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06:15:12

Earthrise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북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구자기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Earthrise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파일:1200px-NASA-Apollo8-Dec24-Earthrise.jpg

1. 설명2. 기타

1. 설명

지구돋이(Earthrise)는 NASA의 사진 AS8-14-2383HR에 붙은 이름으로, 아폴로 8호의 비행 중, 우주비행사 윌리엄 앤더스가 찍었다. 1968년 12월 24일에 촬영했으며, 사진작가 갤런 로웰은 이 사진을 놓고 지금까지의 사진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아주 유명한 사진인지라 달 탐사, 더 나아가 을 상징하는 사진이기도 하다.

2. 기타

파일:SS_216_Intro_Earthrise_HR_WEB.jpg
스미스의 바다 위로 떠오르는 지구의 사진.

엄밀히 말하면 달에서 봤을 때 지구는 '뜨지' 않는다. 달의 동주기 자전으로 인해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앞면만을 볼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달의 앞면에서는 하늘에 지구가 항상 똑같은 위치에 박혀 있을 거라는 것. 따라서 달에서 보이는 지구의 고도는 '관측자의 위치가 얼마나 달의 본초자오선과 멀리 떨어져 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즉, 달의 앞면(동서경 90° 미만)에서는 지구가 항상 보이고, 달의 뒷면(동서경 90° 초과)에서는 지구가 항상 일부만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다. 동서경 90° 인근에서는 위 사진처럼 지구가 일부만 보이는데, 그것이 바로 위 사진인 것. 그래서 이 사진에 나오는 것처럼 지구가 뜨는 장면이 연출되려면 위의 스미스의 바다나 연변의 바다, 동쪽의 바다 등에서 촬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