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웨이드의 세 번째 음반}}}에 대한 내용은 [[Coming Up(음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Coming Up(음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Coming Up(음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웨이드의 세 번째 음반: }}}[[Coming Up(음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Coming Up(음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Coming Up(음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 곡 | ||||
Funkytown (4주 연속)[1] Lipps Inc. | → | Coming Up (3주 연속)[2] Paul McCartney | → | It's Still Rock and Roll to Me (2주 연속)[3] Billy Joel |
Coming Up | |||
<colbgcolor=#c8ac5c><colcolor=#000> 수록 앨범 | |||
앨범 발매일 | 1980년 5월 16일 | ||
싱글 발매일 | 1980년 4월 11일 | ||
싱글 B면 | Coming Up (Live at Glasgow), Lunch Box/Odd Sox | ||
작사/작곡 | 폴 매카트니 | ||
프로듀서 | 폴 매카트니 | ||
장르 | 펑크 록(Funk rock), 뉴웨이브 | ||
러닝 타임 | 3:49[4] / 4:10[5] / 3:51[6] / 5:36[7]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 개요
2011년 리마스터 버전 | 1979년 글래스고 라이브 (Archive Collection) | 1979년 글래스고 라이브 (싱글 B사이드)[8] | 풀 버전 |
상당히 리드미컬한 곡으로 레게 리듬이 사용되었다. 재미있는 점은 당대 유행하던 뉴 웨이브의 사운드를 적극 수용했는데, 이런 사운드 때문에 이 곡의 공식 뮤직비디오 영상에 '내가 제일 좋아하는 토킹 헤즈 노래'라는 코멘트가 베스트 댓글을 먹을 정도. 실제로 토킹 헤즈의 1980년작 Remain in Light의 곡들과 사운드 측면에서 유사점이 돋보인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곡의 발표가 Remain in Light보다 먼저였다는 점.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받은 듯해 보인다.
발표 1년 전인 1979년부터 만들었다고 한다. 폴 매카트니의 인터뷰에 의하면 스코틀랜드의 농장에서 작업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리듬 박스에 드럼을 얹고 그 위에 일렉트릭 기타 트랙을 올리고 그 다음 신시사이저, 보컬의 순서로 층층이 쌓아올리는 작법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처음 곡을 완성했을 때는 길이가 5분 51초였다고 한다. 당초에는 이 버전 그대로 McCartney II 앨범의 마지막 트랙으로 실으려 했다 알려져 있으나[9], 싱글로 발매하기 위해 3분 53초로 줄였고 4월에 싱글로, 5월에 앨범의 오프닝 트랙으로 발매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폴 매카트니와의 관계를 회복했던 존 레논이 생전 인터뷰에서 좋은 곡이라 칭찬하기도 했다. 실제로 존 레논은 Coming Up 싱글에 음악적 자극을 받아 5년 만의 앨범인 Double Fantasy를 제작하기 시작한다.
누군가가 제게 폴의 최신 앨범을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길래 제 생각에 폴이 우울하고 슬픈 것 같다고 대답했습니다. 하지만 그 때 전곡을 듣지 않았음을 깨달았죠. 한 곡을(Coming Up) 들었는데 잘 만든 곡이더군요. 그리고 나서 폴의 우울하게 들리는 다른 곡[10]을 들었습니다.
- 존 레논 -
아래는 폴의 인터뷰.- 존 레논 -
뉴욕에서 존과 녹음했던 남자로부터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존이 종종 게으름을 피운다고요. 그러나 그가 제 곡을 듣자 '젠장, 폴이 제대로 하고 있다고!'라고 생각했다고 하네요. 확실히 Coming Up은 존이 다시 녹음하게끔 만든 노래입니다. 존이 '오, 나도 음악작업을 하는 게 낫겠군'이라고 생각했다고 봅니다. 멋진 이야기라고 생각해요.
- 폴 매카트니 -
- 폴 매카트니 -
2. 뮤직 비디오
공식 프로모 비디오 |
이 곡의 뮤직 비디오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재미다. 폴과 린다 매카트니 단 두 명이 출연한 비디오에서 폴은 1인 10역을 해냈다. 폴은 직접 행크 마빈[11], 론 맬[12], 비틀즈 초기 시절의 폴 매카트니(!) 역을 소화해냈다.
또 흥미로운 점은 드럼 키트에 적혀 있는 밴드명을 'The Plastic Macs'라고 지었다는 점이다. 여러모로 존 레논의 'Plastic Ono Band'와 Dirty Mac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이 프로모션 비디오는 영국에서는 1980년 4월 24일 Top Of The Pops에서, 미국에서는 5월 17일 Saturday Night Live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3. 가사
Coming Up You want a love to last forever One that will never fade away I want to help you with your problem Stick around, I say 넌 영원한 사랑을 원하지 결코 사라지지 않을 사랑을 말이야 네 문제를 같이 돕고 싶어 가만 있어봐, 내 말이 It's coming up, ooh Coming up, yeah Coming up, like a flower Coming up, I say, ooh 이제 금방이야 금방이야, 그래 금방이야, 꽃봉오리처럼 금방이라니까, 내 말이 You want a friend you can rely on One who will never fade away And if you're searching for an answer Stick around, I say 넌 의지할 수 있는 친구를 원하지 영원히 네 곁을 떠나지 않을 친구 만약 네가 해답을 찾고 있다면 기다려봐, 내 말이 Coming up, ooh Coming up Coming up, like a flower Coming up, yeah 금방이야 금방이야 금방이야, 꽃봉오리처럼 금방이라고, 그래 You want some peace and understanding So everybody can be free I know that we can get together We can make it, stick with me 넌 평화와 이해를 원하지 모두가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난 알아, 우린 함께 얻을 수 있어 우린 해낼 수 있어, 나와 함께해 It's coming up Coming up, can't you see? Coming up like a flower Coming up for you and me 이제 금방이야 금방이야, 모르겠어? 금방이야, 꽃봉오리처럼 너와 나한테는 금방이지 Coming up Coming up 금방이야 금방이야 Coming up Coming up, I say Coming up like a flower Coming up I feel it in my bones Yeah-yay-yay-yay-yay 금방이야 금방이야, 내 말이 금방이야, 꽃봉오리처럼 금방이야 뼛속 깊이 느껴져 예, 예, 예, 예, 예이! You want a better kind of future One that everyone can share You're not alone, we all could use it Stick around, we're nearly there 넌 더 나은 미래를 원하지 모두가 함께 나누는 미래를 넌 혼자가 아니야, 우리 모두 쓸 수 있어 기다려봐, 거의 다 왔다고 Coming up, ooh Coming up, everywhere Coming up, like a flower Coming up, for all to share Coming up, yeah Coming up, anyway Coming up, like a flower It's coming up 금방이야 금방이야, 어디에서든 금방이야, 꽃봉오리처럼 금방이야, 모두와 함께 나눌 수 있게 금방이야, 그래 금방이야, 어찌 됐든 금방이야, 꽃봉오리처럼 이제 금방이야 |
[1] 1980년 5월 넷째 주부터 6월 셋째 주까지 4주 연속 1위[2] 1980년 6월 넷째 주부터 7월 둘째 주까지 3주 연속 1위[3] 1980년 7월 셋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2주 연속[4] 스튜디오 버전.[5] 1979년 글래스고 라이브(Archive Collection 버전).[6] 1979년 글래스고 라이브(싱글 B사이드 버전).[7] 풀 버전.[8] Archive Collection에 수록된 버전과는 달리 절 두 개가 빠져서 곡의 길이가 약간 짧다.[9] 당시 폴은 McCartney II를 더블 앨범으로 기획 중이었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Coming Up이 마지막 트랙으로 실린 McCartney II의 더블 앨범 버전은 'The Lost McCartney Album'이라는 타이틀의 비공식 부틀렉에서 찾아볼 수 있다.[10] 이 곡에 대해서는 McCartney II 앨범의 Waterfalls, Summer's Day Song, One of These Days 등이 후보로 꼽힌다.[11] 섀도우즈의 기타리스트[12] 스파크스의 멤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