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J리그의 1993시즌부터 1998시즌까지의 결과를 정리한 문서.1999년 J2리그가 출범하기 전까지 단일리그로써 몸집을 키우며 운영되던 시절이다. 원년 시즌에는 기존 일본 사커 리그에서 프로화한 9개 구단과 신생팀으로 창단한 1개 시민구단까지 총 10팀이 참여했다. 이후 시즌이 거듭될 수록 조건을 충족하는 JFL 구단들을 가입시켜 1998년 지금의 J1리그의 뼈대라고 할 수 있는 18개구단 체제가 완성되었다. 이후 2021년 COVID-19 범유행 여파로 20개 구단 체제를 한 해 실시한 것을 제외하면 20년 넘게 18개구단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2. 시즌 결과
2.1. 1993 J리그
- 리그는 특이하게도 무승부 제도를 폐지하고, 동점으로 경기가 종료될 시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실시하며 끝까지 승패를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장전은 골든골 방식을 도입해 진행했다. 때문에 축구의 전통적인 2-1-0 승점제를 적용하지 않고, 승수를 기준으로 순위를 가렸으며 승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골득실, 다득점 등으로 순위를 가렸다.
- 전기리그와 후기리그로 시즌을 반으로 나눠서 진행하며, 각 리그당 팀당 18경기씩 소화했다. 이후 전기리그 우승팀과 후기리그 우승팀간의 통합 챔피언결정전을 치러 시즌의 우승자를 정했다.
2.1.1. 팀별 외국인 선수
각 팀별로 외국인 선수는 조건없이 영입할 수 있는 3명, 그리고 아마추어 혹은 C급 계약으로 영입할 수 있는 선수 5명까지 총 8명을 보유할 수 있었으며, 이들 중 동시에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선수의 최대 숫자는 3명이었다.팀 나열 순서는 전년도 JSL 순위 순서대로 기재한다.
팀 | 외국인선수 1 | 외국인선수 2 | 외국인선수 3 | 외국인선수 4 |
외국인선수 5 | 외국인선수 6 | 외국인선수 7 | 외국인선수 8 | |
베르디 가와사키 | | | | |
| ||||
| | | - | |
- | ||||
요코하마 마리노스 | | | | |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 | | |
| | - | - | |
|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 | |
| | | - |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 | |
| - | - | - | |
| ||||
요코하마 플뤼겔스 | | | | |
| | - |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 | |
| ||||
- | - | - | - | |
| |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 | | |
| | - | - | |
가시마 앤틀러스 | | | | |
| - | - | - | |
시미즈 S펄스 | | | | |
| | |||
| - | - | - | |
|
2.1.2. 전기리그 순위표
순위 | 팀 | 경기 | 승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1 | 가시마 앤틀러스 | 18 | 13 | 5 | 41 | 18 | +23 |
2 | 베르디 가와사키 | 18 | 12 | 6 | 29 | 21 | +8 |
3 | 요코하마 마리노스 | 18 | 11 | 7 | 29 | 24 | +5 |
4 | 시미즈 S-펄스 | 18 | 10 | 8 | 28 | 25 | +3 |
5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18 | 9 | 9 | 26 | 23 | +3 |
6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8 | 9 | 9 | 23 | 24 | -1 |
7 | 요코하마 플뤼겔스 | 18 | 8 | 10 | 24 | 21 | +3 |
8 | 감바 오사카 | 18 | 8 | 10 | 27 | 31 | -4 |
9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18 | 7 | 11 | 21 | 38 | -17 |
10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18 | 3 | 15 | 11 | 34 | -23 |
- 파란색: 1993시즌 챔피언결정전 진출 클럽
2.1.3. 후기리그 순위표
순위 | 팀 | 경기 | 승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1 | 베르디 가와사키 | 18 | 16 | 2 | 43 | 10 | +33 |
2 | 시미즈 S-펄스 | 18 | 14 | 4 | 26 | 9 | +15 |
3 | 요코하마 마리노스 | 18 | 10 | 8 | 31 | 24 | +7 |
4 | 가시마 앤틀러스 | 18 | 10 | 8 | 31 | 25 | +6 |
5 | 산프레체 히로시마 | 18 | 9 | 9 | 31 | 25 | +6 |
6 | 감바 오사카 | 18 | 8 | 10 | 24 | 34 | -10 |
7 | 요코하마 플뤼겔스 | 18 | 8 | 10 | 20 | 30 | -10 |
8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18 | 5 | 13 | 27 | 28 | -1 |
9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18 | 5 | 13 | 25 | 44 | -19 |
10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18 | 5 | 13 | 15 | 44 | -29 |
- 파란색: 1993시즌 챔피언결정전 진출 클럽
2.1.4. 챔피언결정전
- 1994년 1월 9일 - 1차전 가시마 앤틀러스 0 - 2 베르디 가와사키
- 1994년 1월 16일 - 2차전 베르디 가와사키 1 - 1 가시마 앤틀러스
합계 3-1로 베르디 가와사키 리그 우승
1993 시즌이 시작되었고, 각 팀들은 게리 리네커, 지쿠 등 1980년대를 주름잡은 세계 축구계의 스타들을 영입하면서 리그 흥행을 위해 아낌없이 투자했다. 또한 무승부를 폐지하고 끝장 승부를 유도하면서 축구에 별 관심이 없던 라이트팬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시즌 평균 관중이 17000명을 돌파하며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고, 시즌 우승팀 베르디 가와사키는 특히 평균관중 25000명 돌파를 달성하면서 인기구단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당초 리그의 유일한 시민구단으로 고전이 예상되었던 시미즈 S펄스가 전기 4위, 후기 2위를 기록하며 의외의 선전을 했고, 반면 일본 굴지의 대기업인 미쓰비시의 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전기와 후기 모두 최하위를 차지하며 체면을 많이 구겼다.
2.2. 1994 J리그
- 1993 시즌 종료 후 JFL에서 후지타공업과 야마하발동기 축구단이 각각 벨마레 히라츠카, 주빌로 이와타로 프로화하며 J리그에 가입했다. 이로써 12팀이 리그전을 벌인다.
- 10팀에서 12팀으로 팀 수가 늘어남에 따라 시즌 경기는 전,후기 리그 각각 22경기씩 도합 44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 연장전, 승부차기 등 1993년과 경기 운영 방식이 동일하다.
- 이 해 1994 FIFA 월드컵 미국 대회에 차출되는 외국인 선수들이 있어 6월에서 8월 사이 리그가 2달간 중단되었다.
2.2.1. 팀별 외국인 선수
팀 나열 순서는 전 시즌 순위 순이다.팀 | 외국인선수 1 | 외국인선수 2 | 외국인선수 3 | 외국인선수 4 |
외국인선수 5 | 외국인선수 6 | 외국인선수 7 | 외국인선수 8 | |
베르디 가와사키 | | | | |
- | - | - | - | |
| ||||
가시마 앤틀러스 | | | | |
| ||||
시미즈 S펄스 | | | | |
| - | - | - | |
| ||||
요코하마 마리노스 | | | | |
- | ||||
| - | - | -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 | |
- | - | - | - | |
| ||||
요코하마 플뤼겔스 | | | |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 | | |
- | - | - | - |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 | |
| | - | - | |
|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 | | |
- | - | - | - | |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 | |
| 일본 귀화 | - | ||
| | - | - | |
| ||||
벨마레 히라츠카 | | | | |
- | - | - | - | |
주빌로 이와타 | | | | |
- | - | - | - |
2.2.2. 전기리그 순위표
2.2.3. 후기리그 순위표
2.3. 1995 J리그
- 1994시즌 JFL에서 각각 우승과 준우승을 거둔 J리그 준회원팀 세레소 오사카와 가시와 레이솔이 J리그에 가입하며 팀 수는 14팀으로 늘었다.
- 14팀이 전,후기 리그전을 벌이게 되어 한 시즌에 팀당 52경기라는 살인적인 일정을 소화한 시즌이다.
- J리그에 승점제가 처음 도입되었다. 기존처럼 연장, 승부차기는 계속 실행하지만 정규시간 승리, 골든골 승리, 승부차기 승리는 승점 3점, 승부차기 패배에는 승점 1점을 주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즉 승부차기까지 경기를 끌고가면 최소 무승부의 혜택을 주는 방식이다.
- 선수 교체 한도가 기존 2명에서 3명으로 늘어났다.
2.3.1. 팀별 외국인 선수
팀 | 외국인선수 1 | 외국인선수 2 | 외국인선수 3 | 외국인선수 4 |
외국인선수 5 | 외국인선수 6 | 외국인선수 7 | 외국인선수 8 | |
베르디 가와사키 | | | | |
- | - | - | -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 | |
| | - | - | |
- | ||||
가시마 앤틀러스 | | | | - |
| | |||
- | - | - | - | |
시미즈 S펄스 | | | | |
| | - | ||
| | - | - | |
벨마레 히라츠카 | | | | |
| - | - | - | |
요코하마 마리노스 | | | | |
- | ||||
| - | - | - | |
요코하마 플뤼겔스 | | | | |
| - | - | - | |
주빌로 이와타 | | | | |
- | - | - | - |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 | | |
| - | - | - |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 | | |
- | - | - |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 | |
- | - | - | - | |
| | |||
세레소 오사카 | | | | |
| | - | - | |
가시와 레이솔 | | | | |
| | |||
- | - | - | - |
2.3.2. 전기리그 순위표
2.3.3. 후기리그 순위표
2.4. 1996 J리그
- J리그 출범 당시 1차 목표였던 16개 클럽 체제가 완성된 시즌이다. 1995 JFL 시즌에서 우승한 아비스파 후쿠오카, 준우승한 교토 퍼플 상가가 리그에 가입했다.
- 16개팀 체제가 완성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전,후기 리그 체제를 버리고 연중 단일 리그 시즌으로 전환했다. 팀당 30경기를 치르게 되고 승점제는 이전 시즌과 동일하게 가져갔다.
2.4.1. 팀별 외국인 선수
팀 | 외국인선수 1 | 외국인선수 2 | 외국인선수 3 | 외국인선수 4 |
외국인선수 5 | 외국인선수 6 | 외국인선수 7 | 외국인선수 8 | |
요코하마 마리노스 | | | | |
| | - | - | |
- | ||||
베르디 가와사키 | | | | - |
| - | | ||
- | - | - | - |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 | | |
| - | - |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 | - |
| ||||
- | - | - | - |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 | |
- | - | - | - | |
| ||||
주빌로 이와타 | | | | - |
- | - | - | - | |
가시마 앤틀러스 | | | | |
| ||||
- | - | - | - | |
세레소 오사카 | | | | |
- | - | - | - | |
| ||||
시미즈 S펄스 | | | | |
- | ||||
| - | - | -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 - | - |
| ||||
- | - | - | - | |
벨마레 히라츠카 | | | | |
| ||||
- | - | - | - | |
가시와 레이솔 | | | | |
| - | - | - | |
요코하마 플뤼겔스 | | |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 | | |
- | - | - | - | |
| ||||
아비스파 후쿠오카 | | | | |
- | - | - | - | |
교토 퍼플 상가 | | | | |
| | |||
| - | - | - |
2.4.2. 리그 순위표
2.5. 1997 J리그
- 1996 JFL에선 J리그 준회원 자격의 팀 중 빗셀 고베 한 팀만이 리그 2위를 차지해 J리그 가입에 성공했다. 따라서 리그 출범 처음으로 17개팀 홀수 팀 체제로 시즌이 진행되었다.
- 연중 리그를 1년만에 버리고 다시 전,후기 리그를 시행한다. 전기리그 16경기, 후기리그 16경기로 팀당 32경기씩 소화한다.
- 승점제에 대한 조정이 있었다. 골든골 승리와 승부차기 승리에 지나치게 많은 승점이 걸려 이로 인해 지난 시즌 우승팀이 갈리게 되자, 골든골 승리는 2점, 승부차기 승리는 1점으로 승점을 낮췄다. 또한 기존 승부차기 패배시에도 1점을 받을수 있던 것을 폐지해 패배는 무조건 0점처리된다.
2.5.1. 팀별 외국인 선수
팀 | 외국인선수 1 | 외국인선수 2 | 외국인선수 3 | 외국인선수 4 |
외국인선수 5 | 외국인선수 6 | 외국인선수 7 | 외국인선수 8 | |
가시마 앤틀러스 | | | | |
- | - | - | - |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 | | - |
| ||||
- | - | - | - | |
요코하마 플뤼겔스 | | | | |
| - | - | - | |
주빌로 이와타 | | | | |
| ||||
- | - | - | - | |
가시와 레이솔 | | | | |
- | - | - | - |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 | - |
| | | ||
- | - | - | - | |
베르디 가와사키 | | | | - |
| ||||
- | - | - | - | |
요코하마 마리노스 | | | | - |
| ||||
- | - | - | - |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 | |
- | ||||
- | - | - | - | |
| ||||
시미즈 S펄스 | | | | |
- | ||||
벨마레 히라츠카 | | | | |
일본 귀화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 | | |
| ||||
- | - | - | - | |
세레소 오사카 | | | | |
| | |||
- | - | - | -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 - | - |
| | |||
- | - | - | - | |
아비스파 후쿠오카 | | | | |
| ||||
- | - | - | - | |
교토 퍼플 상가 | | | | |
| - | - | - | |
| ||||
빗셀 고베 | | | | |
| ||||
| | - | - | |
- |
2.5.2. 전기리그 순위표
2.5.3. 후기리그 순위표
2.6. 1998 J리그
- 1997 JFL 우승을 차지한 준회원 클럽 콘사도레 삿포로가 리그에 가입해 18개 팀 체제가 되었다. 1999년 J2리그가 출범할 예정이라 JSL에서 J리그로 직행한 마지막 클럽이 되었다.
- 전, 후기 리그를 유지하고 팀 당 경기수는 전기와 후기 17경기 씩 도합 34경기가 되었다.
- 처음으로 강등제를 실시했다. 전기와 후기 리그 우승팀만이 챔피언결정전에 나가는 건 동일하나, 1997~1998시즌 통합 승점 하위 5팀이 1998시즌 JFL에서 2위 이내에 들어간 준회원 팀들과 J리그 승강결정전에 진출하여 차기 시즌 잔류를 위해 싸운다. 그러나 시즌 종료 후 잔류권에 들었던 요코하마 플뤼겔스가 해체 후 요코하마 마리노스와 합병하며 소멸했고, JFL의 J리그 준회원 2팀 중 볼랑멜 센다이가 기준 순위를 달성하지 못하며 승강결정전에는 J리그 하위 4팀, JFL 상위 1팀이 참여하는 규모로 축소되었다. 이 제도로 인해 억울하게(?) 피해를 본 팀이 1998시즌 승격한 콘사도레 삿포로. 당시 삿포로는 스몰마켓 승격팀치고는 비교적 좋은 14위로 1998시즌을 마무리했으나, 1997시즌에 승격하지 못했다는 죄로 승강 플레이오프로 밀려났고,[14]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거짓말같이 4연패를 당하며 강등되고 만다.
2.6.1. 팀별 외국인 선수
팀 | 외국인선수 1 | 외국인선수 2 | 외국인선수 3 | 외국인선수 4 |
외국인선수 5 | 외국인선수 6 | 외국인선수 7 | 외국인선수 8 | |
주빌로 이와타 | | | | |
- | ||||
- | - | - | - | |
가시마 앤틀러스 | | | | - |
| ||||
- | - | - | - | |
요코하마 마리노스 | | | | |
- | - | - | - | |
감바 오사카 | | | | |
| | |||
- | - | - | - | |
시미즈 S펄스 | | | | |
- | - | - | - | |
요코하마 플뤼겔스 | | | | |
| | - | - | |
가시와 레이솔 | | | | |
| ||||
| - | - | - | |
| ||||
벨마레 히라츠카 | | | | - |
| | |||
- | - | - | - | |
| ||||
나고야 그램퍼스 에이트 | | | | |
| ||||
- | - | - | - |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 | | - |
| ||||
- | - | - | - | |
세레소 오사카 | | | | |
| - | |||
- | - | - | - | |
| ||||
산프레체 히로시마 | | | | - |
| | | ||
- | - | - | - | |
JEF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 | | | |
- | - | - | - | |
| ||||
교토 퍼플 상가 | | | | |
- | - | - | - | |
| ||||
베르디 가와사키 | | | | |
| ||||
- | - | - | - | |
| ||||
빗셀 고베 | | | | - |
| | |||
- | - | - | - | |
아비스파 후쿠오카 | | | | |
| | | ||
- | - | - | - | |
콘사도레 삿포로 | | | | |
| ||||
- | - | - | - |
2.6.2. 전기리그 순위표
2.6.3. 후기리그 순위표
[1] 일본계 브라질인[2] 일본계 파라과이인[3] 재일 조선인[4] 일본계 페루인[5] 국가대표팀에선 호나우당으로 불리던 선수다.[6] 재일 조선인[7] 일본계 페루인[8] 재일 한국인[9] 국가대표팀에선 호나우당으로 불리던 선수다.[10] 재일 조선인[11] 재일 한국인[12] 재일 한국인[13] 1997년 9월 일본 귀화[14] 만일 공평하게 1998시즌 승점만으로 하위 4팀을 정했다면 14위인 삿포로는 잔류 막차를 탈 수 있었다.[15] 1997년 9월 일본 귀화[16] 재일 한국인 선수[17] 재일 한국인 선수[18] 재일 조선인 선수[19] 디에고 마라도나의 친동생.[20] 일본계 페루인, 시즌 중 일본으로 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