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2:50:24

아돌프 히틀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아돌프 히틀러(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20%, #000000 80%, #00000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돌프 히틀러
}}}}}}}}}
아돌프 히틀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20%, #000000 80%, #000000); color: #f3e989;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3e989>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파울 폰 힌덴부르크 아돌프 히틀러 카를 되니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파울 폰 힌덴부르크 아돌프 히틀러 카를 되니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1212, #000000 20%, #000000 80%, #141212); color: #f3e989;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3e989>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필리프 샤이데만 구스타프 바우어 헤르만 뮐러 콘스탄틴 페렌바흐 요제프 비르트
<rowcolor=#f3e989>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빌헬름 쿠노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빌헬름 마르크스 한스 루터 빌헬름 마르크스
<rowcolor=#f3e989>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헤르만 뮐러 하인리히 브뤼닝 프란츠 폰 파펜 쿠르트 폰 슐라이허 아돌프 히틀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제2대 제3대
아돌프 히틀러 파울 요제프 괴벨스 루츠 폰 크로지크
}}}}}}}}}

파일: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심볼.svg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안톤 드렉슬러 아돌프 히틀러 마르틴 보어만 }}}}}}}}}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지도자들 & 혁명가들 부문 #
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980413_400.jpg
시어도어 루스벨트 블라디미르 레닌 마거릿 생어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엘리너 루스벨트
아돌프 히틀러 윈스턴 처칠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다비드 벤구리온 마오쩌둥
마틴 루터 킹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마거릿 대처 로널드 레이건 미하일 고르바초프
레흐 바웬사 넬슨 만델라 요한 바오로 2세 호찌민 탱크맨
같이 보기: 과학자 & 사상가 부문, 예술가 & 연예인 부문, 건설자 & 거인 부문, 영웅 & 아이콘 부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e90606>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 올해의 인물 (193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30's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nopad>파일:attachment/time_1930.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1.jpg파일:attachment/time_1932.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3.jpg파일:attachment/time_1934.jpg
<rowcolor=#fff> 1930년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nopad>파일:attachment/time1935.jpg파일:Person Of The Year 1936.jpg파일:attachment/time_1937.jpg파일:external/www.history.ucsb.edu/391-02hitlertime.jpg파일:attachment/time_1939.jpg
<rowcolor=#fff>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파일:Time_Inc_white.png
}}}}}}}}} ||
<colbgcolor=#000><colcolor=#fff> 나치 독일 지도자 겸 국가수상
아돌프 히틀러
Adolf Hitler
파일:아돌프 히틀러 사진1.jpg
출생 1889년 4월 20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스라이타니아 브라우나우암인
(現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주 브라우나우암인)
사망 1945년 4월 30일 (향년 56세)
나치 독일 베를린 퓌러붕커
(現 독일 베를린 미테구 브란덴부르크문 요양원 앞마당 지하[1])
재임기간 제24대 국가수상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제3대 국가대통령
1934년 8월 2일 ~ 1945년 4월 30일
나치 독일 퓌러
1934년 8월 2일 ~ 1945년 4월 30일
서명
파일:아돌프 히틀러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알로이스 히틀러 (1837년 ~ 1903년)
어머니 클라라 푈츨 (1860년 ~ 1907년)
배우자 에바 브라운 (1945년 4월 29일 결혼)[2]
학력 실업학교 중등과정 (졸업)
실업학교 고등과정 (중퇴)
병역 육군 상병 (Gefreiter) 만기전역[3]
종교 가톨릭불명 (범신론)[4]
신체 175cm[5], 68kg
최종 당적
상훈 1급 철십자 훈장
2급 철십자 훈장
전상장 (Verwundetenabzeichen)
}}}}}}}}}
파일:Hitler portrait.jpg
공식 초상화
1. 개요2. 약력3. 생애4. 사상
4.1. 정치 사상
4.1.1. 영향 받은 학설들
4.2. 인종주의
4.2.1. 유색인종에 대해서
4.3. 아돌프 히틀러와 종교
5. 가족관계6. 평가7. 소속 정당8. 선거 이력
8.1. 이름 관련
9. 각종 매체의 아돌프 히틀러
9.1. 역사서9.2. 창작물
10. 여담11. 어록12. 관련 이미지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 태생의 바이마르 공화국 제24대 국가수상, 제3대 국가대통령이자 나치 독일퓌러.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지도자로서 압도적인 표를 얻어 정권을 잡아 1933년 총리가 되었고, 수권법을 통과시키는 것을 통해 독일의 민주주의 체제를 무력화시켜 나치 독일을 수립한 후 1934년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의 사망으로 퓌러의 자리에 올랐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개시하여 막대한 인명 손실을 초래하고, 전쟁 과정에서 일어난 홀로코스트 등 독일의 전쟁범죄에 책임이 있어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전쟁범죄자로 평가받는다.[6]

그는 독일이 패망하기 직전이던 1945년 4월 30일 칩거하던 퓌러붕커에서 권총으로 자살함으로써 생을 마감했고, 며칠 후 5월 9일, 그의 뒤를 이은 플렌스부르크 정부연합군에 항복하며 그가 수립한 나치 정권은 종말을 고했다.

2. 약력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돌프 히틀러/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opad>파일:틀딱히.jpg
1933년 독일 총리가 되었으며, 1934년 독일 대통령을 겸직하면서 퓌러(총통)가 되었다.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독재자로 군림하면서 1939년 폴란드 침공을 시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키고 이를 총지휘했다. 또한 홀로코스트와 같은 학살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긴 주모자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브라우나우암인이라는 도시의 알로이스 히틀러라는 평범한 세관원의 아들로 태어났다. 화가를 꿈꾸며 상업 미술가 활동을 이어나가던 히틀러는,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독일 제국군(바이에른 왕국군)에 자원입대하였다. 독일 제국의 패전 이후 히틀러는 나치당의 전신인 독일 노동자당에 들어가 정치활동을 시작했다. 원래는 감시역으로 파견되었는데, 정당원이란 사람들이 그냥 불평만 늘어놓는 뜨내기들로 보이니까 본인이 일침을 놓으면서 입당했다.
1936년 에센에 위치한 크루프 공장에서의 연설[8]
[ 펼치기 · 접기 ]
Wir sind doch wieder ein so anständiges Volk geworden!
우리는 다시 올바른 국민이 되었습니다!

Wir sind doch jetzt wieder ein so fleißiges und tatkräftiges Volk geworden!
우리는 지금 다시 근면하고 활기찬 국민이 되었습니다!

Was schaffen wir jetzt nicht wieder in Deutschland?
지금 독일이 해낼 수 없는 것이 무엇입니까?

Was haben wir nicht für Aufgaben? Man hat uns die ganzen Jahre schon eingeredet, dass der Deutsche sowieso nicht ganz gleichwürdig sei den anderen Völkern in der Welt.
우리가 할 수 없었던 것이 무엇입니까? 그동안 우리는 독일인들은 세계의 다른 민족들과 전혀 동등하지 않다는 말을 들어왔습니다.

Was haben wir heute für Aufgaben? Was für gewaltige Werke bauen wir? Wir bauen heut' die schönsten Straßen, gewaltige Anlagen industrieller Art, neue Erfindungen haben wir gemacht, ungeheure Wohnhauskolonien. Sie werden entstehen und sind bereits entstanden. Was wird nicht überall gearbeitet auf allen Gebieten.
우리가 해온 것이 무엇입니까? 우리가 짓고 있는 위대한 작품들이 무엇입니까? 오늘날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로거대한 공장시설을 짓고, 새로운 발명품들을 만들고 있으며, 어마어마한 주택가를 건설하고 있습니다. 그것들은 완성되고 있거나 이미 완성되었습니다. 모든 분야 중에 잘 해내지 못한 것이 없습니다.

Wir haben in diesen drei Jahren bewiesen, daß wir ein Volk sind, das sich sehen lassen kann vor den anderen.
지난 3년간 우리는 독일 국민이 다른 국민보다 훌륭히 해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냈습니다.

Und darum bitte ich nun deutsches Volk: Darüber gib nun dein Urteil ab! Der Welt unterstell ich mich nicht! Die kann mich nicht richten! Nur dir unterwerfe ich mich, Urteile du über mich!
그렇기 때문에 저는 독일 국민 여러분께 묻고 싶습니다. 이제 판단해 주십시오! 저는 (다른) 세계에 종속되지 않습니다! 세계는 저를 심판할 수 없습니다! 오직 여러분만이 저를 예속하고, 심판할 수 있습니다!

Leg du ein Bekenntnis ab, Ob du meine Arbeit für richtig hältst, ob du glaubst, dass ich fleißig gewesen bin, dass ich gearbeitet habe, dass ich mich in diesen Jahren für dich eingesetzt habe, dass ich anständig meine Zeit verwendet habe, im Dienste meines Volkes. Gib Du jetzt deine Stimme ab, wenn “JA” dann tritt für mich ein, so wie ich für dich eingetreten bin!
숙고해 주십시오. 만약 제가 해온 일이 옳았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끊임없는 노력으로 성실히 일해왔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그동안 여러분을 위해 일해왔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국민 여러분을 위해 시간을 바쳤다고 생각한다면. 부디 찬성투표해 주시길 바랍니다.[9] 제가 여러분을 위해 힘차게 일어섰던 것처럼!
그는 괴벨스와 함께 청중을 압도하는 연설과 경이로운 선전능력을 발휘하여 동네 소수정당에 불과했던 나치당을 제1당으로 일으켜 세웠다. 정권을 장악한 후 총리직과 새로 얻은 대통령직을 합쳐 퓌러의 자리에 올랐다.

나치 독일의 총통이 된 히틀러는 베르사유 조약을 파기했으며, 군수산업중공업을 집중 육성하고 아우토반과 같은 인프라를 대대적으로 건설해 독일을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의 반열에 오르게 했고, 사회 각 영역에 군국주의적 색채를 강화하는 조치들을 실행했다. 이러한 정책은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에 처해있고 패배주의에 찌들었던 독일 국민 대부분의 열광을 받기에 충분했고 심지어 '히틀러=독일의 메시아'라는 나치 당국의 선전을 그대로 믿는 국민들도 나올 정도였다. 전쟁을 기피하는 연합국의 소극적인 반응에 힘입어 자신의 고향이기도 한 오스트리아를 병합하고, 뮌헨 협정으로 체코슬로바키아주데텐란트 지역을 무혈로 독일에 병합하는 등 외교적으로도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그의 사상과 미래 비전은 아리안의 세계 지배로 거기서 만족할 수 없었다. 폴란드 침공은 1차 대전으로 잃은 실지의 회복은 물론, 독소 동맹으로 동부 전선을 고착하고 서쪽에만 신경쓸 수 있게 됐다. 드디어 연합국선전포고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났다.

전쟁 초기 나치 독일은 영국, 프랑스의 소극적 자세에 따른 이른바 가짜 전쟁의 전개를 역이용하여 노르웨이와 덴마크를 복속시키고, 드디어 양 진영은 격렬한 전면전에 돌입한다. 독일은 마지노 선을 우회해 대대적인 프랑스 침공으로 군사적 우위를 점했다. 이른바 전격전으로 단숨에 영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유럽 대륙을 정복하는 데 성공하나, 대전 중반부를 넘어서고부터는 독소전쟁의 전략적 실책에 짐덩이가 되어 버린 주축을 떠안은데다 일본의 도발로 전선이 확대되는 등 악재가 겹쳐 매우 열세에 처하게 된다.[10]

그와 동시에 점령지에서도 유대인 홀로코스트를 비롯한 점령지 주민 학살을 주도하고 각종 전쟁범죄를 방치, 조장함으로써 그는 민심을 완전히 잃어버렸다. 레지스탕스빨치산들이 돌아다니며 테러, 사보타주를 기도하는 것은 물론이고, 파시즘의 압제와 인권 탄압에 질려 내부적으로도 반나치 인사들이 암암리에 생겨났다. 유능한 과학기술자들은 연이어 연합국으로 망명하거나 투항했으며,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백작을 비롯한 군부 측근들까지 히틀러에 대한 암살쿠데타를 시도했다. 결국 전쟁 말기 그는 그 누구도 믿지 못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레닌그라드 공방전의 실패와 노르망디 상륙 이후 반 년에 걸친 연합국의 공세에 독일은 주도권을 완전히 잃고 몰락해 버렸다. 서부에 전력을 몰아 회심의 반격을 노린다는 계획도 실패하고 동부에서는 소련군이 빠르게 들어오고 있었다. 계속된 독일 본토 항공전으로 연합군 전략폭격기들이 히틀러가 애써 만들어놓은 산업단지들과 도시들을 전부 초토화시켜 버렸고 독일의 전쟁수행능력도 점점 악화되었다. 군대가 와해되기 시작하자 히틀러는 진격도 후퇴도 없이 그저 "결사항전을 하라"고 떼를 썼다. 지휘에서 전략과 전술이 실종되었고, 물자의 보급도 끊겼다. 이미 전선에는 소년병과 노병이 징집되어 최전방에 끌려가 싸운 지 오래되었다. 그럼에도 히틀러는 죽기 1주일 전까지 편성도 제대로 안 된 부대를 데리고 나가서 싸우라고 명령했다.[11] 이윽고 1945년 4월 30일, 소련군베를린을 포위하자 총통 벙커에서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세계를 공포로 몰아 넣은 독재자의 최후는 허망했다.

패색이 짙어지기 전에는 독일인들에게 거의 신으로 숭배받는 수준에 이르기도 했다. 그러나 종전 후에는 유럽에서나 전세계적으로도 그와 관련된 모든 것들을 말하는 것조차 금기시되었다. 나치즘에 입각하여 전쟁 중 점령지의 민간인 학살을 명령하는 등 숱한 전쟁 범죄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또한 홀로코스트 같은 인종 학살을 주도했고 T-4 프로그램 같은 장애인 말살 정책을 펴기도 했다.

남미칠레, 아르헨티나는 친독 국가였다. 다만 이들은 부득이한 이유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나치의 남미 도주 문서 참고. 중동, 아프리카인도 등지에서는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에 대해 긍정적이거나 최소한 중립적이다. 일부는 대놓고 아돌프 히틀러를 옹호하기도 한다. 이들은 영국, 프랑스 같은 서구 열강에게 시달린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핀란드, 발트 3국, 아이슬란드, 스웨덴 등은 나치 독일의 후원자였다. 핀란드, 발트 3국은 소련에게 많이 시달려 부득이하게 나치와 손을 잡았었고, 아이슬란드는 덴마크 군주인 크리스티안 10세 때문에 화가 났던 아돌프 히틀러가 독립시켜줬기 때문이다. 단 발트 3국을 제외하면 이들 나라들은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더라도 아돌프 히틀러를 옹호하거나 긍정적으로 여기진 않는다.[12]

2010년대 후반 들어 유럽의 이슬람 난민들이 유럽에서 범죄 등 많은 사회문제를 일으키자 비주류 민족 및 인종들을 사회에서 배제하려는 극우파들이 유럽에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즉, 유럽에서 극우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증거인데, 그래도 하도 이미지가 시궁창이므로 자신들은 나치가 아니라고 하며 연성으로 포장하는 경우가 더 많다. 마린 르펜 등이 그렇다.

여담으로, 히틀러는 전 세계적으로 아는 사람이 많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물론 좋은 의미가 아니라 나쁜 의미로 말이다. 히틀러와 똑같은 독일 내의 또다른 대표 제2차 세계 대전의 인물들인 헤르만 괴링, 빌헬름 카이텔, 카를 되니츠,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같은 사람들은 아는 사람만 아는 정도인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괴링은 그나마 나치당 활동 경력이나 권력서열, 그리고 상상을 초월하는 삽질들 덕분에 타 인물들보다 인지도가 높지만 나머지는 보통 역사나 군사학 전공자, 덕후들이나 아는 수준이다.

4. 사상

<nopad>파일:external/img.timeinc.net/1101410414_400.jpg
1941년 4월 14일 타임지

아돌프 히틀러의 사상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유행했던 "유럽은 멸망하리라"는 식의 염세주의[13], 변질된 니체주의에 입각한 우생학인종주의, 사회진화론과 독일의 전통적인 민족주의에 기반한다.

거대한 영향력에 비하자면 사상 체계는 빈약하고 체계성이 없어 상호모순적인 측면도 많았다. 나의 투쟁 출판 후 히틀러가 정권을 잡자 책과 모순된 정책으로 비웃음을 샀다. 심지어는 나치즘의 이론조차 히틀러가 세운 게 아니고 그레고어 슈트라서,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등이 세웠는데, 슈트라서는 장검의 밤 때 숙청당했으며, 로젠베르크는 시온 의정서 따위의 음모론을 신봉하는 사람이었다.

히틀러를 논할 때는 정치, 인종 사상을 떼어놓고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편의상 이하는 별도로 다룬다.

4.1. 정치 사상

<nopad>파일:external/media.vam.ac.uk/2006BB5421_jpg_ds.jpg
Ein Volk - ein Reich - ein Führer!
하나의 민족 - 하나의 국가 - 하나의 퓌러!
히틀러는 감옥 안에서 《나의 투쟁》을 집필했다. 히틀러의 세계관이 분명하고 광범위하게 담긴 이 책은 1945년까지 독일 안에서만 1천만 권이 팔렸다. 《나의 투쟁》에는 히틀러의 정치적 신조, 세계관, 사명감, 전망, 장기적 목표가 모두 들어 있었다. 무엇보다도 지도자 신화의 토대가 거기서 만들어졌다. 히틀러는 이 책에서 자신을 도탄에 빠진 독일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불세출의 지도자로 그렸다.

《나의 투쟁》을 읽으면 히틀러가 1920년대 중반에 무슨 생각을 했는지 간파할 수 있다. 그 무렵 히틀러는 역사와 세상의 모든 악을 완벽하게 규명하고 그 극복 방안까지 알려주는 철학을 개발했다. 거칠게 요약하자면 그것은 우월한 아리아인이 기생충 같은 열등한 유대인에게 시달리고 피해를 입는, 선과 악의 인종 투쟁으로 역사를 보았다. “인종 문제는 세계사는 물론 인간의 문화를 이해하는 열쇠가 된다”고 히틀러는 주장했다. 나치 운동의 사명은 오직 하나, ‘유대 볼셰비즘’을 타도하는 것이었다. 그러더니 단숨에 논리가 비약해서 그래야만 독일 민족이 지배자로 군림하는 데 필요한 생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면서 노골적인 제국주의 침탈을 정당화했다. 히틀러는 이 생각을 평생의 신조로 삼았다. 세월이 흘러도 바탕은 달라지지 않았다. 메시아를 방불케 하는 하나의 ‘이념’에 대한 비타협적 몰입, 단순하고 수미일관하고 포괄적이며 흔들리지 않는 신념 체계는 히틀러에게 의지력과 운명에 대한 주인 의식을 심어주었고 히틀러와 접한 사람들은 누구나 거기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히틀러는 넘치는 자기 확신을 강하게 표현할 줄 알았고 주변 사람들은 자연히 거기서 권위를 느꼈다. 모든 것은 흑백으로, 승리가 아니면 완전한 파멸로 그려졌다. 다른 길은 있을 수 없었다.
히틀러 1권 7장 카리스마(366쪽)

아돌프 히틀러는 1차 대전의 패전은 독일인들이 '인류 문명의 수호'라는 슬로건을 내건 연합군을 이길 사상적 무장이 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우생학, 인종주의, 사회진화론 등 온갖 자극적인 소스를 무질서하게 혼합한 나치즘을 내세운다. 빈약한 사상적 토대에도 불구하고 순식간에 독일인들의 관념 깊숙히 파고들 수 있었다. 그가 주장했던 독일민족의 생존권 영역은 이미 독일 제2제국 시절부터 존재했던 독일 민족의 영역 확장 개념에 먹지 않으면 먹힌다는 식의 사회진화론적 주장을 도용한 결과물이다.

아돌프 히틀러는 1905년에서 1914년까지 빈에서 보냈다. 이 시절은 '나의 투쟁' 초반부에 잘 나타난다. 아돌프 히틀러는 노숙자에 가까운 생활을 하면서도 단순한 룸펜은 아니었다. 그는 당시 오스트리아의 정치에 관심이 많았으며, 각 정파의 전략과 전술, 그리고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당시 오스트리아 정계에는 기독교, 마르크스주의(공산주의), 범게르만주의 세력이 주요 정파들이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마르크스주의 정당으로부터는 대중주의를, 기독교주의 정당으로부터는 반유대주의를, 범게르만주의 정당으로부터는 독일 민족주의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가 지닌 사해동포주의나, 기독교의 엘리트주의나 그리고 범게르만주의의 반가톨릭주의[14]를 배격했다. 이렇게 각 정파의 장점만을 받아들이고 수용할 수 없는 부분은 배제하면서 자신만의 사상을 발달시켜 나갔다. 또한 거리의 부랑아 숙소에서 동료들을 모아놓고 일장 연설을 하면서 화술 및 대중 장악력을 길렀다. 이 시절의 그를 기억한 한 부랑자가 나중에 이를 자랑스럽게 떠벌이다가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졌다고 한다.

이후 1차 대전의 허무한 패배와 굴욕적인 조약으로 인한 국민적 분노는 아돌프 히틀러가 득세하는 토양이 되었다. 프로이센 시절부터 보오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등에서 연전연승을 거두며 무적의 위용을 자랑하던 독일 제국의 패배는 일반 민중들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물론 1차대전 말기에는 독일 민중도 이미 전쟁수행능력이 바닥났음을 인지했다는 주장도 있다. 어쨌든 이들은 유대인과 공산주의자들의 뒷공작으로 인해 부당한 패배를 당했다고 현실도피를 시작했다. 연합군이 독일 영토 내로 진격하기 전에 내부의 반란으로 인해 항복했다는 사실은 망상을 부채질했다. 때문에 전간기 독일인들에게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즘은 무너져버린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고 내부로부터의 중상을 인정함으로써 패전을 합리화시키는 그럴듯한 사상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진다.

윈스턴 처칠과 대다수의 역사학자들은 아돌프 히틀러가 유럽과 세계를 지배할 야망과 "마스터 플랜"이 있다고 믿었다. 영국인 학자로, 1970년대 <2차대전의 기원>을 발표한 A.J.P. 테일러는 그 견해에 반대했다.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가 유럽 정치환경과 연합국의 온정적인 정책과 기타 여러 삽질들이 겹쳐진 결과라고 본다. 아돌프 히틀러에게 뚜렷한 계획은 없었으며 세계의 정세를 잘 탄 기회주의자에 불과하다고 평한다. 이는 당대의 주류 의견과는 반대였기에 큰 반감을 샀다. 그러나 지금은 가장 유력한 주장 중 하나로 꼽힌다.

"독일 민족"조차도 아돌프 히틀러는 자신의 "파괴도구"로 여겼다. 그리고 독일이 한계에 도달해 패배가 확정되자, 아돌프 히틀러는 독일 자체와 함께 자폭하려 했다. 마지막 순간에도 아돌프 히틀러는 자기 도취적인 파멸의 미학에 빠져서 가능한 한 많은 인간과 문명이 자신과 함께 파멸하도록 모든 힘을 다했다.

전쟁 말기에는 "독일 민족은 패배자니 살아남을 가치가 없다"면서 사회기반시설을 모조리 파괴하라는 네로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또는 "독일 민족은 약한 걸로 판명되었어. 나 같은 훌륭한 지도자를 가질 자격이 없어"라는 망언을 남겼다. 이는 그의 사상이 얼마나 사회진화론에 물들어 있는지 볼 수 있는 단적인 예다. 독일 민족은 전쟁에서 졌으니 세상에 남아있을 이유가 없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이 명령을 들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불태우라고 했던 파리는 불타지 않았으며, 덕분에 동부전선에서 각종 전쟁 범죄 혐의가 있던 파리의 독일 주둔군 사령관 디트리히 폰 콜티츠가 되려 선한 사람으로 둔갑해서 각국의 도덕 교과서에까지 등장한다. 베를린 역시 아돌프 히틀러의 절친한 친구였던 알베르트 슈페어가 방어전을 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로 온존시켰다.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 독일이 멸망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사회와 소련이 대립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동쪽에서 온 자들(소련)이 세계를 지배하리라고 예측했다. 서구권의 민주주의는 나약하여 소련의 강력한 중앙집권적 체제에 맞설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이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의 불안정한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아돌프 히틀러의 죽음과 함께 20세기 전반 전 세계를 휩쓴 파시즘의 광풍도 종말을 고했고, 이후 세계는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기나긴 냉전에 돌입한다. 그러나 절멸 전쟁이 남긴 참혹한 폐허와 홀로코스트는 양 진영 모두에게 나치즘을 대표하는 모습으로 각인되었다. 당시 유럽 사회에 만연했던 반유대주의가 아돌프 히틀러의 인종차별적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리라는 반성은 종전 이후 세계적으로 인종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급격히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다만, 독재/공포 정치가 사라지지 않았듯 인종주의도 끈질기게 살아남았다.

특이한 점으로 세습 군주제에 대해선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래서 절대적인 권력을 장악한 독재자가 되었지만 자신이 독일의 카이저가 되려고 하지는 않았다. 히틀러는 퓌러라는 직위를 매우 마음에 들어했는데 그 이유도 이와 연관된다. 나의 투쟁에서는 군주제에 대한 노골적인 비난이 언급되어 있고, 이후의 발언 중에는 '세습하는 군주제의 군주란, 대부분 식료품 가게 하나 제대로 운영할 능력도 없는 자들'이라는 적나라한 비난도 있다. (1942년 3월의 어느 저녁시사 도중 발언)

아돌프 히틀러가 군주제에 반감을 가진 이유는 여러가지다. 먼저 빌헬름 2세를 비롯한 제1차 세계 대전 패망 이전 독일 제국의 군주제 체제에 대한 반감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히틀러는 고향인 오스트리아 특유의 다민족-다문화 체제를 매우 증오했는데, 바로 이 체제를 구축하고 유지한 곳이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조였고 이 자체가 합스부르크의 중요한 정체성이기도 했다. 이것이 합스부르크 왕조를 포함한 군주제를 향한 반감으로 이어졌다는 해석도 있다. 실제로 합스부르크 가문 인사들과 히틀러의 관계는 대단히 나빴는데 당시 합스부르크 가문의 대표격인 오토 폰 합스부르크는 대놓고 반나치 저항 운동을 벌였다.

태생적 한계도 있을 수 있다. 자본가들도 그러한 모습이 있었으나 당시 귀족들은 당연히 비귀족들을 좋아하지 않았다. 프랜시스 골턴 등이 기여한 유럽의 우생학에서는 귀족들이 태생적으로 우월한 인간이었으며 특히 독일 귀족들은 귀족주의가 상당히 심했고 심지어 같은 나치여도 내심 히틀러와 같은 비귀족들을 멸시하는 귀족들도 있었다. 히틀러는 자본가 계급에는 속할 수 있었어도 귀족 계급에는 속할 수 없어서 그런 인간들과 자주 대립하기도 했다.

4.1.1. 영향 받은 학설들

히틀러가 가장 존경하는 미국인으로 미국 포드 자동차의 창업주인 헨리 포드를 꼽았는데 <나의 투쟁>에 반영된 상당수의 유대인 비판이 헨리 포드가 쓴 《국제유대인》이라는 문헌과 똑같다.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아예 포드의 주장을 히틀러가 <나의 투쟁>에다가 전부 베꼈다고 해도 될 정도다. 《국제유대인》의 한국어판도 나와있는데 읽어보면 나치의 유대인 비판 내용과 완전히 똑같은 대목이 대부분이다. 《국제유대인》은 포드가 1920년대에 배포한 4권의 반유대주의 책자인데 이 문헌에서 미국 유대인 재벌 제이콥 쉬프같은 인물이 국정실패의 탓을 유대인에게 전가하려고 유대인을 탄압하던 러시아 왕정을 무너트리기 위해 레닌트로츠키에게 러시아 혁명 자금을 지원한 사실 등을 비난하며 유대인-공산주의자의 커넥션을 고발하고 있다. 이는 역사적 사실이기도 한데, 포드는 제조업의 아버지로서 미국의 유대계 금융업자들의 이같은 행태에 상당히 불만이었다. 미국 사회에서 유대인의 문제점들을 대대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헨리 포드는 히틀러한테 선거 자금으로 쓰라며 7만 달러를 지원할 만큼 나치독일에 우호적이었고 그 답례로 나치로부터 독일 정부가 외국인한테 주는 최고의 훈장인 독일 독수리 훈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실제로 제이콥 쉬프같은 유대 재벌은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일본 제국에 자금을 지원하고 메이지 천황을 알현했고 일본 천황은 차관 제공에 대한 무한한 감사를 표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러일전쟁의 일본 승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5] 물론 그 포드도 소련에 자동차 공장을 세우며 소련의 경제성장과 군비확장에 도움이 된 인물이라는 것은 함정이기는 하다. 아르투어 딘터는 아리안인과 타인종의 결혼을 반대하며 인종의 순수성 보존을 주장했던 사상가다. 아돌프 히틀러는 그의 영향을 받았음이 확실하다. 아르투어 딘터는 1925년부터 나치당 튀링겐 대관구장을 지냈다가 "나치당 안에 입법부를 만들자!"고 아돌프 히틀러의 권위에 홀로 도전하다 1928년 쫓겨난다.

루돌프 헤스의 스승이었던 하우스호퍼 교수의 게르만족의 동부생활권(레반스라움)도 《나의 투쟁》에서 차용했다.

당대 독일 지식인들에게 널리 읽힌 하인리히 폰 트라이치케의 《19세기 독일사》와 오스발트 슈펭글러의 《서구의 몰락》은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읽진 않았어도 당시 유행했던 사조로서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슈펭글러의 다른 저서 <프로이센주의와 사회주의>(1920년)에서는 민족 전체가 독재자 아래 일치 단결하는 초계급적 민족사회주의가 제창된다.

보수혁명론자 아르투어 묄러 판 덴 브루크(Arthur Moeller van den Bruck)는 낡은 것이 젊은 것에 패하는 것은 이치라며 독일의 패전을 합리화했고, 그의 저서 제3제국(Das Dritte Reich, 1923)에서 낡은 독일은 보수혁명을 통해 서구의 자본주의와 러시아의 공산주의 같은 외세의 이념에 대항하고 민주주의에 반대하는 권위주의적인 "민족사회주의"라는 이념으로 통치되는 "제3제국"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 주장은 나치에 상당한 영향을 끼졌다.

4.2. 인종주의

히틀러의 반유대주의는 처음에는 반자본주의적 색깔을 띠다가 1920년대 중반이 되면 유대인을 소련 및 공산주의자들과 연결하는 쪽으로 바뀐다. 자본주의의 배후에 유대인이 있다는 주장을 버리고 공산주의의 배후에 유대인이 있다는 쪽으로 말을 바꿔 탄 것은 아니었다. 증오에 사로잡힌 히틀러의 머리에서 둘은 공존했다. 그렇게 지독한 증오는 공포심이 없다면 생겨날 수가 없었다. 국제 금융 자본과 소련 공산주의를 모두 조정할 수 있는 막강한 집단을 상상했을 때 느껴지는 적대감이었다. 국가사회주의도 감당하기 벅찰 만큼 강력한 '유대인의 세계 음모'가 있다는 고정관념이었다.
히틀러 1권 (p. 368)
히틀러는 권좌에 오르기 전부터 죽는 순간까지 '유대-볼셰비즘'을 철천지 원수로 여겼다. 지금으로선 우습지만 당시 우익 진영에선 유대적이란 말과 볼셰비즘이 동일한 개념으로 통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정치적, 경제적 고립과 내부로부터의 중상을 유대인과 연관지어 독일인의 증오를 유발시키는데 성공했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양면전쟁의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독소 불가침조약을 파기하고 소련 공격을 결심한 이유도, '유대볼셰비즘'에 대한 비이성적인 증오가 중요한 원인이었다고 주장한다. 당시 소련의 고위직에는 몰로토프 이전 외무장관이었던 막심 리트비노프 등 유대인도 상당수 포진해 있었다. 스탈린은 유대인을 배려하지는 않았지만 소수민족으로서 받는 탄압 이상의 차별도 없었다. [16] 때문에 그의 관점에서 약간의 논리적 비약을 거치면 소련은 '유대인'과 '볼셰비키'가 지배하는 '악의 소굴'이나 다름없는 국가였다.

히틀러는 <나의 투쟁>에서 인류 역사는 계급 투쟁이 아닌 인종 투쟁이라고 주장했는데, 그는 인종성을 순종으로 유지하지 않고 잡종이 돼버린다면 그 민족은 망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흑인이 독일말을 배우고 독일말에 익숙해졌다해도 독일인이 될 수도 없고 유대인들도 기독교로 개종해도 절대 독일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독일말을 잊어버리고 200년 전 러시아로 이주한[17] 독일계 러시아인들은 독일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민족의 구분이 문화나 언어가 아닌 인종이다. 민족성 강조도 인종주의에 기반한다.

히틀러의 유대인 혐오는 1차 세계대전 전의 오스트리아 제국의 가톨릭 교육과 사회 전반에 만연한 반유대주의, 그가 살던 빈 내 과격파들의 유대인 척결론, 1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독일 내 부각되었던 여론을 따랐던 것이 가장 크다는 것이 학계의 설명이다.

반유대주의 성향은 1905년에서 1914까지 빈에서 지냈던 시절부터 형성되었다고 보인다. 이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수도 빈의 시장은 오스트리아 국민당의 전신인 오스트리아 기독사회당의 창당자 카를 루에거(Karl Lueger)[18]라는 반유대주의자로 1897~1910년까지 빈의 시장으로 재임했다. 열성 가톨릭 신도로 우파성향의 정치인이었지만 사회복지와 연방주의도 같이 주창해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루에게를 좌익으로 생각하고 2년이나 임명을 거부한 전력도 있다. 누가 유대인인지는 내가 결정한다는 유명한 어록이 있는데, 이는 빈의 부유한 유대인들은 안심시키고 혹은 냅두고 제정 러시아의 유대인 탄압을 피해 내려온 코가 크고 검은 머리에 독일어를 못하고 튀는 외모의 유대인들만 탄압한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그는 연설 등에서 시도 때도 없이 유대인 음모론을 주장하고 차별을 정당화하며 인기를 얻었다.[19] 나의 투쟁에 따르면 당시 히틀러는 남는 시간을 "독서"로 보냈다고 하는데, 그가 읽는 책들은 주로 인종주의적인 팜플렛이거나 혹은 과격한 정치단체의 선전물들이었다. 이때부터 그가 유대인을 병적으로 증오하기 시작하게 되었다고 보인다. 이를 두고 히틀러 전기작가 이언 커쇼는 "뮌헨에서도 그랬고 빈에서도 그랬고 히틀러에게 독서란 깨닫거나 배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선입견을 다지는 수단이었다"고 촌평했을 정도다.

반유대주의는 이 시대 유럽의 보편적인 감정이었다. 오히려 히틀러가 살던 독일-오스트리아 지역이 그나마 덜한 편이었다.

반유대주의는 영국이나 프랑스도 상당했다. 드레퓌스 사건만 봐도 당대 서유럽의 반유대주의가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 있다. 가톨릭 교회의 세가 강한 남유럽, 이탈리아, 스페인은 더 심했다. 끝판대장격은 러시아 제국으로 조직적인 유대인 탄압과 학살(일명 포그롬)을 펼쳤다. 폴란드발트 3국도 러시아와 사정이 비슷했다. 차르 시대에 대한 반감과 빈부격차 등 사회모순을 유대인 탓으로 돌리는 선동꾼들도 있었다. 러시아 정교회는 반유대교육을 실시했으며 정부는 이를 방조했다. 게토 지역에는 살인, 약탈, 강간, 방화 등이 빈번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상대적으로 탄압이 적은 다민족 다언어 국가인 오스트리아로 많이 이주했다. 이주 유대인들은 빈의 골목 지역에 주로 살았는데, 상대적으로 낮은 교육 수준과 언어 장벽 때문에 뒷골목에서 매춘, 소매치기, 구걸 등으로 연명하는 하층민들이 증가한다. 이들이 유대인에 대한 여론을 악화시켰으며, 반유대주의 선동까지 더해져서 상황은 더 나빠진다.

유대인은 부유하다는 편견 때문에 당시의 상황이 와닿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유대인들에게도 부유한 사람은 소수다. 서방 금융권에서 유대계의 비율이 높긴 하나 그 수많은 유대인 인구가 다 금융계의 거물들일 리 만무하다. 미국 뉴욕에만 해도 유대인 마을은 브루클린에 있다. 브루클린은 개발되고 치안이 안정되기 전까지는 가난한 동네였다. 청나라가 개막장일 때 이주해 온 사람들이 세운 차이나타운과 아일랜드가 감자대기근을 겪을 때 이주해 온 이들이 세운 헬스키친도 위치는 맨하탄에 있다. 부유한 사람은 해외로 이주하는 등 발빠르게 행동했으며, 그들 중 홀로코스트에 희생된 자들도 최후에 그 자리에 갔다. 언제나처럼 가난한 자들이 먼저였다.

'헤르만 뢴스', '디터 에크하르트', '빌헬름 폰 폴렌츠' 등은 반유대적인 농민소설을 쓴 작가다. 이들은 유대인들을 고리대금업자, 가축상인, 중개인 등으로 묘사했다. 20세기 초반 40쇄를 찍을 정도로 엄청나게 팔린 '테오도어 프리치'의 <반 유대주의 문답서>는 후에 나치에서 위대한 교사라 칭할 정도였다. 이런 작품들이 아돌프 히틀러의 독서 취향이었다.

휴스턴 스튜어트 체임벌린은 1916년 독일에 귀화한 영국인이다. 영국 해군제독의 아들로 태어났고 영국 육군원수 네벨 체임벌린의 조카뻘이 된다. 반유대주의자 프랑스인 고비노 백작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독일 음악가 리하르트의 사위가 된다. 그는 게르만빠로 반유대주의자였는데, 아돌프 히틀러는 그의 주장에 깊이 공감했다. 1927년 체임벌린이 임종시엔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손에 입을 맞춰줄 정도였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들어 아버지와의 불화가 유대인에 대한 증오로 바뀌었다고 하는데,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그가 유난히 유태인을 싫어했을 만한 이유는 찾을 수 없다. 일부에선 어렸을 때 유태인한테 강간당했다느니, 혹은 어머니가 유대인과 바람을 피웠느니 아버지가 실은 유태인이었는데 아돌프 히틀러를 못 살게 굴었다느니 하지만 앞서 밝힌 대로 근거 없는 이야기다.

반유대주의는 그것이 옳고 그름을 떠나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 유럽에 보편적인 정서였다. 히틀러도 독자적인 반유대주의를 창시했다기보다는, 수천년동안 유럽에 만연한 반유대주의에 영향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주로 금융업과 보석세공업에 종사하며 여기저기 이주하였던 유대인들이 돈줄을 쥐고 유럽 도시들에 영향을 미쳤다는 금융자본주의 담론은 이미 18세기부터 어느 정도의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나 노숙자로 살던 시절에 주로 거래하던 화상(畵商)이 유대인이었고, 심지어 이후 겪게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전우 중에 유대인이 있었으나, 그와 사이는 특별히 나쁘지 않았다. 거기다 그때 받았고 이후 그가 평생 자랑하던 철십자 훈장을 주도록 추천해줬다는 설의 주인공이자, 히틀러의 상관이었던 후고 구트만도 유대인이었다. 후고 구트만 역시 아돌프 히틀러 집권한 후 게슈타포에게 체포되어 수난을 당한 적이 있으나 부대 전우들의 청원으로 석방되고, 이후 미국으로 망명했다고 한다. 진짜인지 그냥 비유적인 표현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빈으로 상경하기 전엔 유대인을 본 적이 없다'고 말한 적도 있다. 물론 이는 사실은 아니다. 히틀러의 학교 동창 증언으론 빈으로 상경하기 전에 이미 반유대주의에 빠져있었고 린츠와 아돌프 히틀러가 다닌 학교에서도 유대인이 있었다고 증언한다. 이언 커쇼의 연구 등을 종합해본다면 빈 상경 이전~빈 체류 시절에 히틀러는 반유대주의에 어느 정도 빠져 있긴 했지만 당시 유럽 전반에 유행하던 반유대주의의 흐름을 고려할 때는 특출나진 않은 편이었다. 반유대주의적인 발언을 하기도 했으나 유대인에 대한 일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거나 멘델스존을 비롯한 유대인 예술가들을 호평하기도 했다고 한다.

동유럽과 소련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던 슬라브 민족은 게르만 민족에 비해 열등하다고 여겨졌다. 히틀러는 '인종적 검사'를 통해 '가치'가 판명된 슬라브인들에 한해 간단한 셈법과 교통 표지판을 알아볼 정도의 기초적인 교육만 시켜서 독일인들의 노예로 부려먹고, 나머지는 우랄산맥 밖으로 추방하며 굶어죽든말든 개의치 않겠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동유럽에서는 차마 눈뜨고 못볼 인세지옥이 실현된다. 막상 독소전이 개시되고 아리안인의 후손들이 동장군에 고생하자 나약함을 질타하고 열등했다고 주장했던 슬라브인들의 "인종적 강인함"을 찬양하는 등 오락가락 맛탱이가 갔다.

다만 나치당 내부에 슬라브계 간부들도 있었다. 나치당 교육부장이었던 알프레드 로젠베르크는 러시아계 피가 섞인 발트 독일인이었고, 바르샤바 봉기에서 봉기 진압을 맡은 에리히 폰 뎀 바흐-첼레프스키는 폴란드계였다.

반면 서유럽북유럽에서는 그나마 온정적이었다. 영국 본토 항공전을 앞두고 영국에 '저런 하등한 인종 돕는다고 서로 싸우지 말고 우월한 우리들끼리 잘 살아보자'며 화해 의사를 피력했다. 물론 당시 영국 총리 윈스턴 처칠은 이를 거절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또한 북유럽에 속하는 노르웨이·덴마크·스웨덴·네덜란드·벨기에플란데런 지역은 인종적 가치가 독일 민족과도 비슷하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특히 한때 독일계 민족국가의 영토였던 벨기에의 오이펜-말메디, 프랑스의 알자스-로렌, 19세기 독일 연방에 속했던 룩셈부르크 지역의 거주자들은 조부모 중 두 명 이상의 혈통이 확인되면 '명예 아리아인' 인증을 했다. 독일군 입대시 독일 국적도 부여했다.

물론 히틀러의 모든 논리는 독일인은 가장 우월한 인종이라는 대전제 하에서 이루어졌으며, 다른 민족에 대한 판단은 전적으로 "독일 민족과 얼마나 많은 유사점을 가졌는가"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일례로 프랑스는 골 족과 게르만 족의 피가 섞인데다 라틴 민족도 포함되어 있으니 그만큼 더 열등하다고 여겨졌다.

요아힘 C. 페스트는 자신의 저서 《몰락》(한국판: 아돌프 히틀러 최후의 14일)에서 구체적인 사상은 존재치 않고 오직 파괴와 증오만 존재하였다고 간략하게 그의 사상을 설명했다.
파일:attachment/e0080644_475ace925dcb8.jpg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아돌프 히틀러
킴벌리 코니시는 '비트겐슈타인과 아돌프 히틀러'라는 서적을 발표한다. 여기서 린츠에서 자랄 때 학생 시절의 유대인 급우이자 훗날 세계적인 철학자가 되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혐오로 인해 유대인을 몰살하려는 충동이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다만 비트겐슈타인과 히틀러는 같은 학교 동기라는 외에는 충돌할 지점이 적었다. 실제 학교만 같지 학년은 달랐다.

4.2.1. 유색인종에 대해서

아돌프 히틀러의 인종론에 따르면 다른 민족들은 아리안과 유대인 사이에 위치한다. 그 당시 서양의 흔한 인종주의와 마찬가지로 백인은 다른 유색인종보다 우월하다는 논리를 기반으로 삼고 있다. 아돌프 히틀러에 따르면 아리안은 인류 문명의 모든 가치있는 것을 만들고 발전시켜 나갔으며, 다른 민족들은 아리안인을 뒤쫓기 바빴으며 유대인은 문명을 파괴하기에 바빴다는 설명이다.

"아리아인의 문화가 없다면 일본이나 중국은 다시 근대화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다"며 동양인보다 아리아인이 위대하다는 걸 확실히 해두기는 했지만 일본과 추축 동맹을 맺은 후엔 재독 일본인들을 명예 아리아인이라 선포하고, 심지어는 여러 번 동양과 접촉하고 나서는 "아시아인의 고대 문명이 우리의 것보다 우수하다고 믿는다"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물론 이 말은 그의 본심이 아닌 어디까지나 동맹인 일본을 위한 외교적 발언이었다. 오히려 실제론 전쟁 중에 일본이 싱가포르를 함락했다는 소식을 듣곤 매우 아쉬워했다. 영국이 자신들과 동맹만 맺었어도 이런 '불상사'가 벌어지지 않았을 거라면서 독일이 전유럽을 제패해나가자 일본에서는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이 일본 교과서 만큼이나 엄청나게 인쇄되며 팔려나갔다. 일본인들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을 읽으며 감명받고 일본도 독일처럼 행동해서 아시아를 정복하고 미국과 영국을 밀어내야한다고 주장하며 궐기대회까지 열며 아돌프 히틀러 본받기운동을 시작했다.

그런데 일본에서 판매된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은 일본인에 대한 아돌프 히틀러 본인 스스로도 이불킥적인 안 좋은 이야기가 검열된 후반본 책이다. 다음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서 일본 번역판에서 검열된 초반본 부분이다. 이 검열 부분은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에서도 언급된다. #
일본인은 미개하고 추악하지만, 서구문명이라는 빛을 얻음으로써 일어서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인들은 그 빛이 없으면 그림자 조차도 존재할 수 없는 그런 인종이다.
스스로의 창작성이 부족한 열등한 인종이다.
하지만 손재주가 좋고 일처리가 빠르니 독일의 하인으로 이용하기에는 좋다.

독일 역사가 안드레아스 힐그루버의 단계적 계획이론의 4단계 상황, 즉 독일 민족의 위대한 독일 제국이 해외에서 세계제국 건설에 나서는 상황에서, 새로운 세계제국 독일과 동맹국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 아돌프 히틀러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일본 양국이 내렸던 중요한 결정들을 보면, 양국의 불신이 극명했다. 애초에 동맹을 맺기 전 중일전쟁 때는 중국에 무기를 계속 수출하고 전쟁 고문들도 계속해서 파견해 일본군이 독일제 무기와 독일의 고급 인력들을 상대하면서 궤멸해 가는 일본군의 상황이 연출됐고 동맹 채택도 중국 or 일본 중에 꽤나 고민했다. 또 아돌프 히틀러는 소련 침공 계획인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일을 일본에 비밀로 했고, 일본은 태평양전쟁의 시발점이 된 진주만 기습 결정에 대해서 독일에 알리지 않았다.

1942년 1월 18일에 독일-일본 양국이 비밀 군사회담을 통해서, 시베리아와 인도를 남북으로 가르는 동경 70도를 기점으로 동반구에서의 각자의 작전반경을 나누었지만, 베를린과 도쿄는 어떤 군사 협정도 체결하지 않았다. 두 추축국은 보급상의 난관을 무시하고, 인도양 일대를 공동 작전지역으로 설정했다.

양국간의 군사 협력이 구체화되지 않은 것은 아돌프 히틀러의 일본이 무지막지하게 태평양과 유럽의 식민지들을 강탈하고 여러가지 성범죄나 학살같은 전쟁범죄에 대해서 일본을 견제할 생각이 있었다는 추정이다. 이와 관련해서 폰 하셀(von Hassell)이 일본이 싱가폴을 함락시킨 직후인 1942년 3월 22일에 적은 일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아돌프 히틀러는 일본의 엄청난 성공에 크게 열정적이지 않았고, 그는 영국이 그 일본 황인종을 격퇴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서, 영국에게 20개 사단을 기꺼이 제공할 용의가 있다고 발언했다.
Milan Hauner, Did Hitler Want a World Dominion? 중

그러나 흑인종에 대해서는 그때 당시의 온 유럽이 좋게 생각하지 않았듯이 비슷한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 나치 독일 내에서 흑인들 또한 이런저런 못볼 꼴을 많이 당했다는 기록이나 증언이 나오고 있다. 특히 1차 대전에서 독일이 패전하고 라인란트 지방이 벨기에, 프랑스군에 점령되었을 때 프랑스군 중에 식민지 출신 흑인 부대(외인부대)도 주둔했고, 그 흑인 프랑스군과 독일 여성 사이에서 500여 명의 아이가 생겨났다. 이들은 "라인란트 사생아(Rhineland Bastard)"라고 불리웠으며 아돌프 히틀러는 불임 수술을 통해 이들을 사실상 멸종시켰다.

당시에도 이미 사회적으로 '흑인은 백인보다 매우 저 아래'라는 생각이 지배적으로 깔려있던 시기라서 굳이 흑인을 타겟으로 잡고 사냥해봐야 별다른 정치적, 경제적 이득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나치즘은 반서방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니 그들과 차별화하려는 측면도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즉, 흑인에 대한 처분은 유대인처럼 철저한 계획하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서방열강들처럼 마구 탄압하던 것도 아닌 별로 관심이 없었다고 보면 된다.

당시 유럽의 유색인종(흑인, 황인 등)은 식민지를 통해서 유입되었으나, 독일은 식민지가 적었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서 유색 인종이 적은 편이었다. 예를 들어 나치 독일 당시 독일 본토에 살고 있던 흑인의 수는 25,000명 정도로 전체 인구 6,500만 중 0.04%에 불과했다. 이렇게 유색인이 적다보니 유색인의 존재감은 독일 내에서 상당히 미미한 수준이었으며, 아돌프 히틀러나 나치스 또한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고 나치당에서도 확고한 정책 기준이 없었다.

다른 서구권 지도자들에 비해 유색인종을 우호적으로 대접했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는데, 이는 특히 반서방적인 인물들이 조직적으로 유포하는 왜곡 정보이다. 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 손기정[20]제시 오언스에게 축하인사[21]를 건네거나, 태국 국왕 라마 8세 아난타 마히돈이 독일에 오자 직접 공항까지 가서 마주한 것, 그리고 1938년 네팔 국왕에게 차를 선물한 것 등이다. 또 중동의 국가원수들과 회담을 하고 슬라브계인 크로아티아불가리아와도 우호적으로 지냈다는 식이다.

개별적으로 이 일화들은 사실이긴 하나 매우 지엽적인 사례일 뿐이다. 그렇다고 해서 히틀러가 수천만의 유대인과 러시아인, 집시 등의 타 인종을 전례없이 대량학살한 사실이 변하지는 않는다. 히틀러가 손기정과 오언스와 악수를 나눈 것은 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공식 석상에서 기본적인 예의를 갖춘 것일 뿐이다. 당시는 전쟁이 벌어지기 전이며 선전의 대가인 히틀러는 세계에 독일의 번영을 보여주기 위해 베를린 올림픽을 매우 공들여 준비했다. 심지어 올림픽을 위해 나치즘 사상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유대인 탄압까지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까지 했던[22] 그가 유색인종 국가대표 선수와 '악수'한 단편적인 사례가 그리 큰 의미를 가질 리 없다. 라마 8세를 마중나온 것 등 또한 그저 일국의 국가원수로서 외국 국가원수를 접견하며 외교 의례를 지킨 것 뿐이다.

아돌프 히틀러는 일개 당수 시절부터 독일 총통으로 다른 나라들에 대한 침략 전쟁을 벌일 때까지 상대방을 기만함으로 일종의 뒷통수를 쳐서 그 자리까지 올라왔다. 즉 상대방을 현재 상황에 맞게 이용해 먹은 것 뿐, 나치가 진짜 견제할 국가 없이 세계 패권을 쥔다면 어떻게 변했을 지 알 수 없다. 소련과도 불가침조약 이후부터 독소전쟁 이전까진 상호 비난의 수위가 크게 줄어들고 경제협력도 크게 늘리는 등 훈훈한 듯한 분위기가 오갔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히틀러는 뮌헨 협정 시기까지는 민족자결주의에 따라 행동했을 뿐이라고 주장했고, 더 이상의 영토 확장은 없을 것이라 단언했다.
한 마디로 말해서 정치적으로 필요했었다면 인종을 떠나서 이용하는 것을 전혀 꺼리지 않았다.

또한 히틀러가 1940년 유색인종을 잡아와서 동물원에 넣어 공개적으로 전시하는 이른바 '인간 동물원'에 대한 폐지 명령을 내렸다는 정보 역시 퍼져 있다. 그러나 이 정보는 단 하나의 신뢰할 수 없는 출처 외에는 나오지 않는 정보이다. 독일 사회에서는 이 소문에 대하여 의구심을 표한다. 반대로 하나 확실한 것은 흑인들과 집시들 역시 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뉘른베르크 인종법의 절멸 대상으로 지정되었다는 사실이다.

일본인의 경우에도 역시 광의의 측면에서 뉘른베르크 법의 대상이었으나, 나치는 일본과의 동맹 관계를 감안하여 일본인과 독일인의 결혼을 뉘른베르크법으로 처벌하는 것을 보류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인들이 알지 못하는 독일 정계 내에서는 '인종적 오염'을 막기 위해 일본인들과 독일인들의 결합을 장기적으로 불허해야 한다는 논의가 꾸준히 이어졌다. 히틀러 역시 외교 문제 때문에 일본인들에 대한 차별 정책을 보류하였으나 근본적으로 그들과 독일인들은 동등한 존재가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이는 후루야 하루미 시데하라가 논문 <Nazi Racism Toward the Japanese>에서 밝힌 바이다. 따라서 히틀러가 일본인을 예외로 둔 것은 그가 이데올로기적으로 일본인이 우수인종이라 믿었기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일본과 동맹을 결성했다는 현실정치(Realpolitik)적 상황 때문에 그들을 절멸수용소에 집어넣지 못했을 뿐이다.

대조되는 사례가 바로 재독 중국인들이다. 중화민국의 경우 1938년까지 독일과 정치적 동맹 관계에 있었기에[23] 양국 간에 우호적인 인적 교류가 이어졌다. 그러나 곧 독일이 중국 대신 일본을 파트너로 선택하면서 재독 중국인들은 동맹국 시민에서 박해의 대상으로 굴러떨어졌다. 1941년 진주만 공습이 벌어지며 일본이 본격적으로 제2차 세계대전에 가담하자 중국인들은 일본인들과 달리 게슈타포에 체포되었다. 그들은 다른 정치범이나 유대인들과 함께 강제수용소로 끌려가 노역을 당하다 최후를 맞았다. 만일 나치 독일이 중국과의 관계를 계속 유지하고 일본과 동맹을 맺지 않았다면, 강제수용소로 보내지는 것은 재독 중국인들이 아니라 재독 일본인들과 역시 일본 국적으로 분류되던 재독 한국인들이었을 것이다.

4.3. 아돌프 히틀러와 종교

일단 명목상으로는 가톨릭에서 세례성사를 받았으나 부모에게서 독립을 한 후에는 미사7성사의 참례는 단 한번도 하지 않았다.[24] 또 1931년 나치 지도층 전체가 함께 파문을 당하였다.

아돌프 히틀러의 종교관은 아주 좋은 떡밥이며, 기독교인이나 유신론자는 아돌프 히틀러가 무신론자나 반기독교주의자였다고 주장하고 반기독교주의자와 반종교주의자들, 그리고 일부 반가톨릭적 성향이 강한 개신교인들은[25] 아돌프 히틀러가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고 주장하지만 그러나 꼭 가톨릭에 한정된 건 아니고 다른 주장으로는 아돌프 히틀러가 오히려 개신교에 가까웠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아돌프 히틀러가 기독교인이었든지 무신론자였든지 그 사실이 기독교유신론, 혹은 반기독교주의나 무신론이 잘못되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종교가 걸려 있기 때문에 오늘도 논쟁이 끊일 날이 없다.

아돌프 히틀러는 많은 연설에서 무신론에 반대하고 기독교를 긍정하는 모습을 보였다.[26] 그리고 연설뿐 아니라 일부 측근들은 아돌프 히틀러를 독실한 기독교 신자라고 말하기도 했다. 허나 이를 표면적으로 받아들이고 아돌프 히틀러는 독실한 기독교인이라고 단정지어서는 안 되는 이유는, 당시 80%가 기독교인이었던 독일을 비롯한 당시 유럽 기독교 국가에서 독실한 신앙을 가졌다고 주장하지 않는 우파 정치인은 거의 없었다. 무신론=볼셰비즘으로 낙인 찍던 시대이다. 현재도 세속화가 상당히 진행된 유럽에서도 무신론자임을 자처하는 국가 지도자는 잘 나오지 않고 있으며, 미국 같으면 정치인이 기독교인이 아니라고 하면 정치적 자살이나 마찬가지다.

아돌프 히틀러는 공식석상에서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는데, "하느님의 거룩한 사명" 같은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좋아했고, "가톨릭적 도덕관을 바탕으로 한 국가를 세우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는 말을 하기도 했고 기독교를 정치적으로도 자주 써먹었다. 당시엔 "무신론 = 공산주의"라는 일반화가 통용되는 시대였으니 무신론자를 공산주의자라고 비난하는 일도 당연히 서슴치 않았다. 따라서 당시에는 기독교인이 아니라도 공산주의자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이라는 위장을 할 수밖에 없었다. 아돌프 히틀러가 기독교인인지, 다른 종교인인지, 무신론자인지 알 수 없지만, 다음은 아돌프 히틀러가 어떻게 종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했는지 보여주는 문구이다.
민족주의적인 정신을 가진 사람은 특별히 각자 자기의 이름으로 사람들이 단지 피상적으로 신의 뜻을 얘기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고 실제로 신의 뜻을 실행하게 하여 신의 말씀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만들 성스러운 의무를 지닌다. 왜냐하면 신의 말씀은 인간에게 그 형체와 정수와 그 능력을 주셨기 때문이다. 누구라도 그의 작업을 파괴하는 자는 주님의 피조물, 그 성스러운 의지에 대하여 선전포고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을 일깨워, 원한다면 각자 그 자신의 이름으로, 모든 사람이 누구든 그 활동에 있어서 말이나 행동으로 그의 종교적인 공동체의 한계를 벗어나 다른 사람을 공격하는 사람을 반대하는 것을 일차적이고 가장 성스러운 의무로 삼게 하라.
(중략)
따라서 오늘 나는 전능하신 신의 의지를 따라 행동하고 있다고 믿는다: 나 자신을 유대인으로부터 방어함으로써 나는 주님의 일을 위해 투쟁하고 있다.
아돌프 히틀러, "나의 투쟁", 랄프 만하임(Ralph Manheim)[27] 영역, 먼소류[28] 한국어 역

이것저것 길게 말하고는 있지만, 결론만 따지고 말하면, 자신의 반유대주의가 종교(혹은 신의 의지)에 의해서 정당화된다는 것이다.
퓌러께서는 최종 해결책의 임무를 맡은 자들에게 살해가 가능한 한 인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알렸다. 이것은 해충으로 가득한 세상을 정화하라는 신의 명령에 봉사하고 있다는 그의 확신과도 일치했다. 로마 교회의 계급을 혐오하면서도 여전히 로마 교회의 평판 좋은 회원인 그는 유대인이 신을 살해한 자들이라는 그들의 가르침을 항상 지니고 다녔다. 말살 정책은 따라서 비개인적으로 잔인하지 않게 행해지는 한은 그가 단지 신의 복수의 손으로서 행동하는 것이었으므로 양심에 거리낌 없이 수행할 수 있었다.
John Toland (Pulitzer Prize winner), from "Adolf Hitler", pp 507, talking about the Autumn of 1941.
이것도 마찬가지. 아돌프 히틀러는 세간의 비난을 받기 쉬운 학살을 정당화 시키려는 정치적인 목적으로 '유대인들은 신을 살해한 자들'이라고 매도했고, 그 매도를 진실로 받아들인 사람의 기록이다. 유대인을 예수를 살해한 자라고 비난한 건 아돌프 히틀러가 처음은 아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히틀러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많은 발언을 남기기도 하였다. 1941년에 그는 나치 중위들에게 “기독교적 세계관과 게르만 영웅적 세계관 사이에는 풀 수 없는 모순이 있다. 그러나 이 모순은 전쟁 중에는 해결할 수 없지만, 전쟁이 끝난 후에는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나서야 한다.”라고 발언을 하며 전후 기독교의 체계적인 말살을 암시하는 듯한 발언을 남겼다.

또 나치 신문 편집자였던 한스 지글러에게 히틀러는 "당신은 알아야 할 것이다, 나는 비종교적이다. 나는 그것을 비기독교인이라는 의미로 이해한다."라고 발언하기도 하였다.

히틀러가 무신론자였다는 증언도 있다.오토 슈트라서와 히틀러의 친구 에른스트 한프슈팅글은 히틀러가 무신론자였다고 증언한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당시 정치세계에서 무신론자임을 드러내는 건 정치적으로 큰 리스크였고, 이 둘은 히틀러와 후에 척을 진 인물들이기에 그의 이미지를 깍아먹기 위해서 과장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히틀러의 예수에 대한 이해는 굉장히 괴상했는데, 그는 예수를 유대인과 맞서 싸운 아리아인이라는 시각을 가졌다. 실제로 1921년 4월 연설에서 히틀러는 예수를 금발벽안이라고 주장했으며, 1922년 11월의 연설에서는 예수를 게르만인이라고 주장했다. 또 히틀러의 측근 오토 바게너에 따르면 히틀러는 예수의 추종자들이 그의 시신이 숭배의 대상이 되는 걸 방지하기 위해 무덤에서 고의로 숨겨졌다고 발언하여 기독교의 핵심교리인 예수의 부활에 대해서 부정하였다.

아돌프 히틀러는 어릴 적 가톨릭 세례를 받아 기독교인이었으며 유럽의 보편적인 기독교 문화에 대놓고 반대하지 않았고 좀 불만이 있었어도 독일 민족이 2000년 동안 기독교에 동화되어 버려서 어쩔 수 없다고 봤다. 힘러처럼 대놓고 반기독교적 성향을 드러낸 적은 한 번도 없다. 즉, 아돌프 히틀러는 독실한 가톨릭교도는 아니었지만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적어도 형식적인 기독교인이라는 점을 공개적으로 자주 보여줬다. 연설에서 시도 때도 없이 쓰는 네덜란드식 감사 기도[29]라며 공식석상에선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측근과의 대화에서나 1927년 밤베르크 회의에서 나치당 강령을 두고 회의 시엔 "당 강령은 안 바꾼다. 성경은 모순 덩어리지만 기독교의 확산을 막지 못했다."라고 못박은 적이 있다.

그러나 아돌프 히틀러는 수많은 성직자를 자신에게 반대한다는 이유로 탄압했으며 가톨릭을 틀려먹은 종교(Wrong Religion)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개신교의 경우에는 가톨릭에 비해서는 덜 한편이기는 하였으나 반나치 성향 고백 교회 목사들 700명을 게슈타포가 체포해서 수용소로 보내기도 한 것을 보면 어디까지나 자신에게 거슬리지 않는 경우에 한정된 이야기로 보인다. 가톨릭 사제나 수도자도 마찬가지. 나치당 내의 개신교도를 억압하자는 주장에 반대하였고, 심지어 나치와 개신교의 충돌을 막고자 "게르만 기독교 신앙운동"을 열기도 했다. 개신교가 가톨릭과 다른 점이 독립된 종파이며 중앙 조직이 없다는 점인데 가장 크게 반발했던 부분이다. 세례받은 유대인을 탄압하거나 서로 다른 개신교 종파를 억지로 "독일 민족 교회"라는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서 국가에서 관리하고자 할 땐 개신교계에서도 크게 반발했다. 이는 독일 개신교 내에서 반나치 운동이 일어나는 원인 중 하나가 됐다. 대표적인 예가 독일 고백교회를 이끌었던 디트리히 본회퍼 목사다.

또한 다른 나치 추종자들이 아돌프 히틀러의 뜻을 거스르기 어렵다고 본다면 돌격대와 친위대는 가톨릭 사제들을 "로마의 첩자", "남색집단"이라고 폄하했고 괴벨스는 가톨릭 사제들을 가리켜 "검은 무뢰한들"이 동성애적 성향으로 독일 청소년들에 성적인 폭력을 동반한 악영향을 끼친다고 비난했으며, 힘러와 친위대는 신비주의와 실체도 없는 게르만 민족종교나 찾아다니는 등 반유대-반기독교성향이 뚜렷했고 총통 비서인 마르틴 보어만은 "국가사회주의와 기독교는 양립할 수 없다", 뉘른베르크에서 처형당한 인종학자 알프레드 로젠베르크는 "독일이 살아남으려면 십자가가 떨어져야 된다."라고 주장했다. 괴벨스도 가톨릭 장학금만 먹튀하고 신앙은 일찍 버렸다.[30]

평전 작가 이안 커쇼는 아돌프 히틀러는 자신의 의지와 운명만을 믿었다고 평가했고 아돌프 히틀러와 스탈린을 비교한 <독재자들(Dictators)>을 저술한 영국의 역사학자 리처드 오버리는 "아돌프 히틀러는 교회를 파괴하진 않았지만, 어디까지나 정치적 관점에서 판단으로 독재체제 내에서만 허용되었다"라고 평가한다. 종국에는 소련 공산주의와 국가사회주의는 종교와 양립할 수 없었다고 결론을 내린다. 아돌프 히틀러도 공식적인 자리가 아닌 힘러와의 사적 대화에선 "기독교 교리는 과학이 진보하기 전에 낡아버렸다."라고 평가했다. 독일이 기독교 국가임을 부정할 수 없어서 정치적으로 이용했고 적극적인 탄압은 없었으며 보수적인 성향을 지닌 대부분의 가톨릭 교회 및 독일 개신교 교단의 성향상 나치의 종교 정책에 대체로 순응했으며 반나치 성향의 고백교회를 제외하고 적극 이용당하고 소극적으로나마 협력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이교도라는 주장도 있으며 아돌프 히틀러는 이교, 즉 게르만족의 전통 믿음인 북유럽 신화에 관심을 보이고 독일의 신앙을 기독교에서 이교로 갈아치우려 했다는 음모론도 있다. 실제로 나치는 크리스마스 때 산타가 아니라 오딘이 선물을 준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혹은 예수의 출신을 북유럽의 영웅으로 조작했고 이에 반대하는 성직자들을 제거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아돌프 히틀러는 다른 나치 고관들인 루돌프 헤스하인리히 힘러와는 달리 신비주의적이나 이교적인 것들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었다. 헤스나 힘러는 기독교 이전 시대의 아리안족 고유신앙을 재구성한답시고 문자가 새겨진 비문들을 수집하거나 인도나 페르시아의 고대 종교들을 연구하는 등의 기행을 일삼았으나, 아돌프 히틀러는 오히려 이러한 행동들을 비웃었다. 실제로 힘러가 1938년에 "아리아인의 뿌리를 찾겠다."라며 친위대원들로 탐사대를 꾸려서 티베트로 보낸 적이 있는데 이게 아돌프 히틀러 귀에 들어가자 예산을 함부로 낭비했다는 일갈이나 들어야했다. 슈페어의 회고록에 의하면 아리안 드립은 쳤지만 고고학적 발견엔 별 관심이 없었는데 그 이유는 그리스-로마 시대의 엄청난 유적과 유물들이 남아있는데 우리 조상들의 유물로는 돌도끼 같은 것이나 발굴되면 쪽팔리니까 그만두자는 것이었다. 힘러와 후에 나치 내에서도 정신상태가 맛이 갔다고 여겨지던 루돌프 헤스는 프리메이슨과 가톨릭 예수회가 세계를 정복하려는 국제 유대인 조직의 하수인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힘러의 친위대에선 휴스턴 체임벌린의 영향을 받아 예수는 유대인이 아니라 아리아인이었다는 주장까지 펼쳤다.

나치당이 집권한 후엔 심지어 일본신토를 조국을 위해 희생한 영혼들을 숭배하는 위대한 종교라고 추켜올리는 발언을 했다는 기록도 있다. 또한 공자석가모니를 "인류의 위대한 스승"이라고 했다고도 하는데, 역시 해석은 제멋대로에 엉망이라서 인도에 자리잡았던 아리아인들은 북부 독일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제국을 세웠던 지배인종이며 샤캬족도 그들의 후손이라는 개드립이나 치는 수준이었다. 이슬람이 진정한 아리안의 신앙인데 망할 카롤루스 대제가 이슬람의 북상을 저지했기 때문에 "기독교처럼 순종적이고 무기력한 종교가 모국의 종교로 자리잡게 됐다."라는 발언을 했다는 알베르트 슈페어의 증언도 있다.[31]
내가 유일하게 존중해주는 종교는 이슬람이며, 내가 유일하게 존경하는 선지자는 무함마드이다.
- 아돌프 히틀러
아돌프 히틀러는 위 발언처럼 이슬람교에 대해서 호의적인 발언도 하였다.[32]

물론 일본의 신토 관련으로 발언한 것과 같이, 이 또한 외교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남긴 발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2차 대전이 진행되면서 독일은 예루살렘의 大무프티 아민 알 후세이니 휘하의 팔레스타인계 아랍 민병대들을 꼬셔다 반영 반란을 부추기려고 노력했다. 실제로 슈페어에게 "아랍인들은 아리아인들보다 한 수 아래다"라는 발언을 직접 하기도 했다고 한다.
다만 히틀러가 그러면서도 아랍인들의 일사불란한 군사 문화에는 깊은 감명을 받은 듯하다는 게 슈페어의 회상이었다. 실제로 힘러에게도 친위대 내부에 무슬림 분과를 마련해놓으라고 했다는 증언도 있다.

아돌프 히틀러가 스스로 예수라고 했다는 주장도 있는데 목사 및 신부 탄압과 기독교 탄압이 "자신을 예수로 인정해주지 않아서"라는 것이다. 그러나 아돌프 히틀러를 "재림 예수"처럼 꾸며낸 일등공신은 괴벨스이며 기독교 문화권에서 친숙한 성자나 구세주적인 이미지를 쓴 것에 불과하다. 현재 한국에서 유교 드립 친다고 해서 상투 틀고 갓 쓰면서 청학동에 사서삼경 외우는 사람이 아니듯이 당시 사람들에게 친숙한 기독교적 소도구를 사용한 것에 불과하다. 오히려 저 루머는 목사와 신부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다가 실패하고 탄압했다는 것이 와전되어서 생긴 이야기일 가능성이 높다.

아돌프 히틀러가 종전 후 기독교를 말살하려고 계획했다는 설도 있다. 영문 위키피디아 자료

아래는 위 내용을 대충 간추려서 번역한 글이다.
앨런 불록(Bullock)은 “전쟁이 끝난다면 (아돌프 히틀러는) 그리스도교의 영향력을 파괴하고 뿌리뽑으리라 스스로 다짐했다.”고 썼다. 미첼 페이어(Phayer)는 “1930년대 후반기까지 교회 관계자들은 아돌프 히틀러와 다른 나치당원들의 궁극적인 목표가 그리스도교의 완전한 말살에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독일 국민들의 절대 다수가 그리스도인들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목표는 나치의 단기적 목표가 아니라 필연적으로 장기적 목표가 되어야만 했다.”고 적었다. 1999년 Julie Seltzer Mandel은 뉘렘베르크 프로젝트의 문서들을 연구하던 도중 도노반(William Donovan) 장군이 나치의 전쟁 범죄를 문서화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수집한 한 세트인 150권의 기록을 발견하였다. 도노반은 미국 검사팀의 수석요원이었으며 나치당의 교회 박해에 대한 많은 양의 증거를 모았다.

108쪽의 개요문서인 “나치당의 종합 계획”에서 미국 전략사무국은 나치 정권은 조직적인 박해를 통하여 그리스도교의 영향력을 축소시킬 계획을 갖고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보고서에서는 “민족사회주의당(national socialist party)의 주요 지도자들은 그리스도교의 완전한 말살과 순수하게 인종에 근간을 둔 종교로 대체하는 이러한 상황을 반겼을 것”이라고 서술되었다. 가장 유력한 근거는 “박해 그 자체가 가지는 조직적 본성”이다. 아돌프 히틀러의 동유럽 독일화 계획에서는 그리스도교에 대한 안배는 전혀 없을 것이었다. 그때까지 당분간은 아돌프 히틀러는 이러한 교회 문제에 대하여 느리게 진행할 것을 지시했다.

가장 반교회 성향이 강하고 공격적인 인사 중 하나였던 괴벨스는 한 가지 분명한 점은 이러한 문제는 전후에 반드시 해결되어야만 하고, 이는 즉 다시 말해서 그리스도교와 독일 전통 이교 신앙 사이에는 매울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불록은 “전쟁이 끝난다면 (아돌프 히틀러는) 그리스도교 교회의 영향력을 파괴하고 뿌리뽑겠지만, 그 순간이 도래하기 전까지는 신중함을 유지하기로 스스로 다짐했다.”라고 적었다. Yad Vashem에 기고한 글에서 역사학자 미첼 페이어는 1930년대 후반까지, 교회 관계자들은 아돌프 히틀러의 장기적인 목표가 “그리스도교의 완전한 멸절”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하였다. 아돌프 히틀러의 수석 설계자였던 알베르트 슈페어는 회고록에서 아돌프 히틀러의 새 베를린 초안을 구상할 당시 그가 아돌프 히틀러의 개인 비서였던 마르틴 보어만에게 가톨릭과 개신교 관계자들에게 교회의 위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고 하자 보어만은 짧게 “교회들은 건물 위치를 배정받지 못할 것”이라고 알려주었다.

나치가 기독교 말살을 계획했다는 주장 자체는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에서 상당한 근거를 들어 제출된 바가 있고(본문에서 언급되는 도노반 장군의 자료들이 재판에서 제출되었다.) 첫 문단에서 인용하고 있는 앨런 불록의 <Hitler: A Study in Tyranny>나 미첼 페이어의 <The Catholic Church and the Holocaust> 등에도 실려 있다.

도노반 장군의 자료들의 내용을 요약하면,
나치 전범에 대한 뉘른베르크(Nuremberg) 국제재판은 무려 6백만의 유태인을 살해한 Holocaust 사건을 나치의 인종학살 계획에 의해 저질러졌다는 것을 증명하고 고발하였다. 미국의 고소인단을 이끌었던 윌리엄 도노반 장군(General William Donovan)은 나치가 유태인 학살 뿐만 아니라 기독교에 대한 체계적 파괴도 계획하였다는 내용을 담은 방대한 분량의 문서들을 제출하였다. 도노반의 문서들―무려 150 권에 달하는 장정본(裝幀本)―은 1959년 도노반이 죽은 후에 코넬(Cornel) 대학교에 보관되었다. 지금은 Rutgers Journal of Law and Religion에서 internet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이 범죄적 음모에는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선전부장 요셉 게벨스(Joseph Goebbels), 히틀러 유겐트의 지도자 그리고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의 피고인 발두어 시라크(Baldure Schirach)를 포함한 나치당의 정상급 핵심 요원들이 연루되어 있었다. 이 문서에 의하면, 나치는 기독교회가 애초부터 나치의 인종차별과 정복전쟁 계획에 반대 입장을 견지한다는 이유로 제압하려는 계획을 세웠다고 했다. 그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위하여 나치는 교회의 내부에 침입하려 하였다. 즉, 중상모략, 체포, 습격 등을 획책하고 목회자를 살해하고, 신도의 사상을 개조하며, 교회 학교와 청소년 조직에 침입하는 계획을 세웠다는 것이다. 성경 중심의 복음주의 교회는 타협적인 교회에 반대하면서 대(對) 나치 항거의 전면에 나섰다. 성경의 무오설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견지하지 못했던 자유주의 교회들은 집권자의 친-진화론적 이념에 기독교 교리를 끼어 맞추려는 기도의 일환으로 기독교 교리를 서슴없이 ‘재해석’하려 하였다. 그것은 오늘날 다윈의 ‘과학’적 이론에 추종하려는 현상과 유사했다. 일찍이 1937년에 벌써, 프로테스탄트 교회들은 나치 정책에 반대한다고 선언한 바 있다. 그러자 나치는 이를 보복하기 위하여 700명의 목회자를 체포 구금하였다. 인본주의자와 자칭 ‘민간 자유주의 단체’는 ‘창조설을 교회 내에 국한’시키자, 그리고 모든 기독교의 영향을 대중의 생활과 학교로부터 말살하자고 외쳤다. 이 불길한 외침에 보조를 맞추어 여러 교파의 교회들도 종교 활동을 가능한 한 좁은 범위 안으로 한정하려 하였다. 그런데 그들의 자진하여 축소한 활동범위 위에 더 많은 제약을 막무가내로 가하려 하던 나치의 방해 공작에 교회는 속수무책이었다. 기독교를 둘러싸고 벌어졌던 이러한 현상은 나치의 ‘점진적 잠식을 위한 용의주도한 기독교 말살 계획’을 진전시키는데 도움을 주었고, 교회의 조직체계를 나치의 정치목적에 이용당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기독교 혐오에 대해 일단 아돌프 히틀러 본인이 직접적으로 남긴 발언은 상술했듯 기독교가 "너무 순종적이고 무기력한 종교라서 싫다"는 거였는데, 다만 이 또한 어떤 경로로 기독교를 "순종적이고 무기력한 종교"라고 생각하게 되었는지가 극히 불분명하다. 순수하게 신학적으로만 따져본다면, 기독교를 비롯한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대다수가 최후의 심판을 예언하고 있으나 이 중에서 최후의 심판 직전에 대전쟁이 지상을 휩쓸고 지나간다고 예언하는 종교는 기독교가 유일하다. 물론 이는 요한묵시록의 문헌적 특수성을 감안해야 하는 점도 있으나 일단 이것만 놓고 본다면 기독교가 비슷한 계통의 다른 종교들에 비해 "순종적이고 무기력하다"고 보기는 어려운 부분이다. 결국 이 또한 신학적 이해 없이 그냥 되는대로 발언하고 보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외 히틀러의 여러 연설과 주변인들과의 발언을 토대로 그의 종교관을 분석한 리처드 위카르트(Richard Wikart) 교수는 그가 범신론적 성향을 지녔다고 저서에서 밝혔다. 실제로 히틀러는 1941년 연설에서는 "자연의 영원한 법칙 앞에서 인류는 무력합니다. 인류 전체의 구원은 신의 섭리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인간이 그 법을 거역할 수 있다는 게 거짓이라는 걸 인지하게 된다면 결코 해로운 것은 없을 것입니다."라고 신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신과 자연의 법칙을 동일시 하면서 적자생존의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는 게 신의 뜻에 부합하다는 그의 종교관을 내비쳤다.

이렇게 아돌프 히틀러의 종교에 대한 설은 다양하지만 공통된 사실이 있다면 이러한 설들에 대해 일관성을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다. 나치나 아돌프 히틀러 관련하여 공신력 있는 서적들에서 종교 탄압은 꼭 한 챕터씩은 다루고 있다. 페스트 <아돌프 히틀러 평전>, 이안 커쇼 <아돌프 히틀러>, 리처드 오버리 <독재자들>, 데틀레프 포이케르트 <나치시대 일상사>, 귀도 크놉 <아돌프 히틀러의 뜻대로>, 마르틴 브로샤트 <히틀러 국가>, 슈테판 마르크스 <나치즘 열광과 도취의 심리학>, 간접적으로 다룬 책들 중에 폴 존슨 <모던 타임즈>, 한나 아렌트 <전체주의의 기원> 등이 있다. 다만 반기독교와 같은 동기, 신념과 기독교에 대한 증오, 혐오로 탄압했기보다는 정치적으로 나치와 자신에게 방해가 될 때에만 탄압했다.

그래서 히틀러의 종교관에 대해서 '애초에 종교에 대한 일관적인 관점이나 사상 자체가 히틀러에겐 존재하지 않았으며, 그때 그때 권력에 이용하기 위해 태도를 달리하였을 뿐이다'라는 해석도 존재하고 있다.


5. 가족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돌프 히틀러/가족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돌프 히틀러/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19 - 1923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1923 - 1924 수감으로 인한 탈당

1924 - 1945 복당
사망

8.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32 독일 대통령 선거 독일
13,418,547 (36.8%) 낙선 (2위) [33]
1933.3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 비례대표
(북바이에른·슈바벤
비례선거구)[34]
17,277,180 (43.91%) 당선 (1위) 초선[35]
1933.11 나치 독일 총선 39,655,244 (92.11%) 재선
1936 44,462,458 (98.8%) 3선
1938 48,751,587 (98.93%) 4선[36]

명성에 비해 원내 입성은 1933년으로 상당히 늦은 편인데, 국적 문제 때문에 그렇다. 1925년 오스트리아 국적을 포기한 이후 6번이나 귀화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고, 7년 후인 1932년 2월 25일에 간신히 독일 국적을 얻어 그 이후 대선과 총선 출마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차피 바이마르 공화국은 일반적인 의원 내각제와 달리 의원이 아니어도 총리와 장관이 될 수 있었기 때문에 큰 상관은 없었다.

8.1. 이름 관련

아돌프 히틀러가 누렸던 수많은 행운 중에서 맨 처음 행운은 히틀러가 태어나기 13년 전에 닥쳤다. 1876년 훗날 히틀러의 아버지가 되는 사내가 이름을 알로이스 시클그루버에서 알로이스 히틀러로 바꾼 것이다. 아버지한테 가장 고마운 점이 시클그루버라는 상스럽고 촌스러운 성을 내다버린 것이었다는 아돌프의 술회는 빈말이 아닐 것이다. 확실히 Heil Schicklgruber!(하일 시클그루버!)는 민족 영웅을 경배하는 인사말로는 참으로 어색하기 짝이 없었으리라.
이언 커쇼, "히틀러" 1권 (p. 39)
아버지 알로이스 히틀러의 성씨는 원래 오스트리아에서 '페인트공' 출신임을 뜻하는 시클그루버(Schicklgruber)였으나, 알로이스의 어머니(즉 아돌프의 할머니)인 마리아 아나 시클그루버(Maria Anna Schicklgruber)가 요한 게오르크 히들러(Johann Georg Hiedler)와 재혼하면서 아버지의 성이 히들러(Hiedler)로 바뀌었다. 이후 1876년 아버지 알로이스는 자신의 성 '히들러'를 히틀러(Hitler)로 다시 바꾸었다.

이 일련의 개칭은 모두 아돌프가 태어나기 이전에 일어난 일이었기 때문에, 아돌프 본인의 성은 태어날 때부터 히틀러였으며 '시클그루버'나 '히들러'였던 적은 없었다. 그러나 이 내막을 아는 그의 정적들과 연합군 사람들은 그를 조롱하기 위해 종종 아돌프 시클그루버라는 이름으로 부르곤 했다. 소련의 일부 군인들은 "우리는~ 베를린에 처박혀 있는 광분한 시클그루버 아저씨를 곧 만나러 간다네~"라는 요상한 노래를 만들어 부르며 그를 놀렸고, 연합군(미국, 영국, 프랑스) 소속 군인들도 전쟁포로로 잡힌 SS 무장친위대들에게 얌마, 니네 위대한 총통이라고 떠받들고 있는 사람 말인데, 원래 오스트리아 페인트공 출신으로 진짜 성씨는 "시클그루버" 랜다. 라며 맞장구를 치며 조롱했다.[37] 물론 독일 점령지에서 저랬다면, 게슈타포친위대에게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지거나, 불구가 될 정도로 구타를 당하거나, 수용소에 끌려갔다. 아돌프 본인도 자신의 인생의 불명예로 생각할 정도였다. Gruber가 오스트리아 지역에서 가장 흔한 성씨다보니 독일어권에서는 굉장히 오스트리아인스러운 이름으로 들린다고 한다.

히틀러라는 성은 히들러(Hiedler), 휘틀러(Hüttler)라는 성의 바리에이션으로 여겨지고 있는데, 그 유래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로 천정천을 의미하는 Hiedl이나 독일어로 헛간을 의미하는 Hütte에서 왔을 것이라 보는 의견이 있지만 그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Hitler라는 성은 알로이스 시클그루버가 자신의 성을 바꾸면서 만든 성씨라 독일에서는 거의 히틀러의 가족들이나 쓰던 성이고, 바리에이션인 Hiedler, Hüttler도 독일어권에서는 그리 많이 쓰이는 성은 아니었다. 저 성으로 검색하면 뜨는 사람들이 모두 아돌프 히틀러의 가족일 정도다. 그렇기 때문에 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히틀러가 천하의 대악당으로 평가되면서 Hitler라고 하면 바로 아돌프 히틀러를 떠올리게 되어 독일어권에서는 더 이상 이 성을 쓰지 않게 되었다. 2차 대전 이후에도 살아남은 히틀러의 가족들이나 Hitler 성씨를 지닌 이들은 Hiedler나 Hissler로 개명했다고 전해진다. 가끔 히틀러라는 이름을 스스로 붙이거나 자식에게 지어주는 사람이 있으면 네오 나치나 진짜 나치 후손이거나 둘 중 하나일 가능성이 100%라고 봐도 될 정도다. 다만 아예 아돌프까지 붙은 아돌프 히틀러 우노나는 그런 오해를 받기 쉽지만, 아버지가 역사를 잘 몰라서 그냥 유명인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히틀러라는 성뿐만 아니라 아돌프라는 이름도 서양 사회에서는 거의 나쁜 이름을 넘어 대표적인 금지어로 취급받고 있다. 아돌프는 독일에서 흔한 이름이었으나 종전 이후에 출판된 전화번호부를 보면 그 흔했던 이름들이 싹 사라진다. 물론 아돌프라는 이름은 오스나브뤼크의 성 아돌푸스(축일은 2월 11일)와 같은 가톨릭 성인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써 왔던 이름이기에, 나치 정권 때나 그 전에 태어난 노인들 중에는 아돌프라는 이름을 가진 경우가 간혹 보이지만 새 아기한테는 지어주지 않는다. 정확히 말해 아돌포, 루돌프, 랜돌프, 돌프 등 약간의 변형을 거친 이름들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북유럽 지역의 경우 아직도 아돌프라는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존재하긴 한다. 다만 북유럽 지역에서 네오나치의 기세가 상당하다 보니 히틀러에 경도된 네오나치들이 이름을 따왔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긴 하다.
Ефрейтор Шикльгрубер не зря сидел в тюрьме! (시클그루버 상병께선 깜빵에 아무 생각 없이 앉아 있었던 게 아니라지!)
소련의 프로젝트성 하드락 밴드 "아돌프 기틀레르"(Адольф Гитлер, 1986)의 노래 "나의 투쟁"(Mein Kampf) 첫 소절[38][39]

러시아에서는 '아돌프 기틀례르(Адо́льф Ги́тлер)'라고 표기한다. 원래 러시아어에는 /h/ 발음이 없는데[40], 인명이나 지명의 h를 /g/ 발음의 Г로 썼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러시아인들은 /h/를 Х보다는 Г에 가까운 발음이라고 인식해 왔다.[41][42]

그리고 워낙 히틀러의 이미지가 세계적으로 악명 높다보니, 과거에 구글이나 유튜브에서 히틀러를 검색하면 필터링돼서 연관 검색어가 뜨지 않았다. 이는 나치도 마찬가지.

9. 각종 매체의 아돌프 히틀러

9.1. 역사서

히틀러에 대한 평가는 어떤 책이 나왔나로 먼저 볼 수 있을 것이다. 히틀러를 다룬 서적은 전후 수천 종이 쏟아져 나왔는데 음모론이나 별 신빙성 없거나 흥미 위주의 책을 제외하고 진지하게 다룬 서적으로는 수백여 종이 있고 국내에 발매된 것 중 권위있는 서적은 요아힘 C. 페스트의 《히틀러 평전》과 이언 커쇼의 《히틀러 1(의지), 2(몰락)》이 있다. 요하임 페스트는 전문 학자는 아니지만 독일의 저명한 방송인 겸 저널리스트로 <프랑크푸르트 자이퉁>에서 주필를 지내고, 독일 공영방송 ZDF의 현대사 편집장을 20년간 지낸 전문가이며, 이언 커쇼는 영국의 역사학 교수이다. 커쇼는 수십년 넘게 준비해서 발표한 히틀러를 다룬 저작으로 영국의 기사 작위도 받았다. 두 작품 모두 히틀러를 다룬 저작 중에 가장 권위가 있고 자세한 대신에 단점이라면 읽기에 매우 부담스러운 분량이다. 요하임 페스트는 개정판 기준 1,400페이지, 이언 커쇼는 2 200페이지가 넘는데 특히 커쇼의 책은 페스트의 책보다 책 넓이도 넓어서 양은 거의 두 배에 달한다. 두 작품 모두 읽으면 좋겠지만 하나만을 읽는다면 2000년대에 나온 이언 커쇼의 《히틀러》 하나만 봐도 무리가 없다. 반대로 히틀러가 실제로 어떤 사람이었는지 알고 싶다면 히틀러의 비서였던 트라우들 융에가 쓴 《히틀러 여비서와 함께 한 마지막 3년》을 읽어보기 바란다.

9.2. 창작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돌프 히틀러/기타 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돌프 히틀러/여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어록

저지른 악행이 커서 그런지 히틀러의 어록 중에서는 영미권에서 창조된 것이나, 한국 웹에서만 나오는 것 등 히틀러가 말한 적도 없는 가짜 어록들이 다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어떤 어록이 독일어로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다면 가짜 어록임으로 출처가 없는 어록을 기입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히틀러는 스스로를 민족의 영도자로 묘사하는 인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에 떠도는 어록을 보면 간혹 영화 속 악당이 자기 죄를 자백하는 수준의 엉터리 가짜 어록들이 즐비해있다. 예를 들면 빵과 서커스 운운하며 전 국민을 조롱하는 말을 히틀러가 했다는 내용은, 영미권에선 오토 슈트라서와 견해 차에서 노동자들의 관심사는 그정도 뿐이라는 뉘앙스로 내뱉은 것으로만 등장하나,[44] 독일어로는 해당 내용을 찾을 수 없는, 독일 비실재→영미권 창조→한국 곡해 어록이다.

현실적으로 히틀러는 입 한번 잘못 놀리면 끝장나는 정치인이었기 때문에, 막대한 민중 지지를 기반으로 총력전까지 불사하던 인기 독재자가 저런 식으로 지지자를 조롱하는 말을 대외로 퍼질 정도로 떠들어 댔다면 나치 독일이 전쟁을 일으키기 전에 히틀러가 먼저 쫓겨났을 것이다.
국력은 방어에 있는 것이 아니고 공격에 있다.
Stärke liegt nicht in der Verteidigung sondern im Angriff.
- 독일 슈피겔 지의 기사에 따르면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 언급된 표현으로, 일련의 침략 행위에 담겨 있는 목적을 보여주는 그의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45]
"대중은 작은 거짓말보다는 큰 거짓말을 믿게 된다."
Die große Masse der Menschen wird eher einer großen Lüge glauben als einer kleinen.
- 나의 투쟁
"인종적 오염을 거부하는 국가가 세계를 지배할 것이다."
- 나의 투쟁
삶이란 뭐요? 삶은 곧 국가요. 개인은 어떻든 죽어야 하지 않소?
- 스탈린그라드 전투 당시 프리드리히 파울루스가 항복하였다는 전문을 듣고.[46]
그 때, 마르크스주의에 대향한 투쟁이 이 싸움의 주 목표가 되었습니다. 저는 평범한 한 사람으로서 이 전쟁에 참가하며, 이 역병이 독일인들의 일상에서 완전히 쫓겨날 때까지 절대 쉬지 않기로 맹세했습니다.
오직 하나의 승리자만 있을 뿐입니다. 마르크스주의, 아니면 독일 국민! 승리자는 독일 국민이 될 것입니다!
- 1933년 2월 베를린 슈포르트팔라스트(Sportpalast) 연설 중
우리는 우리 앞에 독일이 있음을 알고, 독일은 우리와 함께 행진하며, 독일은 우리를 따릅니다!
- 1934년 9월 7일 제6차 나치당 전당대회 히틀러 유켄트 연설 중
우리의 사회복지제도는 그저 단순한 자선행위가 아닙니다. 우리는 부자들에게 "제발 가난한 사람들에게 뭔가 주시죠"라고 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우리는 이렇게 말합니다. "독일 국민 여러분 서로 도우십시오. 모두가 도와야 합니다. 가난하든 부유하든, 항상 당신보다 더 불행한 상황에 빠진 (독일)사람이 있었다는 걸 명심하십시오, 그리고 독일인으로써 같은 동포인 그 사람을 돕고 싶어해야 합니다."[47]
국가의 권위는 절대 스스로 종결되지 않는다.
어떤 종류의 폭정이라 하더라도 불가침화되고 신성화된다. 만약 국가의 권력수단이 민중을 폐허로 인도한다면, 저항은 모든 개개인 시민의 권리일뿐만 아니라, 의무이다.
- 나의 투쟁 중.
외교의 목표는 국가의 실질적인 생존이 되어야지, 절대로 영웅적인 몰락이 되어서는 안 된다. 이 목표에 이르는 모든 길은 선한 것인데 반해, 그 실패는 범죄적인 직무유기로 봐야 한다.[48]
- 나의 투쟁 중.
"스포츠적이고 기사다운 시합은 인간의 최고의 자질을 깨웁니다. 그것은 이해와 존중 안에서 전투원(선수)들을 분리시키지 않고, 오히려 단합시킵니다. 그것은 또한 평화의 정신 안에서 국가들을 결속시키는 것을 돕습니다. 그것이 올림픽 성화가 죽어서는 안되는 이유입니다."
- 1936 베를린 올림픽 개회사. 당시 올림픽 준비위 위원장인 파울 요제프 괴벨스가 작성해준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 있는 몇 명은 공산당을 박멸한 나를 용서 할 수 없겠지만, 난 다른 정당들도 없애버렸다!"
- 1933년 11월 12일 지멘스 공장 연설

12. 관련 이미지

파일:히틀러_타임_표지.jpg
▲ 타임지에 히틀러가 선정되었을 때의 표지.
그가 악인임을 잘 드러내는 표지이다.
파일:Hitler pattern.jpg파일:554419-.png
▲ 히틀러의 초상화가 있는 동전과 우표
파일:ALPINA-HITLER-POCKET-WATCH.jpg
▲ 히틀러의 초상화가 있는 Alpina 회중시계

13. 둘러보기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덴노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colbgcolor=#000>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추축국 주요 지도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아돌프 히틀러†S
,총통,
빌헬름 카이텔C
,OKW 최고사령관,
파울 요제프 괴벨스†S
,선전부 장관/총리,
헤르만 괴링CS
,공군 제국원수,
하인리히 힘러S
,SS 국가지도자,
에리히 레더C
,전쟁해군 원수,
카를 되니츠C
,전쟁해군 원수/대통령,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에마누엘레 3세->
,국왕,
베니토 무솔리니
,두체/총리,
피에트로 바돌리오->
,총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쇼와 덴노
,천황,
고노에 후미마로S
,내각총리대신,
도조 히데키C
,내각총리대신/육군대신,
스즈키 간타로
,내각총리대신,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국민단결정부
호르티 미클로시->
,섭정,
살러시 페렌츠C
,총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미하이 1세->
,국왕,
이온 안토네스쿠C
,총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보리스 3세
,국왕,
시메온 2세
,국왕,
(-> : 전향 혹은 전향 시도 | : 종전 이전 사망 | C : 전후 재판을 받음 | S : 자살 )
}}}}}}}}}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이념 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범게르만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 원리 · 푈키셔 내셔널리즘 · 반공주의
분파 나치즘 · 슈트라서주의 · 네오 나치즘
정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독일 소녀 동맹 · 툴레 협회 · 히틀러 유겐트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 주데텐 독일인당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화살십자당 · 스위스 국민운동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오제바브란트바흐 · 그리스 민족사회당 ·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 독일계 미국인 동맹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국가사회주의 스웨덴 노동자당
군사 조직 국방군,(Wehrmacht), · 국방군최고사령부,(OKW), · 방첩국,(Abwehr), · 육군최고사령부,(OKH), · 비밀야전경찰,(GFP), · 공군최고사령부,(OKL), · 해군최고사령부,(OKM), · 돌격대,(SA), · 친위대,(SS), · 비밀국가경찰,(Gestapo), · 보안국,(SD), · 아넨에르베,(Ahnenerbe), · 무장친위대,(Waffen-SS), · 아인자츠그루펜,(Einsatzgruppen), · 질서경찰,(OrPo),
인물 아돌프 히틀러(퓌러)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오토 슈트라서 · 아돌프 아이히만· 카를 슈미트 · 조지 링컨 록웰 · 프리츠 쿤 · 카를 하우스호퍼 · 루트비히 뮐러
계획 게르마니아 · 레벤스라움 · 아르한겔스크-아스트라한 선 · 벨라루스 초토화 · 레벤스보른 · T4 작전 · 홀로코스트 · 대게르만국 · 부르군트 SS국
선전물 나의 투쟁 · 의지의 승리 · 올림피아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독일 주간 뉴스 · 푈키셔 베오바흐터
국가(國家) 나치 독일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상징 나치식 경례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 콜로브라트 · 철십자 · 하켄크로이츠
관련 틀 나치당 당수 · 네오 나치즘 · 아돌프 히틀러 · 추축국 · 파시즘
}}}}}}}}} ||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이념 국가주의 · 국수주의 · 군국주의 · 권위주의 · 대중주의 · 민족주의 · 반공주의 · 지도자 원리 · 사회진화론 · 반민주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 · 영웅주의 · 우생학 · 전체주의 · 협동조합주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네오 나치즘) · 네오 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 · 좌익 파시즘(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프랑스 파시즘 · 에코파시즘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국민급진기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가사회주의 스웨덴 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조우 연대파일:모호 아이콘.svg · 바그너 그룹 · 레히 · 영국 자유군단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마르틴 하이데거파일:모호 아이콘.svg · 기타 잇키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르주 소렐파일:모호 아이콘.svg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1922~1943의 이탈리아 왕국과 1943~1945의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파일:모호 아이콘.svg 파시즘 여부 논란 있음
}}}}}}}}}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히틀러투명 (1).svg아돌프 히틀러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생애 · 평가 · 창작물 · 가족관계 · 여담
나치즘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fff> 사상 나치즘(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범게르만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 원리)
상징 나치식 경례 · 하켄크로이츠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사건사고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 · 수권법 · 홀로코스트 · 뉘른베르크법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조직 및 국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툴레 협회 · 독일 국방군(GFP · 국방군최고사령부 · 육군최고사령부 · 공군최고사령부 · 해군최고사령부) · 슈츠슈타펠(무장친위대 · 아인자츠그루펜 · 게슈타포) · 돌격대 · 질서경찰 · 아넨에르베 · 아프베어 · 히틀러유겐트 · 나치 독일
선전물 나의 투쟁 · 그대, 히틀러에게 만세를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아돌프 히틀러 거리에 나무가 서 있네
제2차 세계 대전
사건사고 강철 조약 · 독소 불가침조약 · 라인란트 재무장 · 뮌헨 협정 · 폴란드 침공 · 독소전쟁 · 홀로코스트
인물
나치 관련 인물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아돌프 아이히만 · 카를 되니츠 · 루츠 폰 크로지크
추축국 정상 베니토 무솔리니 · 호르티 미클로시 · 살러시 페렌츠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 요제프 티소 · 에밀 하하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 비드쿤 크비슬링 · 필리프 페탱 · 밀란 네디치 · 이반 미하일로프 · 안드레이 블라소프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 쇼와 덴노 · 도조 히데키
연합국 정상 샤를 드골 · 이오시프 스탈린 · 윈스턴 처칠 · 장제스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기타
선거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히틀러 암살계획
장소 브라우나우암인 · 총통엄폐호 · 켈슈타인하우스
기타 퓌러 · 에바 브라운 · 블론디 · 히틀러 갤러리 · 히틀러의 성공시대 · 이 얼마나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생각이니미대 떨어지고 자살한 사람
추축국에 관련된 문서는 틀:추축국 참고
제2차 세계 대전에 관련된 문서는 틀:제2차 세계 대전 참고
파일:파스케스(세로).svg 파시즘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00> 상징 하켄크로이츠 · 국가수리 · 나치식 경례 · 독일의 노래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철십자
이념 나치즘 · 파시즘 · 범게르만주의 · 반유대주의 · 네오 나치즘 · 전체주의 · 국수주의 · 인종주의 · 지도자 원리
역사 수권법 통과 · 장검의 밤 · 라인란트 재무장 · 1936 베를린 올림픽 · 오스트리아 병합 · 뮌헨 협정 · 수정의 밤 · 폴란드 침공 · 제2차 세계 대전 · 독소전쟁 · 플렌스부르크 정부
정치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국가판무관부 · 퓌러 · 히틀러유겐트 · 푈키셔 베오바흐터 · 가우 · 역대 나치당 당수
외교 외교 전반 · 추축국 · 반코민테른 협정 · 독소 불가침 조약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나치 독일의 괴뢰국
경제 메포어음 · 아우토반 · 폭스바겐 · 나치 독일의 전범기업
군사 독일 국방군 · 친위대(무장친위대) · 국방군최고사령부 · 돌격대 · 게슈타포 · 아인자츠그루펜 · 티거 전차 · 유보트 · 우란프로옉트
전쟁범죄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국방군의 전쟁범죄 · 홀로코스트 · 절멸수용소(아우슈비츠)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T4 작전 · 반제 회의 · 벨라루스 초토화작전 · 치클론 B ·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인물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하인리히 힘러 · 헤르만 괴링 · 마르틴 보어만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빌헬름 카이텔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아돌프 아이히만
기타 환타 · 하얀 장미 · 나의 투쟁 · 나치의 남미 도주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관련 틀 아돌프 히틀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나치즘 · 파시즘 · 네오 나치즘
}}}}}}}}} ||



[1] 이미 퓌러붕커는 동독 시절 철저하게 매립되어 사라졌기에 지하라고 하기엔 살짝 애매하긴 하다.[2] 이미 오랫동안 사실혼 관계라서 사실상 퍼스트 레이디로 대접을 받았다. 간결한 결혼식을 올린 다음날인 4월 30일에 히틀러와 같이 자살했다.[3] 독일 제국군 육군, 바이에른 왕국군 육군 (1914년 ~ 1919년), 국가방위군 육군 (1919년 ~ 1920년).[4] 히틀러의 연설과 주변인들과의 발언을 토대로 그의 종교관을 분석한 Richard Weikart 교수는 히틀러가 사회진화론적으로 이해한 자연의 질서를 신과 동일시 했다는 점에서 범신론자라고 분석했다. #[5] 당시 독일 남자의 평균 키인 173cm보다 컸다.[6] 전쟁 막바지에 사망하여 전쟁 이후 전범재판을 받지만 않았을 뿐이지, 수많은 이들의 증언과 기록들만 보더라도 그가 명백한 전범행위를 해왔음은 확실하다.[7] 1921년 독일 노동자당의 당명을 '민족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으로 바꾸었다.[8] 이 연설은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 3년 차이자, 이틀 후에 1936년 총선 및 라인란트 재무장에 관한 국민투표가 예정되어 있던 시점에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지난 3년간의 히틀러 정권이 이룩한 업적을 독일 국민들에게 호소하는 내용이 주가 되고 있다. 나치 정권의 공격적인 대외 정책에 대한 국제 사회의 규탄을 독일 민족의 자존심으로 묵살할 것을 호소하고, 그런 자존심을 되찾아준 자신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는 히틀러 특유의 궤변이 잘 드러나는 연설이다.[9] 이틀 후에 1936년 총선 및 라인란트 재무장에 관한 국민투표가 예정되어 있었다.[10] 일본이 진주만 공습을 벌이고 나서 루즈벨트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자, 동맹인 추축국은 다시 미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심지어 히틀러는 미군의 참전이 불러올 파멸을 깨닫지 못하고 일본의 대미 공습을 칭찬하기까지 했다.[11] 명령을 받은 펠릭스 슈타이너는 이것이 자살행위라는 것을 알고는 투항해 버렸다. 그리고 그 사실을 알고 분노하는 장면이 유명하다.[12] 그도 그럴것이 핀란드는 전쟁 막바지 연합국의 압력에 독일과 전쟁을 벌였다. 물론 핀란드군이나 독일군 양쪽 전부 어제까지 같이 소련과 싸우던 전우였기에 처음엔 서로 눈감아 주었지만 배반자를 벌하라고 날뛴 히틀러덕에 독일군이 철수 하며 유대인을 학살하거나 마을을 방화하는 범죄를 저질렀다.[13] 오스발트 슈펭글러가 그 대표격이다.[14] 당시 게르만주의 정당은 교황청의 독일 교회의 간섭을 배격하고 있었다.[15] # 헨리 포드의 '국제유대인'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볼 수 있다.[16] 스탈린이 필요 이상으로 유대인을 숙청하고 탄압하기 시작한 것은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이후다.[17] 예카테리나 여제 시절 독일 루터교도들이 러시아로 많이 이주했다. 스탈린 시대 볼가 강 지역에 50만명의 독일계 주민이 남아 있었다.[18] 철자로 인해 '뤼거'로 표기되기도 하나 독일어 발음은 '루에거'에 가깝다. #[19] 물론 단순히 반유대주의자라서 지지를 얻은 것은 아니고, 우파정치인임에도 사회복지제도를 선도적으로 도입하면서 상하수도와 전기같은 기초 인프라 시설들을 대거 확충해서 인기를 얻었던 것이기도 했다. 히틀러가 소식적에 복지당을 꽤 타서 생계를 꾸려나갔다는 기록이 있는데 히틀러도 루에거의 덕을 독특히 본셈이기도 했다.[20] 이 때 손기정을 히틀러에 대해 한 나라의 지도자다운 용모를 풍긴다며 꽤나 높게 평가했다. 물론 이 발언이 올림픽 직후, 즉 2차 대전이 터지기 전에 한 발언이란 건 염두에 두어야 한다. 당시는 미국에서도 아돌프 히틀러가 당대 지도자들 중 가장 훌륭한 지도자 중 하나라는 여론 조사 결과가 나오던 시점이었다.[21] 제시 오언즈의 경우 조국인 미국에선 오히려 무시당했다. 흔히 알려져있는 히틀러의 악수 거부는 미국에서 왜곡한 사실이고 제시 오언즈를 무시한 건 당시 대통령 루즈벨트를 비롯한 미국인이었던 것이다.[22] 당연히 유대인 탄압 정책은 올림픽이 끝난 후 재개되었다.[23] 당시 중국은 독일군 재무장에 필요한 원자재 상당수를 공급했고, 반대로 독일은 중국의 산업화와 국방건설에 필요한 시설과 인력을 제공해주었다. 주중 독일 군사고문단은 장제스의 중국 공산당 토벌 작전과 중일전쟁에도 가담하면서 홍군일본군에 막대한 피해를 강요했다. 때문에 이 당시 독일과 일본은 오히려 갈등 관계에 가까웠다.[24] Rißmann, Michael (2001). Hitlers Gott. Vorsehungsglaube und Sendungsbewußtsein des deutschen Diktators[25] 나치 집권 당시에 가장 나치가 유화적인 종교는 다름아닌 개신교였다, 나치는 마르틴 루터를 보고 교황의 속박에서 독일을 해방시킨 영웅으로 선전하기도 했으며, 쾨니히스베르크에서 고위 나치당원인 에리히 코크는 아돌프 히틀러와 마르틴 루터를 비교하면서, 나치가 루터의 정신으로 싸운다고 연설하기도 했다. 가톨릭 교회는 나치가 독일 정권을 장악하기 시작하자 비판해왔다. 이를테면 1931년엔 나치의 지도자층을 단체로 파문시키기도 했다. 그런데 이들의 3분의 2가 개신교 신자들이었다. 그러나 개교회주의가 만연한 개신교 특성상 모든 독일 개신교 전체가 히틀러를 옹호한 건 결코 아니었고 개신교계 상당수 교파들은 오히려 나치 독일에 의해 탄압 받았다. 세기의 개신교 목회자 디트리히 본회퍼 같은 목사도 '미친 운전자가 행인들을 치고 질주할 때, 목사는 사상자의 장례를 돌보는 것보다는 핸들을 뺏어야 한다.'며 아돌프 히틀러의 암살 작전에 동참했고 종전 한달 전에 나치에 의해 처형당한다.[26] Norman H. Baynes, ed., The Speeches of Adolf Hitler, April 1922-August 1939. Vol. 1.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42. 아돌프 히틀러가 헌신적인 신자라고 말한 기사들은 다음 2개다. John Toland, Adolf Hitler. New York: Anchor Publishing, 1992, p. 507 / Michael, Robert (2008). A history of Catholic antisemitism. New York: Macmillan, p. 111[27] 유대계 미국인 번역가. 1907~1992[28] "뭔 소리유?"를 다소 바꾼 필명인 듯한데 역자 정보가 불분명하다.[29] 연설 말미에 "주여 우리를 자유롭게 하소서!"라는 문구로 끝낸다.[30] 학창 시절 반가톨릭적 글을 발표했는데 이 때문에 장학금을 박탈당할 뻔해서 본인과 아버지 등 주변 인물들이 사정 사정한 끝에 박탈당하지 않을 수 있었다. 괴벨스 집안이 상당히 가난했고 본인 또한 장학금에 의존해 공부를 이어나가던 환경이었던 걸 감안하면 상당히 근시안적인 행동이었다고 평하지 않을 수 없다.[31] Speer, Albert. <Inside the Third Reich: Memoirs>. New York: Simon & Schuster, 1997[32] 지금의 이슬람 근본주의에 물든 시각으로 보면 이상하다 생각하겠지만 이는 당시의 시대상 또한 감안해야한다. 제 1차 세계대전때만 해도 이슬람 국가였던 오스만 제국은 상당한 기술과 윤리관을 가진 하나의 열강이였다.[33] 1차 투표 11,339,446 (30.1%) 득표[34] 제24선거구[35] 히틀러 내각 출범[36] 1945.04.30 사망으로 궐위[37] 2차 대전 당시 개봉한 루니 툰의 한 선전 애니메이션 에피소드(Scrap Happy Daffy 편)에서도 대피 덕이 군수품 제조에 필요한 고철을 모으던 고철장을 순찰하면서 부르던 노래에서 히틀러의 본래 성씨 시클그루버를 언급한 장면이 있었다.[38] 해당 밴드는 경직되고 부패한 소련 체제를 나치 정권에 비유한 노래를 발표했는데 가장 대표적인 노래 중 하나다. 저 노래 자체도 나치를 "인류가 원숭이에서 여기까지 진화하기까지 참 오래도 걸렸는데 원숭이로 전락하는 건 한 순간이구나!"라며 격렬하게 까는 노래다. 더 자세한 사항은 예고르 레토프 항목 참조.[39] 이걸 여기에 굳이 언급하는 이유는, 구글이나 얀덱스 등지에서 "시클그루버에 관한 노래"(Песня о Шикльгрубер) 등을 검색하면 높은 빈도로 이 노래가 검색되어 이 노래가 실제 독소전쟁 당시 러시아인들이 부른 노래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밴드는 1980년대 말 소련에서 프로젝트성으로 결성된 밴드다. 물론 사고를 좀 치긴 했다[40] 흔히 'ㅎ'으로 전사되는 글자는 Х로 이 글자의 발음은 [x\]이다. 한국어에서는 '흐르다'의 'ㅎ' 등 특정 환경에서 [h\]의 변이음으로 등장한다.[41] 이건 슬라브 계열의 많은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우크라이나어의 경우 아예 Г을 [g\]가 아닌 [ɣ\]-[ɦ\]으로 발음하고, 체코어의 경우 타 슬라브어의 [g\]가 [ɣ\]를 거쳐 15세기 전후 [ɦ\]으로 바뀌었다. (러시아어 Книга - 체코어 Kniha) [ɦ\] 발음은 우리가 흔히 하는 한국어의 ㅎ 발음이 유성음화된 발음으로 한국어에서는 '은행'의 'ㅎ' 등 특정 환경에서 [h\]의 변이음으로 등장한다.[42] 물론 현재는 어지간해서는 Х로 전사하는 관행이 자리잡긴 했는데, 여전히 독일계 고유명사의 경우 Г를 고집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여담으로, 이 문제로 인해 "헤르만 괴링"(Hermann Göring)은 러시아에서 "게르만 게린그'(Герман Геринг)가 되어버렸다.[43] 국내에서 늦게 나와서 그렇지 원저는 1976년 미국에서 나온 책이다.[44] "Your socialism is Marxism pure and simple. You see, the great mass of workers only wants bread and circuses. Ideas are not accessible to them and we cannot hope to win them over. We attach ourselves to the fringe, the race of lords, which did not grow through a miserabilist doctrine and knows by the virtue of its own character that it is called to rule, and rule without weakness over the masses of beings."(당신들의 사회주의는 순수하고 단순한 마르크스주의이다. 알다시피, 대다수의 노동자들은 빵과 서커스만을 원한다. 그들에게 아이디어는 접근할 수 없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는 그들을 설득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비참한 교리를 통해 성장하지 않았고 자신의 성격으로 인해 통치하고 약함없이 수많은 존재를 통치하도록 부름을 받았다는 것을 알고있는 영주 종족 인 변방에 우리 자신을 붙인다.)[45] 한국에서는 뜬금없이 웹툰 선천적 얼간이들로 재조명되었다. 선천적 얼간이들/줄거리 19화 참고.[46] 이어 히틀러는 파울루스가 개인은 어떻게든 죽는데 눈물의 골짜기에 빠져 고통으로부터 군인들이 해방될 수 있는 기회를 저버렸다고 맹비난한다.[47]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이라는 공식 당명에서도 드러나듯, 나치즘이든 파시즘이든 본격적인 전시 동원 체제에 접어들기 전까지는 좌파 사회주의적인 면모도 있었다. 애초에 파시즘과 공산주의는 모두 부르주아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 속에서 탄생했으며, 노동계급의 연대를 강조하고 과학적 합리주의를 중시하며 체제를 위한 절대적인 희생을 미덕으로 삼는 등 많은 공통점이 있었다. 단지 방법론적으로 한쪽은 민족주의와 국가주의를, 반대쪽은 그와 대비되는 국제주의를 채택했을 뿐이었는데, 결과적으로 보면 그 차이가 제1세계 민주국가나 제3세계의 관점에서 공산주의를 파시즘보다 훨씬 매력적으로 보이게끔 함으로써 수명을 50년 가량 더 연장시켜줬다. 다만 나치가 조작질을 많이 해서 잘 안 알려진 사실이지만 히틀러는 자기가 나중에 학살한 공산주의자들이나 유대인들과도 친하게 지낸 적이 있었고 나치 내부의 좌파도 장검의 밤 때 학살해서 없애버렸다.[48] 타 국가에서의 외교에 대해서 결코 패배하는 일이 없이 승리하는 일만이 있어야 하고 이것이 안 된다면 그것은 운이 나쁜 것이 아닌 직무유기로 봐야 한다는 것. 그러니까 타 국가와의 외교관계에서 을의 입장에 놓이는 것은 절대 있어선 안되고, 영웅적이고 도덕적인 행위보다는 국가의 부흥을 위한 갑의 방향을 향하는 것이 절대선이라는 것이다. 말 자체만 놓고 보면 정치현실주의의 핵심을 찌르는 명언으로 전혀 흠잡을 곳이 없지만, 정작 히틀러는 정반대로 (나치의 관점에서) 영웅적인 몰락을 거쳐 국가의 실질적인 멸망으로 향했다는 것이 문제이다. 사실 1930년대 시점에서 바이마르 공화국의 실질적인 생존이 위협받는다고 보기도 어려웠으며, 정말 생존이 위협받는 수준이면 딱 필요한 예방전쟁을 하면 했지 타국에 쳐들어가서 땅따먹기를 할 여력도 없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 시절의 독일 제국이나 현대 이스라엘처럼 정말로 국가의 실질적인 생존을 위해 싸우고 있는 국가들이 보면 코웃음칠 소리. 자국의 역량을 과대평가해 파멸을 자초한 것도 잘못이지만, 애초에 '영웅적인 몰락'을 각오하고 '실질적인 생존'을 위해 투쟁할 만한 상황도 아니었으니 엉뚱한 피해 망상에 쫓겨 세계에 민폐를 끼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