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7:55:58

AM 제너럴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
AM 제너럴
파일:AM 제너럴 로고.png
창립일 1974년 8월 16일 ([age(1974-08-16)]주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모기업 KPS 캐피털 파트너스
CEO 제임스 J. 캐논
본사 미국 인디애나주 사우스 벤드
공식 누리집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생산 차량
3.1. 단종 차량
3.1.1. 독자 생산 모델3.1.2. 위탁 생산 모델

1. 개요

미국의 군용차량 제조사이다.

2. 역사

카이저 인더스트리즈의 자회사였던 카이저 지프스튜드베이커로부터 사우스 벤드 공장을 비롯한 생산설비와 군수품 사업부 "제너럴 프로덕트 디비전(General Products Division)"을 1964년에 인수한 것이 시작으로, 미국 정부와 8천 7백만 달러 규모의 군용트럭 계약을 맺어 사우스 벤드 공장에서 군수용차를 생산했다.

1970년에는 아메리칸 모터스 코퍼레이션(이하 AMC)이 카이저 지프를 인수하며 지프의 관공서용, 군수용 차량 납품계약과 함께 제너럴 프로덕트 디비전을 이어받았다. 이때 AMC는 제너럴 프로덕트 디비전을 자회사로 만들며 "AM 제너럴 코퍼레이션"으로 개명했으며 군용차, 우편차, 시내버스를 제조했다. 1970년대를 거치면서 AMC가 경영난에 처해 르노에 점차적으로 자사 지분을 매각하다가 1982년에 AMC의 지휘권이 르노로 넘어가자 당시 프랑스 정부 산하의 국유기업이라는 점을 지적한 미국 정부가 해외 정부의 군수업체 지분 보유 금지법안에 따라 1983년에 AM 제너럴을 강제 매각시켰다.

AMC로부터 매각된 AM 제너럴은 LTV 코퍼레이션이 인수했으며, 1992년에 렌코 그룹(Renco Group)으로 매각되었다.

3. 생산 차량

3.1. 단종 차량

3.1.1. 독자 생산 모델

3.1.2. 위탁 생산 모델

파일:am 제너럴 메트로폴리탄.jpg
캐나다의 플라이어 700 시리즈를 도입, 개수해 만든 차량. 1970년에 웨스턴 플라이어 D700의 라이선스를 획득한 AM 제너럴이 자체적으로 개수했으며, 미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AM 제너럴에 라이센스를 제공하여 미국 운수업 납품에 필요한 국산화율을 달성하고자 했다. AM 제너럴도 당시 미국 정부가 주도하던 시내버스 개발 프로젝트 트랜스버스 프로그램(Transbus Program)에 참여해 버스 납품계약을 맺고자 플라이어 D700을 도입했다.

뉴 룩 버스를 모방한 플라이어 D700이 옆창문까지 뉴 룩 버스의 평행사변형 옆창문을 유지한 것과 달리 직사각형으로 변경되었고, 구동계도 플라이어 D700의 골격을 유지하되 플라이어의 자체 구동계 대신 GM 뉴 룩 버스의 구동계를 도입해 디트로이트 디젤 엔진으로 변경했다.

운수업체에서는 강한 파워와 눈길에서의 핸들링, 쾌적한 시야로 호평받은 반면 덜덜 떨리는 창문의 잡소리, 골격 문제, 차체의 부식문제 등을 지적받았다. 특히 내구성으로 호평받은 GM 뉴 룩 버스의 구동계를 도입했으나 이 구동계로 인해 무게배분이 나빠지며 장기운행시 프레임에 금이 가는 결함이 발생했고, 이는 AM 제너럴 메트로폴리탄의 평판에도 악영향을 주었다.

생산기간 동안 총 세 차례에 걸쳐 업데이트되었으며, 미국 정부의 기조가 변경되며 트랜스버스 프로그램도 관심에서 밀려나자 AM 제너럴이 버스 사업에서 철수하며 1979년에 단종되었다. 이때까지 총 5,212대가 만들어졌다.#


[1] 당시 판매명칭은 허머였으나, 허머가 GM으로 인수된 이후 브랜드로 승격되어 원본 차종의 이름은 허머 H1이 되었다.[2] 지프 CJ 시리즈 기반의 우편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