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3E5C7E><colcolor=#fff> Hard Drop 하드 드롭 | |
| |
종류 | 위키 |
언어 | 영어 |
회원가입 | 선택 |
개설 | 2006년 3월 14일[1] |
영리 여부 | 비영리 |
문서 수 | 979 |
접속 상태 | 접속 가능 |
링크 |
[clearfix]
1. 개요
This Tetris Wiki was created by Tetris fans for Tetris fans.
2006년부터 운영된 테트리스 관련 위키 겸 커뮤니티이다. 지금은 디스코드 및 2. 내용
위키위키의 태동기에 만들어진 위키답게 테트리스 관련 정보로는 영미권이 아닌 일본의 위키들을 포함해 따져봐도 세계 최상위권 규모의 정보량을 가졌다. 이제는 서비스하지 않는 게임들에 대한 정보나 오락실 게임에 대한 정보부터 2020년대 테트리스 웹 게임에 대한 정보까지 깊이와 범위가 출중하게 서술되어 있다. 그 깊이를 엿볼 수 있는 부분 몇 개를 예시로 들자면 미노 1개를 놓거나(drop) 깎아서(skim) T스핀 지붕을 만드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문서, 미노 1개를 놓아서 T스핀 토대를 만드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문서, 공중에서 TSD를 하면서 개막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문서이다.오프너에 대한 문서도 굉장히 많으며 T-spin 오프너 카테고리에만 207개의 문서가 등재되어 있다. 문서량이 일본어 위키들보다 뚜렷이 우월하지는 않지만, 오늘날에도 상당량의 모던 테트리스 빌드가 빌드 개발자가 빌드를 개발하고, 그걸 하드드롭에 등재하면, 하드드롭을 통해 빌드가 퍼져나가는 과정을 거쳐 유통된다.
포럼에도 수십 년의 테트리스 경력을 지닌 사람이 등장하는 등 오래 된 사이트 값을 한다.
2.1. 카테고리
Special:Categories 문서[4]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 작성된 카테고리는 극히 일부이다.- Category:Mid-game_T-Spin_setups
중반 빌드 모음. Blink SZ Prop, BT포, 컷 카피, 도네이션, DT포, 프랙탈, 햄버거, 임페리얼 크로스, 계단쌓기(Kaidan Setups), 킹 크림슨, 매직 키, 폴리머 T스핀, 사축열차(Shachiku Train), Shadow Blade, 스카이 프랍, ST쌓기, STMB Cave, STSD(Super T-Spin Double), 예측T스핀(T-Spin Forecast), 트리니티, 요시로SD셋업 등이 수록되어 있다. - Category:Openers
오프너 카테고리이지만 오프너가 워낙 많다 보니 하위 문서 대신 하위 카테고리를 여럿 두고 있다. 널리 쓰이는 오프너들의 경우 후속 중반 빌드 또는 퍼펙트 클리어의 경우의 수가 구축 가능 확률까지 가방별로 정리되어있는 경우가 많다. - Category:T-Spin_Single_openers
T스핀 싱글로 시작(속칭 SD)하는 오프너 모음. 하치스핀, 허밍버드, Last, Maospin, Mr. T-spin's STD, Sailboat, SingleYou(SDPC 포함), 스틱스핀 등이 수록되어 있다. - Category:T-Spin_Double_openers
T스핀 더블로 시작하는 오프너 모음. 공중 TSD로 개막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 아잔바 TSD, 알바트로스 SP, 홍차포, 드래곤 SP, 기계식 TSD, MKO쌓기, 넘버 원, 팰리컨, 릴라이어블TSD, TKI 3 등이 수록되어 있다. - Category:Double_Triple_openers
T스핀 더블-T스핀 트리플로 시작(속칭 DT)하는 오프너 모음. BT포, DT포 등이 수록되어 있다. - Triple_Double_openers
T스핀 트리플-T스핀 더블로 시작(속칭 TD)하는 오프너 모음. Dot Cannon, 가무시로쌓기, 하치미츠포(Honey Cup), 산악쌓기, Tsar Cannon 등이 수록되어 있다.
2.2. 메뉴
위 사진의 밝은 남색 바. 각 단어에 마우스를 올리면 펼쳐지며, 사이트에 처음 접속하거나 테트리스에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일독이 권장되는 문서들이 연결되어 있다.
- Home
위키 메인페이지, 사이트 홈페이지, 포럼, 용어집, 최근 변경, 랜덤 문서, 도움말[5], 용어 번역집[6]까지 8개의 항목이 연결되어 있다. - Methods
테트리스의 기본적인 방법이 서술되어 있는 부분이다.
아래 서술된 부분은 필수라고 생각되는 방법들이다. - Combo
줄을 연속으로 지우는 콤보에 대한 서술. - General
줄을 적절하게 지우는 방법에 대한 서술. - Movement
미노를 움직이는 방법 즉 기초적인 조작법과 피네스 등 조작에 관한 내용을 담은 문서들이다. - Multiplayer Techniques
멀티에 좋은 기술에 대한 서술. - Other Spins
T스핀이 아닌 다른 스핀에 대한 서술. - Guides
테트리스의 원리와 기술, 빌드(오프너) 등이 서술되어 있는 부분이다.
아래에는 내용과 의미가 있는 부분만 서술한 것 이다. - Tetris.com Guide
테트리스 공식 가이드로 이동하는 기능.
Game Mechanics
테트리스의 원리에 대한 서술. - T-spin Guide[7]
T스핀의 원리, 방법에 대한 서술. - Opener Guide[8]
빌드(오프너) 등에 대한 서술. - Games
테트리스를 기반으로 한 게임들이 서술되어 있는 부분이다. - List Of Games
해당 위키에 있는 모든 테트리스와 관련된 서술을 모아둔 부분이다. 해당 부분에는 공식 테트리스와 비공식(팬게임) 테트리스를 따로 서술되어 있으며, TETR.IO는 비공식 테트리스에 서술되어있다. - Tools
역링크, 관련 변경[9], Special pages[10], 인쇄, Permanent link[11], 페이지 정보[12]까지 6개 항목이 연결되어 있다.
3. 여담
- 위키의 이름인 Hard Drop은 테트리스의 용어중 하나이다.
- 위키백과와 같은 MediaWiki를 사용한다.
- 나무위키와 라이선스가 달라 주의해야한다.[13]
- 대부분의 서술은 빌드(오프너)인데,몇몇
변태빌드들이 있다. - TETR.IO의 개발자인 Osk도 해당 위키 출신이다.
- TETR.IO와 협찬하여 매년 퀵 플레이 모드(시즌 1)에서 Hard Drop Super Lobby를 열고 승리자에게 뱃지를 지급한 바 있다. Hard Drop Open이라는 토너먼트도 개최했다.
- 해당 위키보다 더 디자인 등에서 깔끔한 four.lol이라는 사이트가 있지만 내용이 하드드롭보다 대체로 부실하다. 다만 Firestorm, Kazu 등의 랭커에게 검수받아 일부 분야에 대해서는 더 풍부하거나 약식으로 실력을 올리기 적합한 정보를 갖고 있다.
[1] 위키 메인 페이지 생성일[2] 일부 교육청은 해당 사이트를 막아놨다.[위키] [4] 나무위키의 분류:분류 격이다.[5] 미디어위키의 도움말 페이지로 연결된다.[6] 영어,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간체), 러시아어로 된 표이다.[7] 점수가 많고 라인도 2배로 보내지는 기술이라 중요하다.[8] 멀티에서 빌드 하나만 외워도 충분히 이길수 있다.[9] 뭔가 고급 검색 같은데 어떻게 쓰는지 모르겠다.[10] Special 이름공간에 속한 문서들을 보여준다. Special 이름공간은 나무위키의 나무위키 이름공간과 비슷하다.[11] 접속중인 문서의 현재 리비전 링크[12] 제목, ACL, 문서 생성일, 최근 편집일, 편집 횟수, 템플릿(나무위키의 틀과 같다.) 등의 정보가 있다.[13] 나무위키 : CCL 2.0 | Hard Drop : CCL 4.0□ 2024년 8월 25일에 CCL 3.0 에서 CCL 4.0으로 변경되었고 이전 기여 내역은 CCL 3.0을 적용한다고 한다. 또한 이용자들이 사용자 문서에 원하는 CCL을 명시하여 라이선스를 선택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