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colbgcolor=#dcdcdc,#383b40> 네팔 | | <colbgcolor=#dcdcdc,#383b40> 대만 | | <colbgcolor=#dcdcdc,#383b40> 대한민국 | | <colbgcolor=#dcdcdc,#383b40> 라오스 |
| 레바논 | | 마카오 | | 말레이시아 | | 몰디브 | |
| 몽골 | | 미얀마 | | 바레인 | | 방글라데시 | |
| 베트남 | | 부탄 | | 북한 | | 브루나이 | |
| 사우디아라비아 | | 스리랑카 | | 시리아 | | 싱가포르 | |
| 아랍에미리트 | | 아프가니스탄 | | 예멘 | | 오만 | |
| 요르단 | | 우즈베키스탄 | | 이라크 | | 이란 | |
| 인도 | | 인도네시아 | | 일본 | | 중국 | |
| 카자흐스탄 | | 카타르 | | 캄보디아 | | 쿠웨이트 | |
| 키르기스스탄 | | 타지키스탄 | | 태국 | | 투르크메니스탄 | |
| 파키스탄 | | 팔레스타인 | | 필리핀 | | 홍콩 |
FIBA 여자 아시아 컵 | |
파일:FIBA 여자 아시아 컵 로고.svg | |
정식 명칭 | FIBA 여자 아시아 컵 (FIBA Women's Asia Cup) |
창설 | 1965년 |
참가 자격 | FIBA 아시아에 등록한 국가대표팀 중 개최국 및 권역별 예선[1]을 통과한 총 12개국 |
최근 우승국 | |
최다 우승국 | |
웹 사이트 | |
[clearfix]
1. 개요
FIBA 아시아가 주관하는 국가 대항 농구 대회. 아시안 게임 농구 경기와 더불어 아시아 최강의 농구 국가대표팀을 가리는 대회.2. 역대 대회 개최국 및 대회 결과
연도 | 개최지 | 참가국 수 | 대회 결과 | 세계대회 진출권 | 비고 |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올림픽 | FIBA 농구 월드컵 | ||||
1965 | 5 | 대한민국 | 일본 | 대만 | 필리핀 | ||||
1968 | 파일:타이완 국기.svg 타이페이 | 대한민국 | 일본 | 대만 | 태국 | ||||
1970 | 일본 | 대한민국 | 대만 | 말레이시아 |
3. 역대 MVP
대회 | MVP | 팀 | 소속팀 성적 | 대회 베스트 5 |
4. 역대 대회별 대한민국 대표팀 성적 및 선수 명단
4.1. 1960~70년대
대회 | 대표팀 성적 | 선수 명단 | |||
순위 | 전적 | 가드 | 포워드 | 센터 |
4.2. 1980~90년대
대회 | 대표팀 성적 | 선수 명단 | |||
순위 | 전적 | 가드 | 포워드 | 센터 |
4.3. 2000년 이후
대회 | 대표팀 성적 | 선수 명단 | |||
순위 | 전적 | 가드 | 포워드 | 센터 |
[1] 동아시아(EABA), 동남아시아(SEABA), 중앙아시아(CABA), 남아시아(SABA), 걸프(GBA), 서아시아(WABA)로 구분해 각 지역별 대회를 연다. 각 권역별 대표팀의 전력 차가 크기 때문에, 권역별로 출전권이 다르게 부여한다. 또한 권역별 대회에서 탈락한 국가에 대해서도 FIBA 랭킹 및 전 대회 성적을 기준으로 추가 출전권을 부여, 총 12개국을 선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