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미지 파일을 나타내는 확장자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MP(확장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MP(확장자)#|]][[BMP(확장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BMP 시리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MP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MP 시리즈#|]][[BMP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Basic Multilingual Plane
유니코드 문자 집합의 문자 평면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기본 | 보조 | |||||||||||
<rowcolor=#FFF> Plane 0 0000~FFFF | Plane 1 10000~1FFFF | Plane 2 20000~2FFFF | Plane 3 30000~3FFFF | Planes 4-13 40000~DFFFF | Plane 14 E0000~EFFFF | Planes 15-16 F0000~10FFFF | |||||||
기본 다국어 평면 #s-3 | 보조 다국어 평면 SMP | 보조 표의문자 평면 SIP | 3차 표의문자 평면 TIP | (사용 안 함) | 보조 특수 목적 평면 SSP | 사용자 자유 영역 PUA | |||||||
0XXX | 8XXX | 10XXX | 18XXX | 20XXX | 28XXX | 30XXX | 38XXX | 문자 없음 | E0XXX | 15: PUA-A | |||
1XXX | 9XXX | 11XXX | 19XXX | 21XXX | 29XXX | 31XXX | 39XXX | F0000-FFFFF | |||||
2XXX | AXXX | 12XXX | 1AXXX | 22XXX | 2AXXX | 32XXX | 3AXXX | ||||||
3XXX | BXXX | 13XXX | 1BXXX | 23XXX | 2BXXX | 33XXX | | 16: PUA-B | |||||
4XXX | CXXX | 14XXX | 1CXXX | 24XXX | 2CXXX | | | 100000-10FFFF | |||||
5XXX | DXXX | 15XXX | 1DXXX | 25XXX | 2DXXX | | | ||||||
6XXX | EXXX | 16XXX | 1EXXX | 26XXX | 2EXXX | | | ||||||
7XXX | FXXX | 17XXX | 1FXXX | 27XXX | 2FXXX | | |
기본 다국어 평면. 유니코드에서 웬만한 문자 체계는 다 집어넣은, 언어학상으로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U+0000 ~ U+FFFF까지의 코드가 부여된다. 이 안에 있는 문자 집합의 분류는 유니코드 문서에 있다.
이후에 나온 SMP, SSP 등과는 달리 많은 항목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데, 유니코드의 슬로건 자체가 "모든 문자 체계를 온전히 표현한다"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15.1 버전 기준 U+2FE0..U+2FEF 영역의 16개 코드포인트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 블록이 할당되어 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SMP, SIP, SSP이다. U+0***~1***은 세계 각국의 문자, 2***은 각종 기호와 그림문자(🤤🐕) 등이고, 4***~9***은 한자, A0**~AB**은 세계 각국의 문자 확장판, AC*~~D7**은 한글문자와 자모 확장판(D800부터 DFFF까지는 surrogate 영역), E***~F***은 사용자 정의 영역이다.
BMP에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것은 다름 아닌 한자다. 그리고 한글도 한자 못지않게 많은 자리[1]를 차지하고 있다. 위 이미지에서 Unified CJK Han이 한자 영역, 11과 AC~D7 부분이 한글 영역이다.
4. Be-Music Phase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e-Music Phas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e-Music Phase#|]][[Be-Music Phas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