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9:43:39

ENDER MAGNOLIA: Bloom in the Mist/보스

1. 하층
1.1. 지하실험장 옛터
1.1.1. 실험체 소년 리트
1.2. 하층 구시가지
1.2.1. 검은 날개의 사냥꾼 요르반1.2.2. 칼라드리우스1.2.3. 낡은 상층 경비병
1.3. 사슬탑
1.3.1. 사슬짐승1.3.2. 탑의 처형자
1.4. 붉은 숲
1.4.1. 미친 늑대 베올
1.5. 최종처분장
1.5.1. 쓰레기터의 왕1.5.2. 거대 쇠똥구리
1.6. 마석채굴장
1.6.1. 묘지기 거인 가람1.6.2. 제1 채굴반 반장
1.7. 결정비경
1.7.1. 깊은 곳에 숨은 자 라르스1.7.2. 미친 기사 레이볼크
2. 중충
2.1. 중층 중앙로
2.1.1. 총괄자 길로이
2.2. 중층 철골 거리
2.2.1. 전투인형 7호2.2.2. 전투인형 20호2.2.3. 전투인형 14호2.2.4. 전투인형 56호
2.3. 마법학교
2.3.1. 철의 마녀 루사이2.3.2. 교육자 일라이자
2.4. 데클런 저택
2.4.1. 타락한 마법사 데클런2.4.2. 꼭두각시 47호
2.5. 마도공장
2.5.1. 베르네스트2.5.2. 벨그린드
2.6. 생체연구소
2.6.1. 총괄자 길로이 (전투형)2.6.2. 어그레서
2.7. 상층
2.7.1. 총괄자 길로이 (완전체) A엔딩2.7.2. 총괄자 길로이 (완전체) B엔딩2.7.3. 근위병 대장 펠리우스
2.8. 최하층
2.8.1. 미친 기사 레이볼크2.8.2. 비상하는 근원 마물2.8.3. 들러붙는 근원 마물

[clearfix]

1. 하층

1.1. 지하실험장 옛터

1.1.1. 실험체 소년 리트

본 게임의 첫번째 보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2페이즈로 진입하며, 추가 패턴이 생긴다.

1.2. 하층 구시가지

1.2.1. 검은 날개의 사냥꾼 요르반

하층 구시가지의 메인 보스.

1.2.2. 칼라드리우스

검은 날개의 사냥꾼 요르반의 다른 형태이자 2차전. 전작의 수호자 시그리드, 실바와 마찬가지로 본래의 형태가 거의 남지 않은 괴물의 형상이다.[5]

1.2.3. 낡은 상층 경비병

변이체의 습격으로 소년, 소녀와 함께 하층으로 떨어진 거대한 경비용 호문쿨루스로, 최종 구역인 상층 통제구역에 등장하는 경비병의 부위파괴 형태와 똑같다.

1.3. 사슬탑

1.3.1. 사슬짐승

사슬탑의 메인 보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66% 이하로 떨어지면 몸에서 증기를 뿜어내며 2페이즈로 돌입한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40% 이하로 떨어지면 3페이즈로 돌입한다.

1.3.2. 탑의 처형자

사슬탑에서 조우할 수 있는 처형자 계열 몬스터의 강화형.

1.4. 붉은 숲

1.4.1. 미친 늑대 베올

붉은 숲의 메인 보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70% 이하로 떨어지면 포효하며 2페이즈로 돌입한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40% 이하로 떨어지면 몸에 번개를 두르며 3페이즈로 돌입한다.


쓰러뜨리면 하티를 강화해 세로로 된 벽을 파괴할 수 있는 진격하는 하티 이동기를 얻을 수 있다.

1.5. 최종처분장

1.5.1. 쓰레기터의 왕

최종처분장의 메인 보스. 검은 날개의 요르반과 마찬가지로 2차전으로 진행된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다리가 떨어져 나가 몸통만 남은 채로 2페이즈로 돌입한다. 2페이즈에서는 때릴 때마다 보스의 본체가 살짝 밀리기 때문에 위치를 잘못 잡으면 예상치 못한 공격에 대미지를 입기도 하므로 주의.

페이즈 전환 : 체력을 전부 깎으면 몸통이 파괴되고, 내부에 있는 구체가 드러나며 3페이즈로 돌입한다. 가끔씩 체력이 전부 깎이지 않았는데도 잡은 것으로 처리될 때가 있다.


쓰러뜨리면 공중 장치에 매달릴 수 있는 모틀리의 마법 실 이동기를 얻을 수 있다.

1.5.2. 거대 쇠똥구리

최종처분장에서 조우할 수 있는 쇠똥구리 계열 몬스터의 강화형.


쓰러뜨리면 조율사 야로우를 구출할 수 있으며, 마을에서 유품을 강화할 수 있는 기능이 해금된다.

1.6. 마석채굴장

1.6.1. 묘지기 거인 가람

마석채굴장에서 조우할 수 있는 채굴 로봇 계열 몬스터의 강화형이자, 메인 보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75%로 떨어지면 몸에서 증기를 내뿜으며 2페이즈로 돌입한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40%로 떨어지면 괴성을 지르며 3페이즈로 돌입한다.


쓰러뜨리면 바닥에 부술 수 있는 벽을 파괴할 수 있는 대지를 찢는 가람 이동기를 얻을 수 있다.

1.6.2. 제1 채굴반 반장

마석채굴장에서 조우할 수 있는 노동용 로봇에 탑승한 몬스터의 강화형으로, 일반 개체와 달리 붉은색으로 도색되어 있다.

1.7. 결정비경

1.7.1. 깊은 곳에 숨은 자 라르스

결정비경에서 조우할 수 있는 최하층 조사대 계열 몬스터의 강화형이자 메인 보스. 보스전을 세 번 치르는 특이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추가 패턴은 없지만 패턴 자체가 강화되며, 지형이 점점 라르스에게 유리한 형태로 바뀐다.

쓰러뜨리면 벽에 붙을 수 있는 등반하는 라르스 이동기를 얻을 수 있다.

1.7.2. 미친 기사 레이볼크

중층 진입 후, 라르스를 조율했던 곳으로 다시 가야 보스로 상대할 수 있다.

2. 중충

2.1. 중층 중앙로

2.1.1. 총괄자 길로이

중층에 처음 진입하면 만날 수 있는 메인 보스.

2.2. 중층 철골 거리

2.2.1. 전투인형 7호

무투관의 최종 보스이자, 중층 철골 거리의 메인 보스

2.2.2. 전투인형 20호

무투관의 첫번째 보스로, 붉은 귀면을 쓰고 있는 검객의 모습을 하고 있다.

2.2.3. 전투인형 14호

무투관의 두번째 보스로, 여우 가면을 쓰고 있는 쿠노이치다.

2.2.4. 전투인형 56호

무투관의 세번째 보스.

2.3. 마법학교

2.3.1. 철의 마녀 루사이

마법학교의 메인 보스.

2.3.2. 교육자 일라이자

교육자 계열 몬스터의 강화형으로, 일반 개체와 외형상 차이는 크게 없지만, 3속성을 전부 사용한다.

2.4. 데클런 저택

2.4.1. 타락한 마법사 데클런

데클런 저택의 메인 보스로, 모든 보스전을 통틀어 유일하게 수중전으로 진행되므로 수중전에 맞는 세팅을 하고 가는 것을 권장한다.

2.4.2. 꼭두각시 47호

꼭두각시 계열 몬스터의 강화형.

2.5. 마도공장

2.5.1. 베르네스트

마도공장의 2대 메인 보스 중 하나로, 신형 진압로봇 생산에 특화되어 있어 베르네스트 자체의 공격 능력은 거의 없다.

2.5.2. 벨그린드

마도공장의 2대 메인 보스 중 하나로, 호문쿨루스 파괴 및 해체에 특화되어 있어 공격적이고 덩치에 비해 기민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50% 이하로 떨어지면 등에서 추가 무장을 꺼내며, 2페이즈로 돌입한다.


쓰러뜨리면 공중으로 도약할 수 있는 하늘을 가르는 가람 이동기를 얻을 수 있다.

2.6. 생체연구소

2.6.1. 총괄자 길로이 (전투형)

생체연구소의 메인 보스이자, 총괄자 길로이의 2차전.

2.6.2. 어그레서

놀리를 빼닮은 호문쿨루스로, 놀리가 사용하는 것과 같은 낫을 들고 있다.

2.7. 상층

2.7.1. 총괄자 길로이 (완전체) A엔딩

2.7.2. 총괄자 길로이 (완전체) B엔딩

B엔딩 키 아이템인 릴리아의 오염된 반지를 착용하고 진입해야 볼 수 있으며, A엔딩과 달리 4페이즈 구성에 2페이즈에 추가 패턴이 존재한다.

페이즈 전환 : 체력이 33% 이하로 떨어지면 A엔딩에서 볼 수 없던 4페이즈에 돌입한다.

2.7.3. 근위병 대장 펠리우스

근위병 계열 몬스터의 강화형.

2.8. 최하층

2.8.1. 미친 기사 레이볼크

결정비경에서 근원의 땅으로 넘어가는 길목에서의 전투로 반파된 상태로 진행되는 2차전으로, 사실상 이벤트에 가까운 보스전이다.

패턴이 존재하긴 하지만, 체력이 굉장히 적고 때릴 때마다 경직이 발생하다 보니 금방 쓰러뜨릴 수 있다.

2.8.2. 비상하는 근원 마물

2.8.3. 들러붙는 근원 마물



[2번] 스킬로 사용할 수 있다.[1번] 스킬로 사용할 수 있다.[조율] 궁극기로 사용할 수 있다.[1번] 스킬로 사용할 수 있다.[5] 조율 궁극기를 사용하면 이 형태로 변한다.[1번] 스킬로 사용할 수 있다.[2번] 스킬로 사용할 수 있다.[3번] 스킬로 사용할 수 있다.[조율] 궁극기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