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소울 음악의 느낌을 업템포로 구성한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하강 멜로디의 기타 리프는가 인상적이다. 조지 해리슨은 이 곡을 1969년에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래는 본인이 부르려고 만든 게 아니라 빌리 프레스턴에게 제공할 목적이었다고 한다. 노래가 소울 풍으로 작곡된 것 또한 이런 이유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My Sweet Lord의 사례와 유사한 부분.
가사는 단순하면서도 희망찬 보편적인 내용이지만, 가사 속의 '당신(You)'을 힌두교의 크리슈나 신으로 풀이해 종교적인 내용을 빗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미국, 캐나다 그리고 그 밖의 다른 나라에서 톱 10 히트곡이 되었으며, 호주와 스위스에서는 싱글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What I feel 내가 느끼는 이 감정을 I can't say 말해줄 수는 없어 But my love is there for you anytime of day 하지만 내 사랑은 언제나 네 곁에 있다는 걸 알아줘 But if it's not love 하지만 네가 원하는 것이 That you need 사랑이 아니라면 Then I'll try my best to make everything succeed 그럼 난 모든 것이 잘 되도록 최선을 다할게 Tell me, what is my life without your love? 말해줘, 너의 사랑 없는 내 삶은 대체 뭘까? Tell me, who am I without you by my side? 말해줘, 내 곁에 네가 없다면 난 대체 뭘까?
What I know 내가 아는거라고는 I can do 내가 할 수 있다는 거야 If I give my love now to everyone like you 바로 너 같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줄 수 있어 But if it's not love 하지만 네가 원하는 것이 That you need 사랑이 아니라면 Then I'll try my best to make everything succeed 그럼 난 모든 것이 잘 되도록 최선을 다할게 Tell me, what is my life without your love? 말해줘, 너의 사랑이 없는 나의 삶은 대체 뭘까? Tell me, who am I without you by my side? 말해줘, 내 곁에 네가 없다면 난 대체 뭘까? Oh tell me, what is my life without your love? 오 말해줘, 너의 사랑이 없는 나의 삶이 무엇인지 Tell me, who am I without you by my side? 말해줘, 내 곁에 너 없는 나는 대체 무엇인지
What I feel 내가 느끼는 이 감정을 I can't say 말해줄 수는 없어 But my love is there for you any time of day 하지만 내 사랑은 네 곁에 언제나 있다는 걸 알아줘 But if it's not love 하지만 네가 원하는 것이 That you need 사랑이 아니라면 Then I'll try my best to make everything succeed 그렇다면 난 모든 것이 잘 되도록 최선을 다할게 Tell me, what is my life without your love? 말해줘, 너의 사랑이 없는 내 삶은 대체 뭘까? Tell me, who am I without you by my side? 말해줘, 내 곁에 네가 없다면 난 대체 뭘까? Oh, tell me, what is my life without your love? 오 말해줘, 너의 사랑이 없는 내 삶이 대체 뭘까? Tell me, who am I without you by my side? 말해줘, 네가 곁에 없는 내가 대체 뭘까?
What is my life without your love? 오 말해줘, 너의 사랑이 없는 내 삶이 대체 무엇인지 Tell me, who am I without you by my side? 말해줘, 내 곁에 네가 없는 내가 대체 무엇인지
|
[1] 영국 제외[2] 2014년 'Apple Years' 박스 세트 재발매 때 맞추어 열린 뮤직 비디오 콘테스트에서 선정되어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된 영상이다.[3] 위어드 알의 대외적인 이미지를 알던 사람들은 대부분 그가 코믹 컨셉을 위해 숨겨왔던 실력에 놀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