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9 19:30:38

3성 6부제(발해)



1. 개요2. 상세3. 발해만의 독자적 운영방식4. 6부 명칭의 변경

1. 개요

발해 문왕 때 편제된 중앙정치조직.

2. 상세

정당성(상서성)의 장관은 대내상(상서령)으로 좌사정(상서좌승상) 밑에 좌윤(상서좌승), 우사정(상서우승상) 밑에 우윤(상서우승)을 두고

좌사정 담당 좌육사(상서좌사) 밑에 충부(상서이부) ,인부(상서호부), 의부(상서예부)

우사정 담당 우육사(상서우사) 밑에 지부(상서병부), 예부(상서형부), 신부(상서공부) 를 두었다.[1]
왕 아래에 정당성(상서성),선조성(문하성),중대성(중서성)까지 합쳐 3성을 두었다.

그리고, 충부, 인부, 예부, 의부, 지부, 신부까지 합쳐 6부를 두었다.

3. 발해만의 독자적 운영방식

구조적으로 당의 명목상 제도를 그대로 본떠 이름만 바꾼 것이다. 하지만 명목과 실질의 괴리가 큰 당 제도의 특성 때문에 사료에 기록된 제도 그대로 운영했다면 아이러니하게도 발해만의 독자적인 운영 형태로 볼 수 있다.[2]

당의 것과 달리 충ㆍ인ㆍ의ㆍ지ㆍ예ㆍ신 등 유교식 명칭으로 구성되어 있는 걸로 보아 발해가 유교를 불교처럼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

4. 6부 명칭의 변경

그러나 발해 강왕 시기인 795년 11월 공부낭중이라는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문왕 이후 시기에 전통적인 이호예병형공으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어진다.

대이진 시기 문서인 함화 11년(841년) 중대성첩사본에는 춘부경이라는 직책에서 보듯이 주나라천지춘하추동 형식으로 강왕 이후 시기에 변경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예부경, 공부경이라는 기록이 대인선 시기인 925년에 나오는 것으로 보아 다시 전통적인 이호예병형공으로 회귀한 것으로 확인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 )안은 당의 관제[2] 명목상 당제는 중서성과 문하성에 대한 상서성의 우위를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중서·문하성이 의결기구가 되고 상서성은 집행기구로 운영되었다. 중서성, 문하성 관료가 상서성으로 전임하는 것은 강등 수준이 아닌 파직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기록된 발해 관제는 명목상 당 제도가 정리된 당육전(唐六典)의 구조를 비교적 충실히 따르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