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02:03:52

NEBULOUS: Fleet Command/시설 정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NEBULOUS: Fleet Command
1. 개요2. 공용
2.1. 구획
2.1.1. 지휘
2.1.1.1. 보조 조타실2.1.1.2. 기본 CIC2.1.1.3. 시타델 CIC2.1.1.4. 강화 CIC
2.1.2. 손상통제
2.1.2.1. 손상통제 지휘소2.1.2.2. 대형 DC 락커2.1.2.3. 고속 DC 락커2.1.2.4. 강화 DC 락커2.1.2.5. 소형 DC 락커2.1.2.6. 소형 작업실
2.1.3. 엔지니어링
2.1.3.1. 발전기 통제 지휘소
2.1.4. 항공지원
2.1.4.1. 벌크 내부 격납고2.1.4.2. 갑판 장비 락커2.1.4.3. 함재기 수리소2.1.4.4. 함재기 준비 시설
2.1.5. 정보전
2.1.5.1. 분석 보조실2.1.5.2. 정보전 지휘소
2.1.6. 저장공간
2.1.6.1. 벌크 탄약고2.1.6.2. 강화 탄약고
2.1.7. 무장지원
2.1.7.1. 사격 통제실2.1.7.2. 타격 통제실
2.2. 모듈
2.2.1. 통신
2.2.1.1. 보조 라디오 증폭기
2.2.2. 손상통제
2.2.2.1. 화재 진압 시스템
2.2.3. 엔지니어링
2.2.3.1. 여분 반응로 안전장치2.2.3.2. 강화 추진기 분사구2.2.3.3. 소형 반응로 증강기
2.2.4. 전자전
2.2.4.1. 시그니쳐 교란기
2.2.5. 항공지원
2.2.5.1. 비행 갑판 이동 시스템
2.2.6. 감지기
2.2.6.1. 적응성 레이더 수신기2.2.6.2. ES32 '스크라이어' 미사일 식별 시스템2.2.6.3. 스트로브 연관기2.2.6.4. 트랙 연관기
2.2.7. 무장지원
2.2.7.1. 능동 냉각 증폭기2.2.7.2. 탄약 엘레베이터2.2.7.3. 에너지 조절기2.2.7.4. 집중 입자 가속기2.2.7.5. 미사일 병렬 인터페이스2.2.7.6. 장착대 자이로2.2.7.7. 고속 순환 크레이들2.2.7.8. 소형 에너지 조절기
3. SA
3.1. 모듈
3.1.1. 발전기
3.1.1.1. FR3300 소형 발전기3.1.1.2. FR4800 발전기
3.1.2. 추진기
3.1.2.1. FM200 드라이브3.1.2.2. FM200R 드라이브3.1.2.3. FM230 '위플래시' 드라이브3.1.2.4. FM240 '드래곤플라이' 드라이브3.1.2.5. FM280 '레이더' 드라이브3.1.2.6. FM30X '프라울러' 드라이브3.1.2.7. FM500 드라이브3.1.2.8. FM500R 드라이브3.1.2.9. FM530 '위플래시' 드라이브3.1.2.10. FM540 '드래건플라이' 드라이브3.1.2.11. FM580 '레이더' 드라이브
3.1.3. 감지기
3.1.3.1. RM50 '패럴랙스' 레이더3.1.3.2. RS35 '프런트라인' 레이더3.1.3.3. RS41 '스파이글래스' 레이더
3.1.4. 무장 지원
3.1.4.1. 미사일 프로그래밍 버스3.1.4.2. 미사일 프로그래밍 버스열
4. OSP
4.1. 구획
4.1.1. 손상통제
4.1.1.1. 손상 통제 복합시설4.1.1.2. 대형 손상 통제 저장고
4.1.2. 발전기
4.1.2.1. 급조 발전기
4.1.3. 저장공간
4.1.3.1. 시타델 탄약고
4.1.4. 무장 지원
4.1.4.1. 컨테이더 데이터링크열
4.2. 모듈
4.2.1. 발전기
4.2.1.1. 증강 발전기4.2.1.2. 민간 발전기4.2.1.3. 경량 민간 발전기
4.2.2. 추진기
4.2.2.1. BW1500 드라이브4.2.2.2. BW1500-R 드라이브4.2.2.3. BW2000 드라이브4.2.2.4. BW800 드라이브4.2.2.5. BW800-R 드라이브4.2.2.6. CHI-7700 드라이브4.2.2.7. CHI-777 야드 드라이브4.2.2.8. CHI-9100 롱 헐 드라이브4.2.2.9. 썬드라이브 레이싱 프로
4.2.3. 감지기
4.2.3.1. 불워크 헌트리스4.2.3.2. 이사카 브릿지마스터

[clearfix]

1. 개요




NEBULOUS: Fleet Command에 등장하는 무장을 제외한 각종 시설들을 소개하는 문서.

2. 공용

2.1. 구획

2.1.1. 지휘


종류불문 함 내 CIC가 작동하지 않거나 파괴된 함선은 무방비 상태가 되고, 보조 조타실 없이 복원할 수단이 없다면 그대로 격침된다.
CIC가 여러 개 장착된 경우 최소한 한개라도 작동중이면 어떠한 패널티도 없다.
2.1.1.1. 보조 조타실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Auxiliary Steering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6x1x8 300 20(강화됨)
CIC의 내구도가 10%이하로 떨어져 조종불능이 되었을 때도 보조 조타실이 있다면 무장은 운용할 수 없지만 이동명령을 내릴 수 있다.

비상 조함능력과 더불어, 보조 조타실은 가격 대비 내구도가 끝내주는 구획으로, 강화 DC 락커를 도배하기엔 포인트가 부족하지만 내부 내구도를 보장하고 싶다면 추가하기 좋은 구획이다. SA측 주력함급이면 한두개를 함선 앞쪽에 추가해도 손해 볼 일은 없는 정도.
2.1.1.2. 기본 CIC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einforced CIC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6x1x8 200 25
<rowcolor=white> 분석력 분석 정확도 오차
1 30%
함선이 추적하는 표적만 분석
2.1.1.3. 시타델 CIC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Citadel CIC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75 6x1x8 400 50(강화됨)
<rowcolor=white> 분석력 분석 정확도 오차
4 25%
함선이 추적하는 표적만 분석
2.1.1.4. 강화 CIC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einforced CIC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5 6x1x8 200 40(강화됨)
<rowcolor=white> 분석력 분석 정확도 오차
1 30%
함선이 추적하는 표적만 분석

2.1.2. 손상통제

2.1.2.1. 손상통제 지휘소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Damage Control Central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3x1x3 200 35
<rowcolor=white> 전력 요구치
-50kW
<rowcolor=white> 보정치
수리반 이동 속도 +50%
수리 속도 +10%

모든 손상통제팀의 이동속도와 수리속도가 증가한다.

손상통제팀의 강화와 더불어, 구획의 자체적인 내구도 또한 적절해서 최전선의 포격전 대형 전투함이 채용한다.
2.1.2.2. 대형 DC 락커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Large DC Lock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5 3x1x6 200 15
<rowcolor=white> 수리 팀 이동 속도 복원 작업 복원 횟수
3팀 2 가능 2회
<rowcolor=white> 수리 속도 복원 속도 화재 진압 속도 발전기 과부하 수리 속도
0.8HP/s 0.8HP/s 0.8HP/s 0.8HP/s


손상통제반 3팀과, 복원 횟수를 2회분 제공한다.

중, 대형함의 후방 구획 칸에 자주 보이는 부품으로, 한정된 구획 슬롯에 최대한 많은 손상통제반을 구겨넣을 때 필요하다.
2.1.2.3. 고속 DC 락커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apid DC Lock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3x1x3 100 15
<rowcolor=white> 고속 손상통제반 이동 속도 복원 작업 복원 횟수
1팀 4 불가능 -
<rowcolor=white> 수리 속도 복원 속도 화재 진압 속도 발전기 과부하 수리 속도
1.2HP/s 1.2HP/s 1.2HP/s 1.2HP/s
고속 손상통제반 1팀을 제공한다.

고속 손상통제반은 일반 손상통제반에 비해 이동속도가 2배, 수리속도가 50% 빠르지만, 복원작업을 할 수 없다. 레이더 드라이브를 장착한 SA측 주력함, 또는 전속항행을 장기적으로 이용하는 함선에 채용 가치가 높은 손상통제반으로, 전속항행 시 사방팔방에서 타들어가는 추진기 노즐 수리에 적합하다. 기본적인 수리성능도 좋지만, 락커 자체도 매우 저렴하여 적당히 빈 공간 채워넣는데 좋기도 하다. 구획 수에 제한되어 대량으로 채용하기 힘들다는 흠이 있다.
2.1.2.4. 강화 DC 락커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einforced DC Lock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5 3x1x6 200 35(강화됨)
<rowcolor=white> 수리 팀 이동 속도 복원 작업 복원 횟수
2팀 2 가능 1회
<rowcolor=white> 수리 속도 복원 속도 화재 진압 속도 발전기 과부하 수리 속도
0.8HP/s 0.8HP/s 0.8HP/s 0.8HP/s


손상통제반 2팀과 복원 횟수를 1회 제공한다. (Reinfoced) 태그가 붙어 있고 매우 튼튼하며, 이 시설이 파괴되어도 그곳에 보관중이던 복원 횟수를 아직 이용 가능할 확률이 생긴다.

양 측 불문 최전선 전투함의 탱킹을 위해 채용되는 구획으로, 함선의 최전방에 넣는 부품들 중 하나다. 순수하게 피해복구만을 위한 성능으로 따지면 같은 가격의 대형 DC 락커에 밀리지만, 어자피 탱킹용으로 쓰는 부품인지라 사실상 보너스에 가깝다.
2.1.2.5. 소형 DC 락커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Small DC Lock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3x1x3 150 15
<rowcolor=white> 수리 팀 이동 속도 복원 작업 복원 횟수
2팀 2 가능 1회
<rowcolor=white> 수리 속도 복원 속도 화재 진압 속도 발전기 과부하 수리 속도
0.8HP/s 0.8HP/s 0.8HP/s 0.8HP/s

손상통제반 2팀관 복원 횟수 1회를 제공한다

포인트 대비 가장 효율적으로 DC팀과 복원횟수를 채워넣을 수 있는 부품이지만, 생각보다 허약하다. 대형 DC 락커처럼 함선이 사격을 받을 만한 위치에 장착하는건 좋은 생각이 아니다.
2.1.2.6. 소형 작업실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Damage Control Central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3x1x3 150 35
<rowcolor=white> 전력 요구치
-50kW
<rowcolor=white> 보정치
수리 속도 +30%

모든 손상통제반의 수리 속도를 30% 증가시킨다

최전선 전투함, 특히 액스포드 급에 한개는 당연하고 두세개까지 달리는 모듈. 손상통제 지휘소와 마찬가지로 자체적인 내구도 또한 적절해서 함께 채용된다.

2.1.3. 엔지니어링

2.1.3.1. 발전기 통제 지휘소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Plant Control Cent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5 3x1x3 100 10
<rowcolor=white> 보정치
발전기 발전 효율 +20%

함선 내 모든 발전기의 효율을 높혀준다.
효과는 적당하지만 구획 가격 대비 내구도와 추가 발전량이 영 좋지 않기에, SA측이면 FR4800/3300, OSP 측이면 증강 발전기/급조 발전기/소형 민간 발전기를 추가로 설치할 공간이 있는지 다시 확인해보자.

2.1.4. 항공지원

2.1.4.1. 벌크 내부 격납고


거대한 크기로 인해 SA 측은 레비급만, OSP 측은 오셀로를 제외한 플랫헤드 이상의 함급만, 특정 거대한 구획에 장착이 제한된다.
2.1.4.2. 갑판 장비 락커
2.1.4.3. 함재기 수리소
2.1.4.4. 함재기 준비 시설

함선의 갑판이 전부 이용중일 때, 여기서 추가로 한대의 함재기를 비행전/후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A 레비급 항모에 이 시설을 두개 장착한 후, 한번에 4대의 클레이모어 폭격기의 발진을 명령하면, 2대는 함선의 대형 갑판에, 2대는 준비 시절에서 무장 장착을 시작하며, 이후 준비 완료시 갑판의 2대가 발진한 직후 바로 준비 시설에서 갑판으로 2대를 옮겨 바로 발진시킨다. 함재기 착륙 후 조치도 마찬가지로, 착륙한 항공기를 여기로 옮겨 갑판을 비우고, 수리를 제외한 후속조치를 한다.

항공지원 버프 모듈 중 포인트당 회전율 효율은 가장 낮은 모듈이다. 더 큰 폭격기 편대를 운영하고 싶을 때 좋지만, 3k 레비 같은 게 아니라면 다른 선택지가 있는지 고려하는 것이 좋다.

Strikedown 은 '함재기를 갑판에서 격납고로 이동'하는 미국의 항공모함 운영에 쓰이는 단어.

2.1.5. 정보전

2.1.5.1. 분석 보조실
2.1.5.2. 정보전 지휘소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Intelligence Cente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90 6x1x8 200 15
<rowcolor=white> 분석력 분석 정확도 오차
15 15%
추적중인 모든 표적 분석

자신을 포함한 모든 아군이 추적중이고 송신중인 트랙 정보를 분석한다.

자체적인 분석 능력도 모든 부품 중 최고이다. 분석 보조실 없이 생으로 정보전 지휘소만 달아도, 자신이건 아군이건 트랙을 잡으면 30초안에 함급 정보를 따낸다. 아직 게임에 익숙하지 않다면 매우 유용한 구획.

값비싼 가격에 비해 매우 물렁한 구획이고 분석에 필요항 사거리 제한도 없기에 되도록 안전한 후열에 위치한 함선에 장착하는 것을 추천한다.
SA 측은 레일 구축이나 아군 캡을 지키는 '골키퍼' 빔구축, OSP 측은은 EWR 과 LRT를 장착한 'CIA' 플랫헤드급이 일반적인 예시.

2.1.6. 저장공간

2.1.6.1. 벌크 탄약고

강화 탄약고에 비해 같은 크기의 공간에서도 더 넒은 내부 공간을 가져 탄을 더 많이 싣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대신 내부의 공격에 그만큼 취약한 게 단점이다. 당연하지만 탄약고가 파괴되면 그 내부의 탄은 쓰지를 못하니 되도록 적에게 피격당하지 않을 공간에 배치해야한다.
2.1.6.2. 강화 탄약고

벌크에 비해 내부 공간이 좀 줄어드는 대신 자체 장갑이 강화된 탄약고, 어느 함선이든 탄약고 하나는 포인트 소모 없이 무료로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탄약이 필요 없다면 강화 탄약고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2.1.7. 무장지원

2.1.7.1. 사격 통제실

사격의 정확도를 높혀준다. 450mm로 8km 이상 장거리 사격을 한다면 거의 필수적인 모듈로, 장거리 레일건 사격과 450mm 포격전에 최소한 1개는 챙겨야 어느정도 명중률이 보장된다.

250mm 이하는 자체적인 명중률이 준수하기에 필수적이지 않지만 버프는 동일하게 받는다.
2.1.7.2. 타격 통제실

미사일 프로그래밍 속도를 60% 증가시킨다.

2.2. 모듈

2.2.1. 통신

2.2.1.1. 보조 라디오 증폭기

통신 신호의 강도를 높혀준다,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모듈

2.2.2. 손상통제

2.2.2.1. 화재 진압 시스템

2.2.3. 엔지니어링

2.2.3.1. 여분 반응로 안전장치
2.2.3.2. 강화 추진기 분사구
2.2.3.3. 소형 반응로 증강기

2.2.4. 전자전

2.2.4.1. 시그니쳐 교란기
레이더 트랙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정보 점수(Intel Effort)를 100% 늘려주는 모듈이다.
빔 솔로몬 처럼 정체를 숨기고 가까이 다가가야 하는 함선이나 항공모함 처럼 적의 우선 공격 대상이 되는 함선에 이용할 수 있다.

2.2.5. 항공지원

2.2.5.1. 비행 갑판 이동 시스템

2.2.6. 감지기

2.2.6.1. 적응성 레이더 수신기

레이더 감도를 높히는 대신 정확도를 낮추는 모듈이다. SA 측 스파이글라스/패럴랙스, OSP 측 조기경보/헌트리스 레이더와 거의 한 쌍으로 장착된다.
2.2.6.2. ES32 '스크라이어' 미사일 식별 시스템

적 미사일에 대한 정보 점수 보너스를 제공해 시커 종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시커 종류가 파악된 미사일에는 자동으로 최적화된 기만체(채프/플레어)가 투사되고, 어떤식으로 대응해야 할 지 알 수 있기 때문에 도움이 된다.
2.2.6.3. 스트로브 연관기

전자전 교란을 당할 시 재머의 위치(Jamming LOB)에 대한 정확도를 높혀주는 모듈이다.
특별히 유용하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2.6.4. 트랙 연관기

레이더 트랙의 정확도를 높혀주는 모듈이다.

2.2.7. 무장지원

2.2.7.1. 능동 냉각 증폭기
2.2.7.2. 탄약 엘레베이터

함포의 '재장전' 시간과, 함재기 무장 장착 시간을 단축시킨다.

포격전 함선의 필수품. SA측 주력함은 3~5개를 장착한 것이 일반적이며, OSP측은 고속 순환 크레이들과 병행해서 0~3개 장착한다.
2.2.7.3. 에너지 조절기
2.2.7.4. 집중 입자 가속기
2.2.7.5. 미사일 병렬 인터페이스

미사일 프로그래밍 속도를 증가시킨다.
2.2.7.6. 장착대 자이로

터렛형 무기의 방열 속도를 높히는 모듈이다.
2.2.7.7. 고속 순환 크레이들

함포의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킨다.

SA 보단 OSP 함포에 제대로 적용되는 모듈로서, 크레이들과 엘레베이터를 조합해 최대 분당 사격수를 목표로 하거나, 크레이들만 장착해 순간화력을 최대치로 당겨 힛앤런을 목표로 피팅하는데 필요한 모듈. 로켓, MLS와 더불어 OSP의 순간화력을 책임지는 모듈이다.
2.2.7.8. 소형 에너지 조절기

3. SA

3.1. 모듈

3.1.1. 발전기

3.1.1.1. FR3300 소형 발전기
3.1.1.2. FR4800 발전기

3.1.2. 추진기

3.1.2.1. FM200 드라이브
3.1.2.2. FM200R 드라이브
3.1.2.3. FM230 '위플래시' 드라이브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FM230 'Whiplash' Drive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5x3x5 250 40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추진기)
발전량
5% +650 kW
<rowcolor=white> 조정치
최고 속도 +20%
비상전속 피해 확률 -15%
선회력 -15%
측면 추력 -20%




이동속도가 20% 증가하고 비상전속 시 내구도 감소를 15% 줄여주지만 선회력이 15%, 측면 추력이 20% 감소한다.
위플래시만 2대 이상 탑재할 시 선회 속도가 너무 느려저 정상적인 운용이 어렵다.
선회속도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드래곤플라이 추진기와 함께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1.2.4. FM240 '드래곤플라이' 드라이브
3.1.2.5. FM280 '레이더' 드라이브

함선의 가속력이 증가하지만 전력을 생산하지 않고, 전속항행시 추진기가 더 큰 피해를 입고, 레이더 면적이 늘어나며, 열상에 잘 잡히게 된다.

가속력 하나를 위해 이정도로 패널티가 많나 싶겠지만, 가속도 하나가 함선의 생존력을 크게 증가시킨다. 단순히 함선이 더 빠르게 이동방향을 바꾸는 것부터, 함선이 회피기동 시 더 반응이 빨라져 상대방의 공격을 물리적으로 회피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특히 450mm탄 처럼 장거리에서 날아오는 공격일수록 효과가 좋고, 함선 체급 불문 추가 가속도는 항상 유용하다. 패널티가 고통스러지만.
3.1.2.6. FM30X '프라울러' 드라이브
3.1.2.7. FM500 드라이브
3.1.2.8. FM500R 드라이브
3.1.2.9. FM530 '위플래시' 드라이브
3.1.2.10. FM540 '드래건플라이' 드라이브
3.1.2.11. FM580 '레이더' 드라이브

함선의 가속력이 증가하지만 전력을 동급의 드라이브에 비해 적게 생산하고, 전속항행시 추진기가 더 큰 피해를 입고, 레이더 면적이 늘어나며, 열상에 잘 잡히게 된다.

주력함급의 기동력을 늘려주는데 중요하다. 특히 기동력 위주의 멀티 드라이브 피팅을 한다면 작은 드라이브 모듈칸에 소형 위플래시가 들어가고, 큰 드라이브 모듈칸에 대형 드래곤플라이가 들어가면, 전함은 대형칸에, 중순은 소형칸에 레이더를 넣어서 가속력을 보충하기 때문.

주력함급에 위플래시와 레이더 드라이브를 두개 이상 채용할 경우 전속항행 시 추진기가 타들어버리다 못해 녹아내리는 수준으로 피해가 막심하니 준수한 손상통제 능력을 사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3.1.3. 감지기

3.1.3.1. RM50 '패럴랙스' 레이더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white> RM50 'Parallax Rada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5 2x2x2 300 40
<rowcolor=white> 사거리 락온 번스윕 재밍 방향
9.5km 가능 가능 표시됨
<rowcolor=white> 표적 분석 락온 배수 번-스루 배수 재밍 방향 정확도
가능 0.15 12 0.75도
<rowcolor=white> 위치 오차 속도 오차 번-스루 피해 확률
30m 0.1m/s 20%
<rowcolor=white> Gain Apeture Size Sensitivity Noise Filtering
50dB 30m2 -38.5dB 0dB

SA 측 최전방 주력함에 필수적으로 채용되는 고성능 다용도 레이더. 자체적인 정확도와 탐지거리도 좋고, 자체 록온 기능도 있지만, 가장 큰 특징은 강력한 번스윕 출력으로, 레이더 탐지거리 끝에 보이지 않는 페리맨/지뢰와 같은 소형 표적의 탐지나 전자전 강행돌파에 필수적이다. 프론트라인도 번스윕은 가능하지만 패럴랙스가 번스윕 출력도 기본 성능도 우월하기에, 일반적으로 솔로몬, 액스포드와 같은 1선급 최전선함은 프론트라인 보단 패럴랙스를 장착한다.

OSP측 오셀로에도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헌트리스 레이더는 패럴랙스 처럼 마구 번스윕을 뿌리기엔 부담스러운 자가피해를 입고 성능도 전반적으로 열세이기 때문. 성능 좋고 안정적인 레이더를 채용할 기회가 오셀로에 주어지기에 오셀로는 패럴랙스 이외 레이더를 장착하는 경우가 드물다.

잡아먹은 전력량은 제법 되는 편 이지만 충분히 그 가치를 증명한다.
3.1.3.2. RS35 '프런트라인' 레이더

패럴랙스를 채용하기에 불가능하거나, 큰 투자가 필요하거나, 그정도 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소형 함선에 채용된다.
마냥 염가형 저성능 레이더는 아니다. 중근거리 포격전도 충분히 가능할 정도로 자체적인 성능도 준수하며, 번스윕도 가능하고, 요구 전력도 내장 레이더 중 가장 낮다. 구축함 이하 소형 함급에 주로 보이며, 매우 저렴한 요구치 덕분에 장착하기 쉽다.
3.1.3.3. RS41 '스파이글래스' 레이더

정확도는 낮지만 탐지거리는 긴 장거리 정찰 레이더. 구축함급에 Track Correlator 를 5개 달면 장거리 포격전도 가능할 정도의 정확도가 나오긴 하지만, 그만큼 기본 정확도는 사격을 하기엔 좋지 않다. 특히 번스윕 기능이 없기에, 근거리에서 소형함이 재밍을 걸면서 접근하면 속수무책이기에 조심해야 한다.

요구 전력이 SA측 내장레이더 3종 중 가장 높다. 부담없이 장착할 수 있는 한계는 레인즈급이 버프 모듈과 함께 장착 가능하며, 스프린터도 장착은 가능하기만 내장 부품을 전부 전력 생산으로 돌려야 간신히 스파이글래스만 돌릴 수 있다. 레인즈 급에 올리는 것보다 비싸지는 건 덤.

3.1.4. 무장 지원

3.1.4.1. 미사일 프로그래밍 버스

동시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미사일의 수를 1발 늘린다.
3.1.4.2. 미사일 프로그래밍 버스열

동시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미사일의 수를 2발 늘린다.

4. OSP

4.1. 구획

4.1.1. 손상통제

4.1.1.1. 손상 통제 복합시설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Damage Control Complex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80 6x3x6 600 40(강화됨)
<rowcolor=white> 수리 팀 이동 속도 복원 작업 복원 횟수
3팀 2 가능 2회
<rowcolor=white> 수리 속도 복원 속도 화재 진압 속도 발전기 과부하 수리 속도
0.8HP/s 0.8HP/s 0.8HP/s 0.8HP/s
<rowcolor=white> 조정치
손상통제반 이동 속도 +30%
수리 속도 +10%
수리 한계 +5%

과거 항공모함 업데이트 이전, SA 측의 정면 탱킹 솔로몬에 유일하게 정면으로 맞설 수 있는 함대는 플라즈마/함포 플랫헤드, 이른바 '펜타브릭' 함대가 유일했고, 손상 통제 복합시설이 그걸 가능하게 했다.
꽤 가격이 나가는 편이지만, 전반적인 손상통제 능력이 향상되며, 특히 최대 피해 복구 한계치가 증가하는 손상통제 구획중 유일한 수치를 가지고 있다. 장착하기만 해도 함선의 생존력에 큰 도움이 된다.

거대한 크기로 인해 오셀로를 제외한 모니터급 이상 함선만 장착이 가능하며, 특정 거대한 구획에만 장착이 가능하다.
4.1.1.2. 대형 손상 통제 저장고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Large DC Storage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45 6x3x6 300 30
<rowcolor=white> 수리 팀 이동 속도 복원 작업 복원 횟수
1팀 2 가능 4회
<rowcolor=white> 수리 속도 복원 속도 화재 진압 속도 발전기 과부하 수리 속도
0.8HP/s 0.8HP/s 0.8HP/s 0.8HP/s

손상통제반 하나와 복원 횟수 4회를 제공하는 거대한 시설. 자체적인 수리능력은 손상통제반 하나로, 다른 손상통제시설과 병행하여 함선의 복원 능력을 크게 늘리는 보조적인 구획이다. 대형 DC 락커랑 동일 가격이기에, 어느 구획이 더 필요한지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좋다.

거대한 크기로 인해 오셀로를 제외한 모니터급 이상 함선만 장착이 가능하며, 특정 거대한 구획에만 장착이 가능하다.

4.1.2. 발전기

4.1.2.1. 급조 발전기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Boosted Reacto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6x3x6 300 30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발전기)
발전량
30% +2500 kW
<rowcolor=white> 조정치
재장전 시간(에너지): +25%
증강 발전기보다 폭주할 확률이 5% 높고, 발전량도 반토막이며, 플라즈마 함포같은 에너지 무장의 연사력도 감소시킨다. 정말로 전력이 필요한 CIA 플랫헤드급 같은게 아닌 이상 어지간해선 채용되지 않는 구획.

거대한 크기로 인해 오셀로를 제외한 모니터급 이상 함선만 장착이 가능하며, 특정 거대한 구획에만 장착이 가능하다.

4.1.3. 저장공간

4.1.3.1. 시타델 탄약고

탄약고 3종중 가장 튼튼한 탄약고지만, 거대한 크기로 인해 오셀로를 제외한 모니터급 이상 함선만 장착이 가능하며, 특정 거대한 구획에만 장착이 가능하다.

수치상으론 내구도가 게임 내 장비중 상위권이지만, 구획의 크기로 인한 피탄 면적과, 이걸 장착하는 함선이 최천선에서 구르는 무장 민간선인지라 무적은 아니다. 특히 '오벨리스크' 전열함 방식으로, 함선을 세워서 싸우는 전열함은 위치상 장착 가능한 구획 3곳 모두 1순위로 피격당하는 위치인지라 모듈이 적색이나 회색으로 변하는 걸 자주 볼 수 있을 것이기게 유의해야 한다.

4.1.4. 무장 지원

4.1.4.1. 컨테이더 데이터링크열


거대한 크기로 인해 오셀로를 제외한 모니터급 이상 함선만 장착이 가능하며, 특정 거대한 구획에만 장착이 가능하다.

4.2. 모듈

4.2.1. 발전기

4.2.1.1. 증강 발전기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Boosted Reacto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5x5x5 300 40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발전기)
발전량
25% +5000 kW
발전로를 증강하여 발전량을 기존보다 압도적으로 끌어올리는 시설이다. 이렇게만 들으면 굉장히 좋아보이지만..애둘러 말해서 증강이지, 안전장치는 모조리 제거하고 거기디 추가로 마개조를 해서 얻어낸 발전량이라 무척 위험하다. 물론 수리가 가능은 하다지만 발전기 과부하 상태는 어느 함선이든 피하고픈 상황이니 만약 장착할 생각이라면 신중하길 바란다.

오셀로급이나 플라즈마 무기, 고출력 외장 레이더와 그레이저 PDT를 운용하는 함선은 높은 전력 요구량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채용하게 된다.
4.2.1.2. 민간 발전기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ivilian Reactor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10 5x5x5 300 40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발전기)
발전량
5% +3650 kW

별 특징 없는 발전기. 발전량이 충분하다면 위 발전기보다 이걸 채용하는 게 좋다.
4.2.1.3. 경량 민간 발전기

4.2.2. 추진기

4.2.2.1. BW1500 드라이브
4.2.2.2. BW1500-R 드라이브
4.2.2.3. BW2000 드라이브
4.2.2.4. BW800 드라이브
4.2.2.5. BW800-R 드라이브
4.2.2.6. CHI-7700 드라이브
<nopad> (이미지 추가 예정)
<rowcolor=#F2632E> CHI-7700 Drive
<rowcolor=white> 포인트 크기 내구도 피해 한계
20 12x12x12 700 40
<rowcolor=white> 치명적 상황 발생 확률
(추진기)
발전량
5% +300 kW
<rowcolor=white> 조정치
최고 속도 -15%
가속력 +30%
선회력 +30%
측면 추력 +35%
항적 신호 강도 +30%

포곽무장, 또는 상하 방면으로 포탑 포각을 겹쳐야 하는 머라우더급을 비롯해, 빠른 반응이 필요한 함선에 찰떡인 드라이브.
4.2.2.7. CHI-777 야드 드라이브
4.2.2.8. CHI-9100 롱 헐 드라이브
4.2.2.9. 썬드라이브 레이싱 프로

4.2.3. 감지기

4.2.3.1. 불워크 헌트리스
4.2.3.2. 이사카 브릿지마스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