. T1 Esports Academy

2차전까지가 신인들이 포함된 팀의 희망편이었다면, 이번 3차전은 절망편이었다. 무리한 오브젝트 시도, 자신있게 픽한 챔피언으로 라인전부터 터져나가기 등등. 이번 패배로 T1은 3위까지 주어지는 플레이오프 직행은 어려워졌고, 플레이 - 인 상위 시드라도 지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9.2. GROUP DRAKE - 패자 그룹

3차전에서 젠지가 피어엑스를 잡으며 첫 승을 달성했지만, 이미 전령 그룹과의 격차는 한참 벌어져있었고 결국 패자 그룹에 들어가게 되었다.

다섯 팀 모두 경기가 남아있긴 하지만, 이미 전령 그룹을 따라잡을 기회는 저 멀리 날아가버렸기에 사실상 5위를 피하기 위한 데스게임이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9.2.1. Nongshim RedForce Challengers

2차전까지는 아쉬운 모습이 가득했지만, 이번 3차전은 T1의 무리한 아타칸 시도를 기점으로 게임을 뒤집으며 1세트를 가져왔고, 세트 승리로 자신감을 얻은 2세트는 압살을 하며 용 그룹에서 첫 2:0 승리를 거두었다. 2:0 승리로 용그룹 1위가 되면서, 플레이 - 인 진출이 유력해졌다.

9.2.2. Gen.G Global Academy

유리했던 경기를 퍼즈 끝에 무효가 되어 재경기를 치르게 되며 억까에 무너지는 듯 했지만, 재경기를 결국 승리하고, 풀세트 끝에 2:1로 승리하며 용그룹에 첫 승을 안겨주었다. 농심을 제외한 다른 팀들이 여전히 0승 클럽에서 머무는 중이라, 남은 두 경기에서 1승만 더 추가하면 플레이 - 인 진출이 유력해진다.

9.2.3. Hanwha Life Esports Challengers

레이지필이 빠지고 얼라이브 코치가 들어온 DRX에게 0:2로 패배하며 공동 3위로 밀려났다.

9.2.4. Dplus KIA Challengers

무박 2일 접전 끝에 1:2로 분패하며 매치 승리에는 실패했지만, 첫 세트 승리를 기록하며 최하위에서 벗어났다.

9.2.5. OKSavingsBank BRION Challengers

우승후보인 KT에게 경기시간 도합 50분만에 0:2로 탈탈 털렸다. 같은 날 경기를 치른 젠지는 용그룹 첫 매치승을, DK는 매치 승리는 실패했어도 장기전 끝에 세트 승리를 얻으며 2차전보다 좋은 성적을 거뒀는데 브리온은 1군 경력자들이 포함된 로스터임을 감안하면 초라한 성적. 3차전이 끝난 시점에서 10개팀 중 유일하게 세트 승리가 없는 팀이기도 하다.

[1] 아직 경기가 많이 남아있어 변수가 튈 수 있기에, 당장은 가능성이 산술적으로는 그렇게 높진 않다.[2] 승리를 거둔 상대팀의 순위에 따라 승점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인데, "5전 전승"이면 이미 확보할 수 있는 최대 점수를 얻었기 때문에 가중치를 따지는 것이 의미가 없다.[3] 최종 중단된 경기 시간[4] 심지어 이때 BFX의 점멸은 모두 빠져있는 상황이었다.[5] 당시에는 화염 용의 영혼이 아닌 가시 갑옷을 끝없는 절망과 같이 사용했을 때 발생한 문제로, 이 외의 발동 조건은 사실상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