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19:25:39

Final Round


1. 개요2. DJMAX RESPECT & V
2.1. 4B TUNES2.2. 5B TUNES2.3. 6B TUNES2.4. 8B TUNES
파일:DJMAX 로고(블랙).svg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
수록 정보 DJMAX RESPECT V | V LIBERTY (2024)
장르 J-Rock
BPM 189
작곡 INFX / MIIM
작사 INFX
보컬 RYURI
악기 피처링 SH!N(on Guitar)
BGA GOAT(원화) / Glycerine
[ 가사 보기 ]
풀버전에만 등장하는 가사는 이탤릭체 처리.

희미한 나의 시선을 잃은 채 헤매이던 지난날들에
자그마한 희망을 피워내 다시 어둠 속에 가려져도

바스러지는 절망 속에 나는 또다시 일어나
울려 퍼지는 Final Stage 닫혀있던 두 눈을 다시 깨워놔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갇혀있던 너와 나의
마지막 소망을 이곳에 남길게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묶여있던 감정들을
다 부숴버려 break all the rule
보여줄 테니까 내 마지막 Final Round

일그러진 너의 맘을 모두 도려내
Never ever getting back on ma freaking round
자신 없던 모습은 다 뱉어내
모든 걸 부숴내, 모든 걸 흩트려

바스러지는 절망 속에 나는 또다시 일어나
울려 퍼지는 Final Stage 닫혀있던 두 눈을 다시 깨워놔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갇혀있던 너와 나의
마지막 소망을 이곳에 남길게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묶여있던 감정들을
다 부숴버려 break all the rule
보여줄 테니까 내 마지막 Final Round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갇혀있던 너와 나의
마지막 소망을 이곳에 남길게
멈추지 마 Final Round 이 시간 속에 묶여있던 감정들을
다 부숴버려 break all the rule
보여줄 테니까 Final Round

1. 개요

V EXTENSION 5 DLC에서 Shining Light를 제공했던 조합인 INFX와 MIIM이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새로운 시리즈 DLC인 V LIBERTY DLC에 수록되었다.

Vertical Floating에 이어 GOAT가 원화를 담당한 BGA에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김없이 퍼리 캐릭터가 잔뜩 등장하는데, 심지어 클리어페일조차 퍼리로 등장해 많은 유저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선사했다. 이 때문에 이 곡의 프리뷰가 시작되었을 때 디스코드 서버와 유튜브 실시간 채팅창이 순식간에 말 그대로 불타버렸다. 방송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이 아이디어는 GOAT가 아닌 DumpingLIFE의 제안이라고..[1]

2. DJMAX RESPECT & V

파일:DJMAX RESPECT V 기본로고(블랙).svg
파일:v liberty logo black.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수록곡 일람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6px;"
따라와 때론, 냉정도 필요해 성장통
[ScreaM Records]
평행고백
~Pan Remix~
AwayBasementBestie
Break OutBroken SphereCotton Candy SodaDiomedes
Final Hour
(Game Ver.)
Final RoundLicromO'men
PetuniaRhythm In My HeadSong For YouSynchronize
: 타이틀 곡
}}}}}}}}} ||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V LIBERTY
Final Round
<rowcolor=white> 모드 NM HD MX SC
<colbgcolor=#ff51ba><colcolor=white> 4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8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2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 11
노트 수
5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6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 11
노트 수
6B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 5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9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 11
1531
8B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6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 10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 13
노트 수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 11
노트 수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2.1. 4B TUNES

NM HD
MX SC

2.2. 5B TUNES

NM HD
MX SC

2.3. 6B TUNES

NM HD
MX SC

2.4. 8B TUNES

NM HD
MX SC

[1] 당시 작가와의 미팅에서 수인으로 그려도 되고, 안해도 된다 라는 식으로 제안했으나 수인으로 온 결과물을 보고 클리어와 페일까지 수인으로 만들자!라는 식으로 컨펌되었다고 한다. 물론 보통의 클리어와 페일의 버전도 있었다고... ~이때 덤라는 퍼ㄹ...까지 말하다가 황급히 고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