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12:58:03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장.svg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장.svg
파시스트 이탈리아 두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806600"
베니토 무솔리니
국가 파시스트당 당수 · 공화 파시스트당 당수
이탈리아 왕국 총리 · 이탈리아 공화국 총리
}}}}}}}}}}}}

베니토 무솔리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카밀로 벤소 디 카보우르 베티노 리카솔리 우르바노 라타치 루이지 카를로 파리니
제5대 제6대 제2대2 제3대2
마르코 밍게티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 베니토 리카솔리 우르바노 라타치
제7대 제8대 제5대2
루이지 페데리코 메나브레아 조반니 란차 마르코 밍게티
제9대 제10대 제9대2 제10대2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 베네데토 카이롤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 베네데토 카이롤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1대2
프란체스코 크리스피 안토니오 스타라바 조반니 졸리티 프란체스코 크리스피
제12대2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안토니오 스타라바 루이지 펠룩스 주세페 사라코 주세페 차나르델리
제13대2 제17대 제18대 제19대
조반니 졸리티 톰마소 티토니 알레산드로 포르티스 시드니 손니노
제13대3 제19대2 제20대 제13대4
조반니 졸리티 시드니 손니노 루이지 루차티 조반니 졸리티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토니오 살란드라 파올로 보셀리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오를란도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니티
제13대5 제25대 제26대 제27대
조반니 졸리티 이바노에 보노미 루이지 파크타 베니토 무솔리니
제28대 제25대2 제29대 제30대
피에트로 바돌리오 이바노에 보노미 페루치오 파리 알치데 데 가스페리
파시스트 정권 · 이탈리아 공화국 총리 }}}}}}}}}

파일:국가 파시스트당 로고.svg
국가 파시스트당 당수
베니토 무솔리니
공화 파시스트당 당수 →
파시스트 이탈리아 두체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장.svg
공화 파시스트당 당수
베니토 무솔리니
← 국가 파시스트당 당수
파시스트 이탈리아 두체

이탈리아 왕국 제27대 총리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초대 두체
베니토 안드레아 아밀카레 무솔리니
Benito Andrea Amilcare Mussolini
파일:Benito_Mussolini_colored.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1883년 7월 29일
이탈리아 왕국 포틀리체세나도
(現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프레다피오)
사망 1945년 4월 28일 (향년 61세)
이탈리아 왕국 귀리노
(現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밀라노)[1]
묘소 에밀리아로마냐 프레다피오 산 카시아노 묘지
재임기간 초대 두체
1921년 11월 19일 ~ 1943년 7월 25일
제50대 외무부 장관
1922년 10월 30일 ~ 1929년 9월 12일
제27대 총리
1922년 10월 31일 ~ 1943년 7월 25일
제52대 외무부 장관
1932년 7월 20일 ~ 1936년 6월 9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초대 두체
1943년 9월 23일 ~ 1945년 4월 25일
서명
파일:베니토 무솔리니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알레산드로 무솔리니
어머니 로사 무솔리니[2]
형제 남동생 아르날도 무솔리니
여동생 에드비제 무솔리니
배우자 마르게리따 사르빠띠[3]
이다 달세르 (이혼)
라켈레 귀디
클라라 페타치 (연인)
자녀 에다 무솔리니[4]
비토리오 무솔리니[5]
브루노 무솔리니[6]
로마노 무솔리니
애나 마리아 무솔리니
정당 이탈리아 사회당 (1901 ~ 1914)
파시스트 혁명 행동 (1914 ~ 1919)
이탈리아 전투 파쇼 (1919 ~ 1921)

(1921 ~ 1943)
공화 파시스트당 (1943 ~ 1945)
국적
[[이탈리아 왕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69cm, 85kg, O형[7]
종교 가톨릭 (냉담자)무종교 (무신론)가톨릭?[8]
복무 이탈리아 왕국군 육군
최종계급 제국원수(Primo Maresciallo dell'Impero)[9]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알바니아 침공
제2차 세계 대전
}}}}}}}}}

1. 개요2. 생애3. 어록4. 평가5. 여담6. 대중매체에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 왕국군인, 정치인, 두체, 독재자.

아돌프 히틀러, 도조 히데키와 함께 추축국을 대표하는 인물이자 파시즘의 창시자다. 아돌프 히틀러가 젊은 시절 그의 팬이었고, 그의 영향을 크게 받아 집권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무솔리니는 은근 언짢아했어도 나중에는 히틀러를 친구로 받아들였고, 히틀러 역시 중간중간 그의 무능을 질책하고, 무솔리니가 상심하자 비판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결국 마지막까지 그를 유일한 친구로 여겼다.[10]

1922년부터 1943년까지 장장 21년을 이탈리아 왕국의 수상으로 재임했다. 첫 7년 (1922년 ~ 1929년), 중간 4년간 (1932년 ~ 1936년)외무장관 겸직. 짧게나마 죽기 전까지 11년 이상 아돌프 히틀러에 의해 북이탈리아에 위치한 괴뢰정부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수장도 역임했다. 이탈리아 왕국군에서의 최종 계급은 대원수(제국수석원수, Primo Maresciallo dell'Impero).

일명 두체(Il Duce).[11] 동의어인 독일어 퓌러(Führer)도 지도자(Leader)이라는 뜻. 직접으로는 도제(Doge)에서 유래했다. 원래의 뜻은 "이끌다, 통솔하다"의 뜻인 라틴어 Ducere에서 파생된 것이다. 같은 어원으로 파생된 언어로는 영어의 Duke(공작)와 프랑스어의 Duc(공작), 라틴어 Dux(지휘관) 등 모두 Duce와 어원이 같다.

2. 생애

베니토 무솔리니는 평생 ‘장엄함과 소극(笑劇)’(grandeur and farce) 사이를 불안하게 떠돌았다.
폴 존슨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니토 무솔리니/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어록

타인을 믿는 것은 좋지만, 안 믿는 것은 더 좋다.
모든 것은 국가에 있으며, 국가 외에는 어떤 것도 없으며, 국가에 반대하는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철학적 그리고 교리적 관점에서 나는 영원한 평화 따위는 믿지 않는다.
내게는 오직 나를 승리자로서 평화 회담에 출석시킬 수 있는 수천 명의 희생이 필요하다.
다른 나라가 역사를 쓸 때 수수방관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누가 이길 지는 문제가 아니다.
인민을 계몽하려면 그들을 자극해 전투로 내몰아야 한다. 바로 내가 해야 할 일이다.
백 년을 양으로 사는 것보다 하루를 사자로 사는 것이 낫다.
파시즘은 수출품이 아니다.[12]
민주주의는 이론적으로는 아름답지만, 실제로는 오류일 뿐이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니토 무솔리니/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여담

[navertv(43995629)]
(NHK 다큐멘터리) 영상의 세기 PREMIUM 제09부 - 독재자 3인의 "광기" 中[1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ussolini1.gif
"파시스트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는 니콜로 마키아벨리군주론 연구로 볼로냐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가 마키아벨리로부터 배운 것은 ‘이기적인 인간 본성’‘힘에 대한 찬양’이었다."[14]
곽준혁, 숭실대 가치와 윤리 연구소 공동소장.
무솔리니 독일어 연설
무솔리니 영어 연설. 연설은 미국과 이탈리아가 친선 관계를 가지자는 내용이다.[16]
무솔리니가 영국과 프랑스에 선전포고하는 영상. [17]

파일:external/www.antipodean.com/10654.jpg

파일:800px-HitlerMussolini1934Venice.jpg

파일:external/bp2.blogger.com/Mussolini_biografia.jpg

파일:4c9d3d25477a511d7b6a333a46aa9e8f.jpg

6. 대중매체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니토 무솔리니/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000> 파일:무솔리니 2.svg 베니토 무솔리니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생애 · 평가 · 창작물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 사상 파시즘(국가주의 · 국수주의 · 군국주의 · 권위주의 · 대중주의 · 민족주의 · 반공주의 · 사회진화론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반민주주의 · 영웅주의 · 우생학 · 협동조합주의) · 이탈리아 파시즘
정당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 · 파시스트 혁명 행동 · 이탈리아 전투 파쇼 · 국가 파시스트당 · 공화 파시스트당
조직 및 국가 파시스트 이탈리아(이탈리아 왕국 ·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검은 셔츠단
관련 인물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갈레아초 치아노 · 아돌프 히틀러 · 클라라 페타치
자손 로마노 무솔리니(자) · 알레산드라 무솔리니(손녀) · 로마노 플로리아니 무솔리니(증손자)
사건사고 로마 진군 · 에티오피아 침략 · 알바니아 침략 · 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전선)
관련 문서 두체 · 두체 두체 · 삼국 동맹 조약 · 스파치오 비탈레 · 조비네차
관련 틀 파시즘 · 추축국 · 이탈리아 왕국 총리 · 파시스트 이탈리아 두체 · 국가 파시스트당 당수 · 공화 파시스트당 당수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덴노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colbgcolor=#000>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이념 국가주의 · 국수주의 · 군국주의 · 권위주의 · 대중주의 · 민족주의 · 반공주의 · 지도자 원리 · 사회진화론 · 반민주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영웅주의 · 우생학 · 전체주의 · 협동조합주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나치즘(네오 나치즘) · 네오 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프랑스 파시즘 · 에코파시즘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국민급진기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가사회주의 스웨덴 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조우 연대파일:모호 아이콘.svg · 바그너 그룹 · 레히 · 영국 자유군단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마르틴 하이데거파일:모호 아이콘.svg · 기타 잇키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르주 소렐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1922~1943의 이탈리아 왕국과 1943~1945의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파일:모호 아이콘.svg 파시즘 여부 논란 있음
}}}}}}}}}

파일:Flag_of_Third_Position.png
제3의 위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공통 국수주의 · 민족주의 · 황색 사회주의 · 혼합 정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협동조합주의
이념 국민생디칼리슴 · 나치-마오주의 · 민족 볼셰비즘 · 민족 아나키즘 · 슈트라서주의 · 순정사회주의 · 신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아랍 사회주의(바트주의) · 제4의 정치이론 · 좌익 파시즘 · 정통 페론주의 · 주체사상 · 팔랑헤주의 · MAGA 공산주의
정당/조직 독일 노동당 · 레히 · 민족 볼셰비키당 · 사회대중당 · 시리아 사회민족당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유라시아당 · 전통주의노동자당 · 팔랑헤 · 흑색 전선
인물 그레고어 슈트라서 · 기타 잇키 · 니콜라 봄바치 · 베니토 무솔리니(초기) · 알렉산드르 두긴(초기)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니키쉬 · 에른스트 윙어 · 조르주 소렐 · 찬드라 보스 · 후안 페론
기타 대안 우파 · 보수혁명 · 파시즘 · 인종국민주의 · 조선민족제일주의 · 좌익 보수주의 · 카다피주의 · 편자이론
}}}}}}}}} ||



[1] 사인은 총살 (흉부 관통)[2] 혼전성은 '말토니(Maltoni)'다.[3] Margherita Sarfatti, 참고로 유대인이다.[4] 갈레아초 치아노의 배우자이기도 하며, 장녀로 1995년까지 천수를 누리며 살다가 죽었다. 반면 남편인 치아노는 디노 그란디와 함께 무솔리니를 실각시켰으나, 무솔리니가 구출되고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 건국되며 사형을 선고받았다.[5] 장남으로 영화 감독으로 일했고,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병역특혜는 커녕 공군 조종사로 입대해 싸웠다. 1997년까지 살며 천수를 누렸다.[6] 차남으로 스페인 내전제2차 세계 대전에서 폭격기 조종사로 참전했으나 1941년 P.108 폭격기 프로토타입을 시험하다가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7] 출처[8] 그가 실각한 후 사르데나 근처에서 잡혀있었던 동안에 그는 서서히 종교에 복귀하기 시작했으며 1943년 12월 14일에 다시 참회하고 세례를 받았다는 말이 있다. 또한 1924년 6월 2일에 비오 11세에게 보낸 편지에는 자신이 가톨릭 신앙으로 다시 돌아왔다고 한다. (P. 101 of “Aiutatemi Tutti a Portare La Croce” by Malateta Enrico) 또한 가톨릭 복자인 에드비지 카르보니(Edvidge Carboni)의 말에 따르면 죽기 며칠 전에 불길에 휩싸여 있을 때 무솔리니는 그녀에게서 고해성사를 하였고, 연옥에 가기도 하였으며 1951년 미사에서 영성체를 한 후에 그의 영혼이 천국에 있었다고 증언했다. (P. 79, Edvige Carboni: The Perfume of God) [9] #[10] 그리고 이 때문에 무솔리니가 분노한 시민들에 의해 주유소에서 형체를 알아보지 못 할 정도로 맞아 죽은 것을 보고 히틀러는 충격에 빠져 부하에게 자신이 죽으면 시체를 없애달라고 부탁했다.[11] 지도자 또는 영도자[12] 히틀러도 비슷하게 국가사회주의는 수출품이 아니라는 말을 했다. 왜냐하면 파시즘은 어디까지나 그 민족과 국가의 구체적인 현실에서 유래해야하는 것이지 다른 민족의 파시즘을 어느 고찰없이 있는 그대로 가져오는 것은 파시스트 정신에 어긋나는 행동이다.[13] 2018년 6월 16일 방영. 영상 매체의 탄생 이후 20세기의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대표적인 3명의 "독재자"의 민낯을 그린 다큐멘터리이다. 무솔리니의 최후도 후반부에 다루어지고 있다.[14] 흥미로운 점은 무솔리니의 사상적, 정치적 맞수였던 안토니오 그람시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사상가도 마키아벨리였다는 점이다. 상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15]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독일에서 주로 활동했다가 유창한 언어 실력으로 할리우드로 진출한 배우 크리스토프 발츠도 무솔리니처럼 여러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 학창 시절에 라틴어를 공부했기 때문에 라틴어를 기반으로 한 언어는 배우기가 쉽다는 게 당사자의 설명. 이렇게 따지면 라틴어를 기반으로 한 영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화자들도 다 해당되는 사례지만 당연히 모두가 다 발츠처럼 모국어 수준으로 잘 구사하진 않는다. 즉, 발츠는 정말 언어의 천재가 맞다.[16] 그러나 이탈리아 억양이 너무 강한데다가 피플을 오줌을 뜻하는 피(pee)로 발음해서 영미권에서는 엄청난 코미디 영상이 되었다. "나는 위대한 미국 국민들에게 경의를 보낸다." 가 "나는 위대한 미국인의 오줌에 경의를 보낸다."로 들리기 때문이다.[17] 댓글창에 들어가보면 "Saluto al duce!(두체(영도자)께 경례!)" "Heil!(독일어로 '만세!')" 이 "달걀독재!" "알!" 로 들린다는 반응이 가득하다.[18] 회담 장소는 베네치아.[19] 물론 당시의 레인코트는 현대 한국인이 익숙한 빤딱빤딱한 1회용 비닐옷이나 아웃도어 활동용 의류는 아니고, 방수성이 있는 천으로 만들어진 코트로써 정장의 일부로 취급될 수 있는 옷이었다. 트렌치 코트 등을 참고하자.[20]중국의 붉은 별》中[21] 리비아 독립운동가인 오마르 무크타르의 저항운동을 강경진압하고, 그를 처형당한 시기도 무솔리니 치세였다.[22] 이 오랜 짝사랑은 무솔리니가 쫒겨나서 모든 것을 잃어버렸을 때야 히틀러에게 구출되고 최측근이 됨으로써 이루어졌지만 자신의 아이돌과 행복한 한때를 즐기기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23] 심지어 총통이 된 후에도 그리스 산악사단에 무솔리니의 공격이 막힐때까지 자신이 히틀러보다 우위에 있음을 과시하고자 이런 저런 시도를 하였다.[24] 시기를 보면 알겠지만 아문센이 남극점 다녀온 후다. 독립한 지 얼마 안 된 유럽의 약소국 노르웨이의 이름을 알리게 만든 사람이니 기꺼이 대준 것.[25] 그것도 역으로 이탈리아령인 알바니아로 진격했다.[26] 본래 히틀러는 그리스 등의 발칸 지역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으며 또한 당시 그리스 수상인 메탁사스가 독일 유학파 경험이 있는 친독 성향의 인물이기도 하여서 독일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메탁사스가 급사하고 친영반독 성향의 그리스 왕실이 득세하면서 이 때를 계기로 유고슬라비아 다음으로 침공한다.[27] 히틀러도 본의는 아니지만 마약중독자였다.[28] 당대에는 “독재야말로 이탈리아인들에게 어울리는 체제”라는 여론이 있었고, 외부인으로서는 자세한 전후사정을 모르니 독재자가 들어서니 좋아졌다, 고로 이는 참이다로 전개된 것이다.[29] 이 추가 자원은 효율 따위가 아닌 역을 사치스럽게 꾸미는 등의 “보기에 좋게 만드는” 일에 투입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