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2:19:12

460번 지방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지방도 파일:Korea_Local_Highway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일반 지방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50037> 경기 <colcolor=#000,#e5e5e5> 349 원주 - 양평 · 372 파주 - 화천 · 387 남양주 - 철원 · 391 양평 - 화천
충북 519 영월 - 쌍용 - 단양 · 531 충주 - 원주 · 595 단양 - 고씨굴 - 영월
경북 910 봉화 - 삼척
북한 463 화천 - 철원 - 이천
남북 403 홍천 - 양구 · 407 춘천 - 화천 · 409 원주 - 횡성(서원) · 411 원주(신림) - 횡성(둔내) · 415 영월 - 강릉 · 421 정선 - 삼척 · 427 태백 - 삼척 · 451 홍천(내촌) - 인제 · 453 인제 - 양구
동서 406 횡성 - 동홍천 · 408 홍천 - 평창 · 410 평창 - 정선 - 강릉 · 414 정선 - 태백 · 418 인제 - 양양 · 420 홍천 - 평창 · 424 홍천 - 삼척 · 426 인제 - 고성 · 444 홍천읍 - 인제 · 446 인제 - 홍천(내면) · 456 평창 - 대관령 - 강릉 · 460 화천 - 양구 · 494 서홍천 - 횡성
시군 404 원주(문막 - 귀래) · 416 삼척(신리 - 호산) · 442 횡성(추동 - 새말) · 461 화천(다목리 - 간동) · 464 철원(지경 - 월하) }}}}}}}}}
국지도 | 지방도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1. 개요2. 경로3. 현황
3.1. 사고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지방도 중 하나이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엄청난 자가용의 보급으로 여름 휴가철만 되면 양평에서 속초까지 양방향으로 국도의 교통정체가 엄청나게 심하여 460번 지방도로를 아는 극소수의 사람들이 우회하여 인제군 원통리 으로 진출하는데 이용되었다.
이 당시 460번 지방도로는 산허리를 깎아서 만든 비포장길 이었고, 453번 도로는 포장이 되어 있었다.

2. 경로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양구군 동면을 잇는다. 도로명주소는 전구간이 평화로이다.

화천 구간은 평화의 댐을 건설하면서 같이 건설된 구간이다.

3. 현황

파일:attachment/460번 지방도/99.jpg
사진은 화천 쪽에서 진입해 해산령터널을 나오자마자 있는 간판. 터널 전 해산령을 올라가는 길도 상당히 험하다. 평화의 댐 반대쪽에서 올라오는 양구쪽 길도 험하기는 마찬가지. 다음 로드뷰

대부분의 구간이 헤어핀 쩌는 왕복 2차로로 되어 있으며, 최전방 지역에 위치해 있는 지방도라서 군사 시설 경고 문구가 도로변에 많이 있으니 조심하자.[1] 또한 관광할 만한 곳들이 도로 주변에 많이 있다. 하지만 두타연 같이 민간인 통제선 내에 있어서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 곳들도 있다.

양구와 화천을 직접 연결하는 유일한 도로이지만[2] 통행량은 정말 적다.[3] 겨울이 오면 미시령 옛길과 더불어 가장 먼저 통제될 정도로 길이 험하고 노면 상태도 좋지 않으며 선형도 매우 불량하고 시도때도없이 낙석이 길에 난무할 정도[4]의 도로 시설상태에 아직도 가드레일이 없어 극악무도한 운전 난이도를 요구한다.[5] 어느 정도이냐면 화천과 양구에서 운전을 배우는 지역 토박이들은 여기에 갔다 오면 운전에 무조건 자신감이 붙는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정도이다. 여기에 접근성도 떨어져 이 도로를 통행하는 사람은 군인과 현지인들, 그리고 드물게 방문하는 평화의 댐이나 두타연 관광객 정도이다. 하지만 남쪽으로는 해산(日山) 너머 파로호가 있어 길을 낼 수 없고[6], 북쪽은 조금 더 나은 길이 있긴 하지만 민통선 이북 지역이라 자유로운 통행이 제한되므로 해가 떠 있는 시간이 아니라면 싫어도 지나갈 수밖에 없다. 진짜 밤에 풍산리에서 방산면을 가야 하거나 그 반대라면, 운전에 진짜 자신감이 없으면 가지 말자. 매우 위험한데다 떨어지면 낭떠러지라 황천길 직행이다. 화천에서 양구로 넘어가는게 목적이라면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461번 지방도를 따라 오음리와 춘천시 북산면을 통해 46번 국도로 돌아가자.[7]

여담으로, 화천읍내 구간은 산을 넘지 않고 북한강을 따라 둘러가는데, 화천군 화천읍에서 동쪽으로 가면 볼 수 있는 "산수화터널"을 지나는 직선화 구간으로 우회하면 좀 더 빨리 갈 수 있다. 계속 가다 보면 풍산삼거리가 나오고 여기서 우측 방향으로 이어진다.

그 뒤 굽이굽이 고갯길을 쭉쭉 타고 올라가면 정상에 해산터널이 있다. 이 터널은 1989년 평화의 댐이 생길 무렵인 1988년 준공되었는데, 당시 최북단 최고봉 최장 터널이었기 때문에 이를 알리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8] 터널 상태도 별로지만, 해산터널을 지나 고갯길을 내려오면 앞의 표지판과 함께 수도 없는 헤어핀과 낭떠러지를 지나 평화의 댐 앞을 지나며, 평화터널을 지나, 양화터널을 지나면 바로 양구군으로 행정구역이 바뀐다. 이후 오천터널을 통과해 산 밑으로 내려가면 양구군 방산면을 거쳐 동면에서 31번 국도와 이어진다.

평화의 댐 직전에 비수구미로 내려가는 길이 있으나 육로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산을 타고 도보로 올라가야만 닿을 수 있다. 평화의 댐 정상이 수리하는 경우 이 길로 돌아가야 하는데 도로 상태가 본 도로보다도 심각하다. 참고로 여기, 옛날 평화의 댐 정상도로 개통 이전에 460번 지방도였다.[9]

이 도로 지형 특성상 통신장비의 수신이 어려므로 스마트폰 내비를 쓰는 사람은 지도 데이터를 받아놓거나 순정 내비게이션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화천군에서는 2015년부터 이 구간에 안보체험 경관 숲, 평화 자전거 누리길을 만들어 안보관광상품화하고 있으며, 신분증을 지참하여 민통선 검문소에서 출입 신청을 하면 이 구간을 자전거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민통선 검문소에서 출입 허가를 쉽게 내 주어서 한묵령로로 차량이 다닐 수 있게 되었으나, ASF로 인하여 통과는 시켜주지 않으며, 평화로로 우회할것을 알려준다.[10] 또한 사망자가 나왔던 자전거 대회에서는 이 길을 이용하게 되었다.

3.1. 사고

도로 상태가 워낙 험하다보니 대형사고들도 많았다. 2018년 12월 20일에 군복무 중인 아들의 면회를 갔다 오는 길에 교통사고가 나 일가족 모두가 사망한 안타까운 사고가 있었다. 이 사고로 김모 이병의 아버지는 크게 다쳤고 동승했던 어머니와 두 누나, 여자친구가 세상을 떠났다. 당초 운전자인 김씨는 사고 직후 중상인 상태로 살아있었지만 부상이 심해 결국 세상을 떠났다.[11] 여자친구의 소지품에선 김 이병이 여자친구에게 쓴 편지 10여통이 발견돼서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더욱 더 아프게 했다. 장례식에는 정경두 당시 국방부 장관과 김용우 당시 육군참모총장이 조문을 오기도 했다. 사고 직후 김 이병은 12일간의 청원 및 위로 휴가를 받았고 복귀 후 바로 국군병원에 입원해 의병전역을 신청했다. 이후 심의를 거쳐 2019년 2월 25일에 조기 전역했다#.

이처럼 사망사고도 많이 일어나며 자전거 대회 때에도 사망자가 나왔기 때문에 화천군이 민통선 북상을 2009년부터 추진 중인데, 민통선이 북상하면 현재 민통선 지역으로 묶여 있는 안동철교 ~ 평화의 댐 구간의 자유로운 통행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해산령을 대체할 우회 도로가 생기는 셈. 지도상으로는 더 돌아가는 듯 보이지만, 굽이길이 적고 상대적으로 평지 구간이라 오히려 시간이 더 적게 걸린다. 아마 2020년~2021년 경에는 자유로운 통행이 가능해질 예정이었지만 아프리카 돼지 열병으로 인해 한묵령이 통제가 되면서 통행을 할 수 없다.


[1] 위 사진에 모자이크 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데 그게 바로 군사 시설 관련 문구다.[2] 한묵령로는 민통선 안을 통과하며 화천군과 화천군을 잇는다. 중간에 철원군도 깨알만큼 거쳐가긴 하지만, 민통선 및 GOP, DMZ로 둘러싸여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화천군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사실상 월경지라고 보면 된다.[3] 물론 인구 2만 5천과 2만 2천 규모의 두 군 사이의 교류량 자체가 그리 많지 않다. 근데 화천 인구의 25%는 사내에 거주하므로, 실질적인 교류량은 더 적다.[4] 낙석이 있으면 직접 돌을 치우고 가야 한다..[5] 해산령 서쪽 지역에는 가드레일을 깔고 있다.[6] 과거엔 이쪽에 길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간동면 방천리 등의 최동단 지역은 중고등학교를 양구로 다니기도 했다고 한다. 화천읍보다 양구읍이 더 크기도 하고. 실제로 화천은 중심지가 화천읍내, 사창리, 다목리 등으로 나뉜 반면 양구는 국토정중앙면과 양구읍내 정도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만한 중심지가 없다.[7] 과거에는 춘천과 양구를 잇는 길이 매우 험해 이쪽으로 가도 딱히 나을건 없었으나, 지속적인 선형개량으로 현재는 북산면으로 가는게 훨씬 더 낫게 되었다.[8] 근데 당시에도 여기보다 150m 위에 화악터널이 존재했다. 왜 최고봉인지는 아이러니..[9] 1989년까지 460번 지방도 구간이었으며 1990년 평화의 댐 일주도로가 준공,개통되면서 해지되었다.[10] 길을 가다 보면 민통선 검문소 시설처럼 보이는 곳이 3군데 있는데, 앞의 두 곳은 과거의 검문소이니 겁먹지 않아도 된다.[11] 운전자인 김씨를 제외한 나머지 4명은 차 밖에서 발견됐다고 한다. 튕겨져 나간 것으로 추정되며 이럴 경우 생존 확률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