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5-06 10:06:17

Viking Conquest/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Viking Conquest

1. 약탈2. 교역3. 공방4. 상품
4.1. 생활용품
4.1.1. 주류4.1.2. 패물4.1.3. 자재4.1.4. 특수
4.2. 식량4.3. 교역품

바이킹 콘퀘스트는 네이티브보다 돈이 많이 나가고 나갈 곳도 많다. 이것이 초보자에게는 큰 어려움이지만 다행히도 돈을 벌 수 있는 곳도 많이 있다.

1. 약탈

약탈을 통한 돈벌이가 쉽고 돈이 짭짤하다. 아예 그러라고 마을의 풍요도까지 써놨다. 그런 이유로 이교도에게는 약탈경제가 돈벌이의 주가 된다. 약탈을 하기 전에 플레이어는 배 한 척 살 돈도 없기 때문에 북해를 건너다니며 약탈을 할 여유가 안 된다. 그래서 가능하면 기본 준비를 갖추고 브리튼으로 넘어와 어디든 가까운 웨일즈쯤에 은신처를 지어서 그곳을 거점으로 약탈을 시작하면 된다. 1번으로 수도원을 목표하게 되는데 수도원은 방비도 빈약하고 값나가는 물건도 나오는 데다 기독교도 전체와의 우호도는 떨어지지만 당장 다른 국가에 어그로를 끌지 않기 때문에 최고의 돈주머니다.

그 다음 목표로는 마을과 농민, 상단을 터는 것인데 여기서부터는 그 국가와 전쟁상태에 놓여 잘못 걸리면 탈탈 털리는 수가 있다. 그래서 브리튼 문화권의 허접한 세력들이나 자기들끼리 싸우는 아일랜드 팩션들을 털면서 재산을 불리자. 세력이 커지면 성하나도 함락시킬 수 있을 만큼 강해지지만 프리랜서 상태에서는 지킬 힘이 모자라기 때문에 그냥 약탈하고 불태워 버리는 게 편하다. 근거지 마련을 위해 성을 가지고 싶다면 다른 나라에 봉신으로 들어가자. 그 나라들끼리 전쟁상태가 아닌 한 한 번은 위기를 모면할 수 있다.

포로는 잡히는 데로 팔아넘겨 노예장사를 하는 것도 좋다. 다만 영주는 약탈을 방해 못하게 잡아두는 게 더 좋다. 만약 은신처에 가둬놨다가 탈출하면 은신처로 군대를 끌고와 작살내러 온다. 그렇게 악명이 쌓이면 무법자를 흡수하거나 무법자와 거래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무조건 물건을 원가로 팔 수 있다.

약탈만으로는 돈벌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아래의 교역을 병행해야 한다.

2. 교역

바이킹 콘퀘스트는 맵이 넓고 도시도 많아서 무엇을 어디에 팔아야 할 지 감이 잘 안 잡힌다. 네이티브에서는 향신료와 염료만 있으면 어디든 비싸게 팔았지만 이 시대는 아직 그런 무역을 안 했던 시대라 향신료와 염료가 없다.

보통은 주변의 마을에 식량을 사다가 도시에다 팔면 이익이 된다. 가끔식 마을에서 랜덤하게 호박을 싸게 살 수 있는데 사가면 다른 곳에서 훨씬 비싸게 팔 수 있다.

알려진 돈 되는 교역로는 프리시아 마을에서 소금을 싸게 사다가 두어스테드에 팔면 100페닝쯤 쳐준다. 조금 떨어진 리베나 퇸스베르크에 팔면 300쯤에 팔 수 있다. 프리시아 마을에서 양털을 사다 두어스테드에 판다. 덴마크 마을에서 모피를 사다 리베에 판다.

가장 짭짤한 교역로는 던위치 주변 마을의 양털을 사다가 배타고 두어스테드에 팔면 6~700페닝 이상을 받는다. 그리고 두어스테드의 보석과 와인, 소금을 사다가 던위치로 돌아와서 도시 돌면서 판다.

보석은 정가 1000페닝이며, 500페닝 이하로 구매할 수 있다. 물량이 적고 어디서든 가격이 높기 때문에 950페닝 이상이면 팔고, 아니면 공방의 창고 같은 곳에 묵혀뒀다 가격이 회복되면 판매한다. 급하게 매각할 필요는 없다. 창고에 보관하다 비상금이 필요할 때 급하게 매각도 가능하다.

포도주의 경우 200페닝 이하에서 구입하며, 정가가 800페닝이기 때문에 700페닝 이상이면 판매한다. 다만 포도주나 벌꿀주같은 주류는 병력을 데리고 이동하다 보면 바이킹의 후예답게 병력들이 횡령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빠르게 매각하는 게 좋다.

3. 공방

이런 식으로 돈을 벌고 나면 공방을 지을 수 있다. 여기서는 건물이 아니라 농장의 형태인데 네이티브와는 달리 디자인이 다 똑같은 게 아쉬운 점. 어디든 많이 벌던 염료방은 없고 제분소, 양조장, 철공소, 모직물, 마직물 직조장으로 5개로 줄었다. 주로 양조장과 철공소가 잘 버는데 지역마다 조금씩 달라서 비교해 보며 짓자. 보통 600, 많이 버는 경우는 900대 정도 번다. 철공소는 구매하는 데 드는 비용이 17500 페닝으로 이전에 비해 상당히 비싼 편이라 약탈이 없다면 돈 버는 데 고생을 많이 해야 할 것이다.

4. 상품

4.1. 생활용품

어떤 방식으로든 사용되는 비 식량 상품.

4.1.1. 주류

영지의 잔치를 열거나 귀부인의 퀘스트에 필요한 물건. 식량같이 주기적으로 소모되지는 않지만 인벤토리에 넣고다니다 보면 필드에서 이따금 아이템 하나를 소모하고 부하에게 나눠주고 부대의 사기가 오른다. 공통적으로 구하기가 쉬워서 교역품으로 쓰기에는 그다지 부적절함.

4.1.2. 패물

귀부인이 퀘스트로 요구하는 물건들. 인벤토리에 넣고 다니면 부하들이 훔쳐가기도 한다. 공통적으로 매우 값비싸고 희귀해서 구하기 어렵다. 만약 연애를 하고 싶다면 미리 구해두자.모피

호박석은 수도원을 털면 나오고, 바다코끼리 상아는 노르웨이 지역에서 가끔 판다. 모피도 마찬가지. 연회를 열 때 모피를 가져오라 한다.

4.1.3. 자재

4.1.4. 특수

4.2. 식량

4.3. 교역품

판매 이외에는 아무 쓸모도 없는 비 식량 상품.

주로 양털이나 가죽, 소금 정도. 다른 상품은 많이 있지도 않고 거추장스럽다.

특별한 경우는 전리품(trophy). 대규모 전투로 얻을 수 있는데 도시의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고 등급이 세 단계로 나뉜다. 일반 전리품은 그냥 돈이다. 뿔의 형태를 한 전리품은 팔면 파티 전체에 경험치를 올려준다. 금괴는 판매한 도시와의 우호도를 높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