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06:20:11

IBDP/화학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nternational Baccalaureate]]{{{#!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BDP/수학]]{{{#!if 문서명2 != null
, [[IBDP/응용수학]]}}}{{{#!if 문서명3 != null
, [[IBDP/경제학]]}}}{{{#!if 문서명4 != null
, [[IBDP/경영학]]}}}{{{#!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교과과정
2.1. Structure 1. Models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2.2. Structure 2. Models of bonding and structure2.3. Structure 3. Classification of matter2.4. Reactivity 1. What drives chemical reactions?2.5. Reactivity 2. How much, how fast and how far?2.6. Reactivity 3. What are the mechanisms of chemical change?2.7. Experimental Programme
3. Assessments
3.1. Overview 3.2. External assessment
3.2.1. Paper 1
3.2.1.1. Paper 1A3.2.1.2. Paper 1B
3.2.2. Paper 2
3.3. Internal Assessment 3.4. Final Evaluation

1. 개요

IB 의 과정 group 4의 과목 중 하나. 2025년부터 시행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2. 교과과정

2.1. Structure 1. Models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Structure 1.1—Introduction to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Structure 1.2—The nuclear atom
Structure 1.3—Electron configurations
Structure 1.4—Counting particles by mass: The mole
Structure 1.5—Ideal gases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2/12이였던 Atomic Structure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세부 주제로는 원자와 핵, 수소원자 스펙트럼, 주양자수, 오비탈, 스핀양자수등이 있다. 추가적으로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1이였던 Stoichiometric Relationships에서의 화학반응식에서의 계산을 제외한 몰 계산을 다루고 있다.

2.2. Structure 2. Models of bonding and structure

Structure 2.1—The ionic model
Structure 2.2—The covalent model
Structure 2.3—The metallic model
Structure 2.4—From models to materials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4/14이였던 Chemical Bonding and Structure과 많이 겹친다. 이온결합과 그 특징, 공유결합과 그 특징과 구조, 옥텟규칙, 전자쌍 반발원리, 공명구조, 분자간 힘(란던 분산력, 쌍극자 쌍극자 간 힘, 수소결합), 금속결합과 합금등의 주제들을 다룬다.

2.3. Structure 3. Classification of matter

Structure 3.1—The periodic table: Classification of elements
Structure 3.2—Functional groups: Classification of organic compounds

Structure 3.1은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3/13이였던 Periodicity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주기율표, 원자반지름, 이온화에너지, 전자친화도, 전기음성도, 금속과 비금속과 그 산화물등등을 배운다.

Structure 3.2은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10/21이였던 Organic Chemistry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구조 이성질체, 포화 탄화수소, 불포화 탄화수소, 알케인, 알켄, 알코올, 할로겐알케인, 고분자, 벤젠, 브롬수반응, 명령법, 작용기, 화학장비 lHD, MS, HL, MR, IR 사용 및 특징등등을 배운다.

2.4. Reactivity 1. What drives chemical reactions?

Reactivity 1.1—Measuring enthalpy change
Reactivity 1.2—Energy cycles in reactions
Reactivity 1.3—Energy from fuels
Reactivity 1.4—Entropy and spontaneity (Additional higher level)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5/15이였던 Energetics/Thermochemistry이다. 열, 열과 화학반응간에 관계, q=mc(델타)t, 앤트로피 변화 (델타H), 헤스법칙등의 주제들을 다룬다.

2.5. Reactivity 2. How much, how fast and how far?

Reactivity 2.1—How much? The amount of chemical change
Reactivity 2.2—How fast? The rate of chemical change
Reactivity 2.3—How far? The extent of chemical change

Reactivity 2.1은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1이였던 Stoichiometric Relationships와 겹친다. 구체적으로는 화학반응, 화학반응식, 몰, 화학반응식에서의 양적관계에 대해 배운다.

Reactivity 2.2는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6/16이였던 Chemical Kinetics와 겹친다. 구체적으로는 충돌이론과 반응속도, 활성화에너지와 반응속도등등을 배운다.

Reactivity 2.3은 Topic 7/17이였던 Equilibrium과 겹친다. 구체적으로는 평형상태와 닫힌계, 평형상수, 평형의법칙, 평형과 온도, 반응계수, 촉매와 평형등등이 있다.

2.6. Reactivity 3. What are the mechanisms of chemical change?

Reactivity 3.1—Proton transfer reactions
Reactivity 3.2—Electron transfer reactions
Reactivity 3.3—Electron sharing reactions
Reactivity 3.4—Electron-pair sharing reactions

Reactivity 3.1은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8/18이였던 Acids and Bases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세부 주제로는 브뢴레스트 로우리의 산과염기, 산의 성질, 기초 중화반응, pH와 물의 이온곱상수, 강산과 약산, 산과 오염, 산성비등이 있다.

Reactivity 3.2는 기존 교과과정의 Topic 9/19였던 Redox Processes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세부 주제로는 산화와 환원 정의, 산화수, 금속의 이온화경향, winkler method, 화학전지등이 있다.

2.7. Experimental Programme

말 그대로 활동과 실험 왜 그룹 4가 실험적 과학 (experimental science)인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부분
1. Practical Work: 학교에서 진행하는 실험활동들이 포함된다 SL은 20시간 HL은 40시간을 하게 된다.
2. Collaborative Sciences Project: 다른 과학 선택자들과 함께 환경이나 과학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사회적 영향을 주제로 하는 활동 SL/HL 둘다 10시간
3. Scientific Investigation: 왜 group 4 한 과목당 EE 가 하나 씩 추가 되는지 알 수 있는 내용 개인적으로 조사하여 6-12페이지 정도의 보고서를 제출 10시간이 배정되어있고 internal assessment에 반영된다. SL/HL 둘다 공통으로 최종 성적의 20% 반영

3. Assessments

3.1. Overview

3.2. External assessment

시험 SL/HL 둘다 공통적으로 2개의 시험을 치르게 된다.

3.2.1. Paper 1

Paper 1A와 Paper 1B가 두개의 다른 booklet으로 주어지지만 두개의 시험이 중간에 방해 없이 이어진다. SL은 두 시험 합해서 1시간 30분이 주어지고 HL은 주 시험 합해서 2시간이 주어진다.
3.2.1.1. Paper 1A
Multiple choice questions(HL은 core and AHL 물론 SL은 core만) 한마디로 객관식 SL은 30문제 HL은 40문제의 객관식 문제를 풀게 된다. 4지선다. 우리 수능과 1문제당 주어지는 시간이 같다. 하지만 여기는 수능과 달리 합답형형식이 아닌 그냥 일반적인 양식으로 나온다. 문제형식은 쉬우나 범위가 많다. 범위는 SL은 core에서 나오고 HL은 core와 AHL에서 나온다.
3.2.1.2. Paper 1B
Data and practical-based questions(HL은 core and AHL 물론 SL은 core만) 실험 데이터 또는 실생활에 적용된 사례등을 소재로한 질문에 대해서 치는 시험이다.

3.2.2. Paper 2

Short answer and extended response questions(HL은 core and AHL 물론 SL은 core만) 말그대로 단답형문제 또는 긴 서술형 문제를 푸는 시험 (물론 긴 것도 있다)SL은 1시간 30분동안 치르고 HL은 2시간 30분 동안 치른다. 범위는 paper 1과 같다. paper 1과 같은 날에 치르는 경우가 많다. 주로 특정 내용을 제시한뒤 여기에 관련된 문제가 2~4개 출제되는 방식 제시문 없는 이과 과학 논술과 비슷하다. data booklet이 주어진다.

3.3. Internal Assessment

3.4. Final Evaluation

SL HL
paper 1 36% 36%
paper 2 44% 44%
IA 20% 20%
화학의 경우 외부평가가 전체 80%를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 평가 20%는 개인이 쓴 보고서가들어가게 된다.[1] 따라서 실험 시간이 계획되어있지만 직접적으론 평가에 반영되진 않는 듯.[2]
[1] 다른 과목들에 비해서 파이널 비중이 높다...[2] paper 1B가 실험에 근거하여 나오므로 아예 안나오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