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21:17:58

임실역

폐역 임실 - [ruby(오류, ruby=1931~'04)] - 봉천
임실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마자 Imsil
한자 任實
간체자 任实
가나 [ruby(任実, ruby=イムシル)]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춘향로 2932 (두곡리)
관리역 등급
보통역
(전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전북본부)
운영 기관
전라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라선 1931년 10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90년 3월 15일
S-train 2023년 3월 1일 }}}}}}}}}
철도거리표
전라선
임 실
파일:임실역사.png
<colbgcolor=#c30e2f><colcolor=#fff> 3대 역사 (1994년 준공)[2]
파일:imsil.jpg
2대 역사 (1957년 준공, 1994년 철거)

1. 개요2. 역 정보
2.1. 특징2.2. 역사2.3. 시간표
3. 승강장4. 일평균 이용객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임실역2023.jpg
파일:임실역 스탬프.jpg
임실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임실군 치즈 마스코트인 피치를 형상화하였다.
1931년 영업개시, 한국전쟁 때 소실되기도
임실역은 전라선 철도가 개통되었던 1931년 10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이후 임시역사를 거쳐 1957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는데 당시의 역사는 70.3㎡ 부대건물을 갖춘 116.6㎡ 규모의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여객 승강장뿐만 아니라 화물홈과 하치장,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다. 현재의 역사는 동글동글한 인상을 주는 모습으로, 1994년 전라선을 이설하며 현 위치에 신축, 이전한 것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전라선의 철도역.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춘향로 2932 (舊 두곡리 27번지) 소재.

임실 자체가 의외의 고유어 지명이기 때문에 임실역 역시 고유어 역명에 해당하며 하루에 무궁화호가 상하행 각 10회씩, ITX-새마을이 상행 1회,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상하행 각 1회씩 정차 중이다.

2. 역 정보

2.1. 특징

2.2. 역사

2.3. 시간표

임실역 열차시간표 (2024년 5월 1일 기준)
상행 (서울, 용산, 서대전, 익산 방면)
열차종류 열차번호 도착시간 출발시간 종착역 비고
무궁화호 #1542 00:02 00:03 익산
무궁화호 #1502 07:54 07:59 용산 [4]
무궁화호 #1532 09:08 09:09 익산
무궁화호 #1534 10:17 10:18 익산
무궁화호 #1536 13:37 13:38 익산
무궁화호 #1504 14:44 14:45 용산
ITX-새마을 #1084 15:26 15:27 용산
무궁화호 #1538 16:14 16:15 익산
무궁화호 #1540 18:07 18:08 익산
S-train #2522 18:43 18:44 서울 [목~월운행]
무궁화호 #1506 19:39 19:40 용산
무궁화호 #1508 20:46 20:47 용산
하행 (남원, 순천, 여수EXPO 방면)
열차종류 열차번호 도착시간 출발시간 종착역 비고
무궁화호 #1531 07:18 07:19 여수EXPO
무궁화호 #1533 08:09 08:10 여수EXPO
무궁화호 #1501 09:35 09:41 여수EXPO [6]
S-train #2521 11:36 11:37 여수EXPO [목~월운행]
무궁화호 #1503 13:46 13:47 여수EXPO
무궁화호 #1535 16:16 16:17 여수EXPO
무궁화호 #1505 18:55 18:56 여수EXPO
무궁화호 #1537 19:31 19:36 여수EXPO [8]
무궁화호 #1539 21:02 21:07 여수EXPO [9]
무궁화호 #1541 21:49 21:50 여수EXPO
무궁화호 #1507 23:02 23:03 여수EXPO

3. 승강장

전주
1 2
오수
1 전라선 파일:ITX-새마을 BI.svg·[[무궁화호|
무궁화호
]]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
]]
익산·서대전·용산 방면
2 남원·순천·여수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
2004년 133명
2005년 130명
2006년 138명
2007년 143명
2008년 169명
2009년 151명
2010년 159명
2011년 175명
2012년 153명
2013년 161명
2014년 179명
2015년 172명
2016년 198명
2017년 198명
2018년 196명
2019년 216명
2020년 141명
2021년 146명
2022년 71명 206명 277명 [10]
출처
철도통계연보

5. 둘러보기

전라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폐역
}}}}}}}}}



[1] 용산행 열차만 정차한다.[2] 2023년 기준 상당히 노후화된 네온사인 역명판은 전면 기준, 교체되지 않은 채 30년 가까이 사용되고 있었다. 노후화도 되고, 특유의 디자인 때문에 개화기 스타일이어서 촌스럽다는 의견이 꽤 많다. 2024년 2월 이후 기준, 청색 사각형에 흰색 글씨로 되어있는 일반적인 역명판으로 교체되었다.[3] #1084열차[4] SRT 682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5분간 정차한다.[목~월운행] [6] KTX_산천 4051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6분간 정차한다.[목~월운행] [8] KTX-산천 517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5분간 정차한다.[9] SRT 683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해 5분간 정차한다.[10] ITX-새마을의 자료는 10월 7일부터 임시열차 운행 마지막일인 10월 10일까지 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