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03:04:00

BedWars(Roblox)/마법부여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BedWars(Roblox)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BedWars(Roblox)/업그레이드
,
,
,
,
,


파일:bedwars icon.png
<colbgcolor=#0080ff> 모드 <colbgcolor=#2462db> 아이템 <colbgcolor=#495bb6> <colbgcolor=#6d4992> 업그레이드 <colbgcolor=#92376d> 마법부여대 <colbgcolor=#b62549> 명령어 및 스크립트 <colbgcolor=#db1224> 키트(일반/배틀패스/스킨) <colbgcolor=#f00> 번들
배틀패스 논란 및 사건사고 문제점 맵 투표(시즌 10) 클랜 유물(시즌 6) 대장간(시즌 8)

1. 개요2. 마법부여대3. 인챈트 목록
3.1. 무기 인첸트3.2. 방어구 인첸트3.3. 도구 인첸트

1. 개요

마법부여대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다.

2. 마법부여대

파일:BedWars EnchantTable.png
배틀패스 시즌 3 업데이트에 추가한 시스템. 마인크래프트의 마법 부여를 모티브로 하였다.

처음엔 발화, 감전, 처형으로 3가지였다. 첫 인챈트 업데이트로 6가지가 더 생겼었지만 대부분이 방어적인 인챈트인지라 메타에 큰 타격을 주진 못하였었다. 또 다시 바꿔서 새로운 인챈트를 추가하고, 잘 안쓰는 인챈트를 삭제하였으며 2024년 12월 12일 12시즌 업데이트로 대량의 인첸트가 생겨남과 동시에 방어구 인첸트, 도구 인첸트가 추가되었다. 2025년 2월 1일 또 다시 인첸트 업데이트를 하며 인첸트가 추가되며[1] 변화를 주었다.

2025년 2월 3일 기준 모든 인첸트는 모두 19개다.

흙 블록 9칸 중간에 검은 테이블이 있다. 그 테이블을 다이아몬드 8개로 고치면[2], 인첸트가 활성화 된다.
[역대 패치]
[패치 0]
|| 자원 소모량 || 레벨 ||
철 80개 1
에메랄드 4개 2
[패치 1]
|| 자원 소모량 |||||||| 레벨 당 확률 ||
철 80개 1
에메랄드 4개 2 70% 3 30%
[패치 2]
|| 자원 소모량 |||||||| 레벨 당 확률 ||
철 80개 1 70% 2 30%
에메랄드 4개 3 30% 4 70%
[패치 3]
|| 자원 소모량 |||||||| 레벨 당 확률 ||
철 80개 1 70% 2 30%
에메랄드 3개 3 100%
[패치 4]
|| 자원 소모량 ||<-4> 레벨당 확률 || 개수 || 지속시간 ||
50철 1 70% 2 30% 한 개[3] 180초(3분)
2에메랄드 3 100%
[패치 5]
|| 자원 소모량 ||<-4> 레벨당 확률 || 개수 || 지속시간 ||
50철 1 70% 2 30% 한 개 180초(3분)
2에메랄드 3 100%
4에메랄드 1~3[4] 100%
[패치 6]
|| 자원 소모량 ||<-4> 레벨당 확률 || 개수 || 지속시간 ||
80철 1 70% 2 30% 한 개 180초(3분)
2에메랄드 3 100%
4에메랄드 1~3[5] 100%
[패치 7]
|| 자원 소모량 || 레벨당 확률 || 개수 || 지속시간 ||
2에메랄드 레벨 시스템 삭제 한 개 무제한
[패치 8]
|| 자원소모량[6] || 개수 || 지속시간 ||
2에메랄드, 5보이드 크리스탈, 3보이드 크리스탈 최대 3개 무제한
[패치 9]
|| 자원소모량[7] || 개수 || 지속시간 ||
2에메랄드, 5보이드 크리스탈, 1에메랄드 최대 3개 무제한


3. 인챈트 목록

원래 무기 인첸트에 모든 종류의 인첸트가 있었지만 2024년 12월 14일 시즌12 업데이트로 인해 3종류로 늘어나며 인첸트 개수도 최대 3개로 늘어나게 되었다.[8]

3.1. 무기 인첸트

사진 이름 설명
파일:enchant_fire.png 화염(Fire) 적을 타격하면 잠시 동안 목표가 지속 피해를 받는다. 모든 무기에 적용되며 도트딜을 준다. 목표를 여러번 공격할시 최대 스택이 쌓이며 스택에 따라 더 높은 피해를 받는다
파일:enchant_static.png 감전(Static) 적을 타격하면 목표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모든 적이 추가 피해를 받는다. 힐밴 능력이 있으며 각각 10의 추가 대미지를 입힌다. 2초의 쿨타임을 가졌다.
파일:enchant_void.png 처형(Execute) 적의 체력이 15%가 되면 즉시 처치한다. 적을 여러번 때릴시 처치 체력 %가 2.5%씩 증가한다.
파일:Strike Enchant.webp 치명타(Critical Strike) 전투 시 25% 확률로 40~55%의 추가데미지를 준다. 다른 전투 인챈트에 비해 추가 대미지는 높으나 확정이 아니라 확률이다.
파일:Forest_Enchant.png 숲(Forest) 이 인챈트를 얻으면 최대체력이 이 인챈트의 비례해 늘어난다. 상대를 타격시 각각 체력의 2%의 추가데미지를 주며 각각 최대 체력의 2%의 체력을 늘린다. 인챈트를 죽어서 잃는다면 최대체력이 조금 줄어드니 주의.
파일:배워버서커.png 버서커(berserker) 체력이 30% 이하로 내려갈 시, 체력이 줄어들수록 회복량과 공격력이 증가한다.
파일:배워휩쓸기.png 쪼개기(Cleave) 검으로 적을 공격했을때 근처에있는 적이 70%의 피해를 받는다.
파일:배워소울리버.png 영혼 약탈자(Soul Reaver) 적을 처치했을때 5초동안 근처에 대미지를 주는 아우라가 생기며 스택을 쌓는다. 스택을 쌓을수록 주는 대미지와 아우라의 범위가 늘어난다.
[삭제된 인챈트 펼치기/접기]
|| 사진 || 이름 || 레벨[9] || 능력 ||
파일:라이프 스티루.png 체력 흡수(Life Steal) 1~3 적을 타격했을때 일정 수치만큼 체력을 회복한다. 현역시절 불, 스태틱과 함깨 인첸트중 가장 사기인 능력이였다.
파일:접착_Enchant.png 접착(Sticky) 3 상대를 타격시 1초 동안 감속이 되고 이동 아이템/효과[10]의 효과를 볼 수 없다. 2023년 7월 15일 업데이트로 인해 삭제되었다.[11]
파일:wind_Enchant.png 바람(Wind) 3 상대를 타격하면 공격 속도가 증가한다. 최대 5중첩. 연속 타격 시 지속시간이 갱신된다. 위와 마찬가지로 2023년 7월 15일 업데이트로 인해 삭제되었다. 이것도 별로 안 써서 삭제되었던 것 같다.
파일:Clingy Enchant.webp 귀속(Clingy) 2 죽을때 랜덤적으로 4개 아이템은 사라지지 않고 소유할 수 있게 하는 인챈트이다.
파일:Volley.webp 일제 사격(Volley) 3 활 발사시 여러 발이 나가며 그에 따라 추가 데미지가 들어간다. 이도 쿨타임은 있다.
파일:Shield_Gen_Enchant.png 쉴드 생성(Shield Gen) 1~2[12] 진저브레드의 슬라임처럼 쉴드가 생긴다. [13] 최대 채울 수 있는 쉴드는 티어 1, 2 각각 8, 15이다. 여담으로 평가가 그렇게 좋지 않은데, 쉴드가 다 깎인 후 한참 있다 쉴드가 차기 때문이다. 또한 불이나 번개 인챈트를 가진 사람이랑 싸우면 진다. 불/번개 눈덩이로 쉴드를 깎고 싸운다는 대처법이 있기 때문. 다만 낙뎀을 받으면 그 즉시 채워진다. 이건 후술할 빠른 재생도 마찬가지.
파일:Enchant.png 재빠른 재생(Rapid Heal)[14] 1~2 [15] 체력이 재생된다. 티어 2는 틱당 2 체력을 회복시킨다. 다만 티어 2 같은 경우는 일반 재생보다 느리다.
파일:Anti_Knockback_Enchant.png 넉백 저항(Anti Knockback) 2 적에게 공격 당할시 5초 동안 쉴드가 생기며 넉백을 없앤다. 별거 아닌것처럼 보여도 상대는 넉백을 당하고 자신은 당하지 않기 때문에 콤보를 넣을 수 있으며 1v1 에서 상당히 유리한 인챈트이다. 1v1 상황 말고도 다른 상황, 특히 침대 공략에서도 유용하게 쓰이는건 덤. 그 대신 도망갈 때 도움이 되는 넉백이 없어져 쉴드가 생겼을 때 상대의 검에 일점사당해 죽을 수도 있을 만큼 양날의 검 특성이 매우 크다.
파일:Junp_Enchant.png 윈드 점프(Updraft) 2 점프가 2칸에서 5칸으로 높아진다[16].

3.2. 방어구 인첸트

2024년 12월 14일 시즌12 업데이트로 생겨난 새로운 종류의 인첸트이다.
사진 이름 설명
파일:배워흡수.png 블로킹(Blocking) 적의 공격을 1번 막아주는 방패를 소환한다. 방패는 전투에 벗어나있으면 5초후 자동으로 재생된다.
파일:배워진짜흡수.png 흡수(Absorption) 적에게 25번 공격받으면 25의 대미지를 입히는 구체를 소환한다.
파일:배워서리.png 서리(Frost) 체력이 50%이하로 내려가면 주변 적에게 둔화를 주는 얼음 결정을 소환한다.
파일:배워클라우드.png 구름(Cloud) 게이지를 써 공허 위로 걸어다닐수 있다. 게이지는 공어 위에 있지않으면 자동으로 찬다.
파일:배워스위프트.png 스위프트(Swift) 5초동안 전투에 벗어나있으면 속도가 20%빨라진다.
파일:배워사운드베리어.png 소리방어막(Sound Barrier) 체력이 50% 이하로 내려가면 주위 팀원에게 점점 사라지는 방어막을 준다.
파일:배워스톤가드.png 돌 가드(Stoneguard) 적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받을때 최대체력이 2 증가한다. 최대 증가량은 40이며 전투에서 20초간 벗어나있으면 초기화된다.

3.3. 도구 인첸트

2024년 12월 14일 시즌12 업데이트로 생겨난 새로운 종류의 인첸트이다.
사진 이름 설명
파일:배워해비히터.png 무거운 타격(Heavy Hitter) 주위 블럭들도 같이 캐진다.
파일:배워산산조각.png 파쇄 타격(Shatter Strike) 일정 확률로 블럭이 한번에 부서진다.
파일:배워폭발.png 폭발(Explosive) 10번째 타격마다 폭발이 일어난다.
파일:배워효율.png 효율(Efficiency) 블럭을 캐는 속도가 50% 빨라진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1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1 (이전 역사)
문서의 r2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게 오늘의 인챈트이다.[2] 이때 다이아몬드는 팀 상자에 있는것이 아닌 직접 들고 있어야 고칠수 있다[3] 처음에는 Era를 4티어까지 올리면 두 개를 얻을 수 있었으나 패치되어 인챈트 하나를 얻고, 지속시간이 두 배가 된다.[4] 팀원이나 자신이 예전에 뽑았던 인첸트를 바로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5] 팀원이나 자신이 예전에 뽑았던 인첸트를 바로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6] 왼쪽부터 차례대로 무기인첸트, 방어구 인첸트, 도구인첸트이다[7] 왼쪽부터 차례대로 무기인첸트, 방어구 인첸트, 도구인첸트이다[8] 여담으로 클라우드를 제외한 모든 방어구 인첸트와 도구 인첸트는 새로 생겨난 것이다.[9] 과거 레벨 시스템이 있었으나 현제는 사라진 시스템이다[10] 제이드의 망치(쓰지 못함), 보이드 리젠트의 도끼(쓰지 못함), 엔더진주(그전에 써도 순간이동 안함), 단검(공격시 7칸 이내의 적에게 순간이동하는 것만 막힘), 낫(풀차징해서 약간 더 움직이는 것만 막힘), 다오검(발도술 불가), 일렉트라의 스킬(쓰지 못함) 등등.[11] 이 인챈트는 글룹으로 대체가 가능해서 삭제한거 같다.[12] 2022년 3월 26일 업데이트 이후 3이 삭제되었다.[13] 체력이 다 차면 차는 것이 아닌, 함께 찬다.[14] 3월 26일 업데이트 이전에는 Rapid Regen이였다.[15] 2022년 3월 26일 업데이트 이후 3 삭제됨.[16] 원래는 2단 점프가 되었으나 지금은 패치된 상태다. 2단 점프하면 낙뎀을 받았기 때문이다. 근데 문제는 점프 부츠에도 이게 적용되어 더 이상 2단 점프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