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한민국의 가수
2. 메르세데스-벤츠의 대형쿠페
3. 일본 연예 기획사 LDH의 방송 플랫폼
4. 약자
4.1. UEFA 챔피언스 리그
Champions League의 약칭. 보통 UEFA Champions League의 약칭인 UCL을 많이 쓴다.
4.2.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Copa Libertadores의 약칭. CONMBOL 리베르타도레스라는 약칭도 있지만 상당히 길다 보니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라는 이름을 많이 쓴다.
4.3. NPB 센트럴 리그
NPB 센트럴 리그의 약칭. 보통 '세리그(セ・リーグ)'라고 부른다.4.4. LCK CL
LCK의 2군리그 풀네임은 LCK Challengers League이다.챌린저 리그, CL이라고도 부른다. 프랜차이즈제 도입전에는 챌린저 코리아였어서 챌코라고도 부른다.
4.5. 챌린저 리그
코드 A의 새로운 이름인 첼린저 리그를, 줄임말로 CL이라고 부른다.
4.6. Common Lisp
자세한 내용은 LISP문서 참조4.7. 칠레의 국가 코드
칠레 공화국(Republic of Chile)의 두 자리 국가 코드이다. CL이라고 표기한다.[1]5. 염소의 원소 기호
염소의 화학식. 다만 올바른 표기는 CL이 아니라 뒷글자를 소문자로 표기해 Cl이라고 써야한다.
6. 루프트한자 시티라인의 IATA 코드
7. 기타
- 청소율(Clearance)을 나타내는 준말.
- 위상 공간의 어떤 집합의 폐포(closure)를 나타내는 기호.[2]
[1] 세 자리는 CHL[2] 실수에서 [math( (0,1) )]와 같이 모든 끝점을 포함하지 않으면 열려있는 것, [math( [0,1] )]와 같이 모든 끝점을 포함하면 닫혀있는 것이라 구분한다고 하자. 폐포는 쉽게 생각해서 어떤 집합을 닫혀있도록 만들기 위해서 최소한으로 끝점같은 것들을 다 막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즉, [math( (0,1) )]의 폐포는 [math( [0,1] )]이고, [math( [0,1) \cup (2,3) )]의 폐포는 [math( [0,1] \cup [2,3] )]이다.] 보통 [math( \mathrm{cl} A )]또는 [math( \overline{A} )]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