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편의성 - 플러그인에 비해 코드를 다시 로드하는 방법이 단순하기 때문에 코드를 수정하면서 플레이를 지속할 수 있다.[1]
호환성 - 한번 작성된 코드는 마인크래프트 버전에 구애받지 않는다. 래핑 API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얻는 장점. 예를 들어 1.12.2용으로 작성된 코드의 대부분은 1.17.1에서도 작동한다.[2]
막강한 애드온 - 애드온을 손쉽게 만들 수 있고, 이 덕에 수많은 기능을 애드온을 이용해 추가할 수 있다. 가령, skQuery를 이용하면 람다식과 비동기 처리를 구현할 수 있게 되고, skript-reflect를 사용하면 자바 코드를 직접 다룰 수 있으며, SkBee나 SkStuff를 사용해 비교적 안전하고 손쉽게 NMS 패키지를 불러올 수도 있다.
[1] 플러그인도 PlugMan과 같은 플러그인 또는 /reload 명령어를 사용해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아니다. Skript와 달리 플러그인은 리로드 시 메모리 저장한 내용이 깨끗하게 제거되며, 선언한 명령어는 서버를 다시 시작하기 전까지 해당 플러그인에 종속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수정하고 리로드하며 사용하기 어렵다.[2] 다만 deprecated API는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3] 1.17 버전은 Skript 공식 디스코드에서 배포되고 있다.[4] 이 레퍼런스는 자체 확장앱을 지원한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