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2:15:58

전라선/역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라선
1. 본선2. 지선3. 폐역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1. 본선

※ 관할 지역본부
¶ 전북본부: 익산 ↔ 금지
¶ 전남본부: 곡성 ↔ 여수엑스포
일반열차 정차역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k)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r)
ITX-새마을 필수정차 (I) ITX-새마을 선택정차 (i) ITX-마음 필수정차 (X) ITX-마음 선택정차 (x)
무궁화호 필수정차 (M) 무궁화호 선택정차 (m) S-train 정차 (T) 화물취급역 (F)
<rowcolor=#ffffff> ㎞ 역명 운행계통 등급 환승 노선 소재지
호남고속선과 직결 (공주 방면) 호남선과 직결 (논산 방면)
0.0 익산 益山 KRIXMT 장항선 익산시 전북특별자치도
2.8 익산삼각선을 통해 장항선과 연결 (목천 방면)
동익산 東益山 F
13.6 삼례 參禮 iM 완주군
17.6 동산 東山 F 전주시
(덕진구)
북전주선 분기 (북전주 방면)
25.5 전주 全州 KRIXMT
34.9 신리 新里 완주군
40.0 죽림온천 竹林溫泉
49.0 관촌 館村 F 임실군
53.0 임실 任實 iMT
59.3 봉천 鳳泉
63.6 오수 獒樹 iM
69.5 서도 書道 남원시
75.9 산성 山城
79.5 남원 南原 KRIXMT
85.3 주생 周生
88.3 옹정 甕井
91.4 금지 金池
97.1 곡성 谷城 kRIxMT 곡성군 전라남도
108.6 압록 鴨綠
117.4 구례구 求禮口 kRIxMT 순천시
121.0 봉덕 鳳德
126.2 괴목 槐木
134.4 개운 開雲
137.6 동운 東雲
145.6경전선 분기 (벌교 방면)
순천 順天 KRIXMT
경전선 분기 (광양 방면)
150.8전경삼각선을 통해 경전선과 연결 (광양 방면)
성산 星山
157.0 율촌 栗村 여수시
165.6 덕양 德陽
여천선 분기 (흥국사 방면)
170.9 여천 麗川 kRIXMT
180.4 여수엑스포 麗水엑스포 KRIXMT

2. 지선

3. 폐역

<rowcolor=#ffffff> 이전역 역명 다음역 폐역일 폐역 사유 비고
동익산 춘포 春浦 삼례 2011년 5월 14일 선로 이설 [2]
동산 덕진 德津 전주 1981년 5월 26일 송천역으로 대체
송천 松川 2011년 5월 14일 선로 이설 [3]
전주 아중 牙中 신리 2011년 5월 14일 수요 감소 [4]
임실 오류 五柳 봉천 2004년 8월 6일 선로 이설 [5]
남원 상동 上洞 주생 1977년 3월 1일 수요 감소
곡성 침곡 寢谷 압록 1945년 8월 15일 8.15 광복 [6]
동운 동순천 東順天 순천 2006년 6월 24일 수요 감소
율촌 신풍 新豊 덕양 2011년 5월 14일 선로 이설 [7]
여천 미평 美坪 만성 2011년 5월 14일 선로 이설
미평 만성 萬聖 여수 2011년 4월 5일 선로 이설 [8]
여수 여수항 麗水港 종점 1943년 12월 2일 여관연락선 폐지 [9]


[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975호[2] 현재 전라선은 춘포역 부근을 고가로 통과한다.[3] 현재는 전라선이 전주 시내를 반지하로 통과하여 선로 위로 도로(과학로)가 지나간다.[4] 현재는 이 역을 기점으로 레일바이크가 영업 중이다.[5] 현재 전라선은 임실~봉천 구간을 지하 및 터널로 통과한다.[6] 일제가 산림자원 수송을 위해 만든 역이었기 때문에 광복과 동시에 폐역되었다. 현재는 섬진강 기차마을 관광철도가 운행중이다.[7] 서울 7호선 신풍역과 한자까지 똑같다.[8] 현재는 이 역 인근에서 여수해양 레일바이크가 영업 중이다.[9] 경부선부산잔교역과 마찬가지로 여수~시모노세키 간 여관연락선과의 연계를 위한 역이었으며, 현재는 소노캄 호텔이 이 위치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