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09:01:20

한국 갑옷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과학기지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대한민국 국군 ·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주한미군 · 해외 주둔 한국군
본부국방부 · 합동참모본부 · 육군본부 · 해군본부 · 공군본부 · 해병대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기타국군 의전서열 · 병역의무 · 국방개혁 · 핵무장 · 모병제 찬반론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행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무역
지표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 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한국의 교육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종교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


1. 개요2. 청동기 시대3. 철기시대4. 삼국시대 갑옷5. 통일 신라시대6. 고려시대
6.1. 몽골 침략 전
6.1.1. 일본 측의 묘사6.1.2. 고려시대 예술 속의 묘사6.1.3. 고려도경 속 묘사6.1.4. 기타
6.2. 몽골 침략 후
6.2.1. 갑옷 양식6.2.2. 투구
7. 조선시대 갑옷8. 매체에서의 묘사

1. 개요

한국에서 사용된 갑옷을 총칭한다.

한국에서 출토된 갑옷은 대부분 찰갑이나 판갑 같은 금속제 갑옷이다. 목갑(나무)과 골갑() 그리고 피갑(가죽) 등의 경우 사막과 같이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 이상 썩기 쉽다. 거기다 한국의 산성토양 문제로 인해 출토된 예가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목갑, 가죽갑옷 등은 대체로 중국 또는 일본과 비슷한 양상을 띠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삼국시대의 갑옷이 처음 알려진 것은 고구려 벽화를 통해서였으며, 고분 발굴로 한국 갑옷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연구 초창기에는 한반도에서 출토된 예가 적었고, 한반도의 갑옷 양식이 일본에서 만든 갑옷과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일본 갑옷이 한반도로 수입되었다는 견해가 일본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다.

그러나 점차 국내에서 발굴되는 갑옷의 양이 많아지면서, 그런 견해에 대해 거꾸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갑옷 제작 기술이 전래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되었고, 그것은 2010년대에 들어서 일반적으로 고고학계의 통설로 받아들여졌다.

판갑(단갑)의 경우 시대별 발전 양상을 보여주는 유물이 일본에서 더 많이 발굴되는 관계로 일본 학계에서는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현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한국 학계에서는 제철기술의 전파 경로를 들어 이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고대 일본에서는 철의 수입을 전적으로 백제가야에 의존하고 있었다. 고구려(북방)계 찰갑(괘갑)의 경우 모든 학계에서 확실하게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한반도 남부에서는 종장판이나 횡장판갑 등의 판갑(단갑)이, 고구려 등 북방 지역에서는 찰갑(괘갑)이 주류를 이루었고, 고구려의 남하 이후 판갑이 찰갑으로 완전히 대체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는 게 일반적인 의견이었다.

그러다가 2000년대 이후 신라, 가야 영역의 3세기~4세기 초 유적들에서 수결법이 적용된 찰갑 유물들이 여럿 출토되면서 인식이 바뀐다.

고구려군의 신라 파견 이전부터 찰갑이 판갑과 함께 널리 쓰이다가 고구려의 신라구원군 파견 이후 종장판갑은 잘 쓰이지 않게 된다. 고구려군의 영향을 받은 4~6세기형 찰갑이 중장기병전술과 함께 널리 쓰이게 되었다고 보인다. 이 찰갑은 보통 괘갑, 동환식찰갑으로 알려져 있는 허리부분이 잘록하게 들어가고, 요찰과 목부분을 강조하는 경갑 등 부위별로 다양한 부속갑이 특징인 찰갑양식이다.

수결법으로 상하 갑찰을 연결하는 형식의 갑옷들은은 6~7세기를 지나며 부속갑과 갑찰이 간소화된 구조로 변경되어 조선시대까지 사용된다. 고려시대 이후로는 찰갑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갑편을 의복에 고정하는 의-두정형 갑옷을 입게 되었으며, 이는 한국 갑옷의 특징으로 자리잡게 된다.

2. 청동기 시대

가장 오래된 만주-한반도 지역 갑옷은 청동기 시대인 청동기시대 문화층이며, 이 층의 연대는 약 기원전 10세기 전후(기원전 2000년기 후반에서 1000년기 전반)에 드는 것으로 보인다. 함경북도 무산 호곡유적에서 출토된 뼈찰갑편이 이 시대의 유물에 속한다. 청동기 시대인 2기층 40호 집자리에서 발견되었는데, 부서진 흔적이 있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2003년 길림성 쌍요(솽랴오)시의 후태평 유적에서도 뼈찰갑편이 발굴되기도 한다.#

이 갑옷편들은 시베리아 청동기 시대 문화인 세이마-뚜르비노(seyma-turbine) 문화의 찰갑편들과 유사하며, 또한 오늘날에도 제작법이 전해지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원주민들(축치인, 틀링깃 등)의 갑옷과도 매우 유사하여 복원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해당 갑옷양식에서 중요한 점은, 이 갑옷 양식에 쓰인 혁철법이 후대 판갑들과의 일종의 연결고리가 된다는 것이다. 즉, 한반도~일본열도 판갑들의 조상에 해당하는 양식이 아닌가 싶다. 또한, 이 갑옷양식은 초기철기에도 그대로 이어져 철제나 혁제로 만들어 지기도 한다.

투구로는 기원전 8~7세기로 추정되는 만주 오금당 돌곽무덤에서 출토된 투구편 일부가 있는데, 비록 1/4 정도밖에 남아있지 않지만, 남은 조각의 모습이 몽골연나라 지역에서 발견된 투구와 유사한 점을 감안하였을 때 북방지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기타 부속갑으로는 기원전 1000년 전반기에 해당하는 함경남도 북청군 토성리 유적에서 출토된 청통토시가 있다(비갑으로 추정됨).#

3. 철기시대

한나라고조선 간의 교역, 혹은 한사군 설치 이후 유입된 한나라 계통의 갑옷이 발굴되기도 했다. 기원전 2~기윈전 1세기 낙랑무덤인 평양 정백동 219호에서는 가죽찰갑편이, 평양 정백동 1호 무덤에서는 현존 국내유물 중 최고로 오래된 철제 찰갑편이 발굴되었다.(출처: 북한문화재 자료관.)

기원전후의 갑주 유물로는, 부여의 유적으로 추정되는 길림성 유수노하심 유적의 M56, M67, M97 무덤에서 출토된 종장판주 3점과 한나라계찰갑으로 추정되는 찰갑이 있고, 한성백제로 추정되는 인천공항 옆 운북동 레져단지 건설 도중에 발굴된 운북동 유적에서 출토된 찰갑편이 있다.#

한편 한성백제 유적인 경기도 가평 대성리 유적인 40호 집자리, 44호, 46호, 49호 수혈주거지에서는 한나라계 찰갑으로 추정되는 찰갑편이 출토되었다.(출처: 군사연구 131권 수록 논문 "百濟甲胄의 形成과 그 背景(백제갑주의 형성과 그 배경)/이현주/ 부산임시수도박물관장.)

다호리유적에서 2호분에서 발굴된 옻칠한 가죽찰갑편으로 추정되는 유물이 있다. 온전한1점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우그러져 형태를 알아볼 수 없다. 갑편의 네 모서리에만 투공된 장방형 갑찰인데, 비슷한 유물이 평지 알타이지역에서 발굴됐다.

3세기로 추정되는 대구 달성토성 성벽에서 목제 갑편이 출토되었는데, 비슷한 구조의 골제 갑편이 시베리아 여러 지역의 초기철기 시대 유적들에서출토되는데, 노보시비르스크에 있는 볼쉐레첸스카야 문화(러시아어 Большереченская культура, 영어 Bolsherechensky Culture.), 톰스크-나르임 근처 옵강유역에 위치한 꿀라이스카야 문화의 우스띠보읜유적, 아무르강 유역 뽈체유적에서도 출토됐다. 이 갑옷은 매우 짧은 시기 쓰인 양식으로, 직물이나 가죽 바탕에 갑찰을 부착한 스케일아머이나, 다른 스케일아머들과 다르게 상하 중첩이 외중식, 즉 아래쪽 갑찰이 앞으로 나오는 상하중첩방식으로 추정된다.

3세기로 추정되는 한성백제 시기 유적인 하남시 미사리유적 주거지에서 출토된 찰갑편들은 갑편의 투공 배치가 무산 호곡유적 출토품과 동일하여, 청동기시대 골제찰갑들이 철제화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식 유물들이 기원전후 아무르강~연해주 북부 뽈체 문화의 유적들에서도 출토 된다. 물론, 같은 양식 골제 찰갑도 계속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4세기 이후 폭발적으로 많은 철제 갑주유물이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고분 부장품과 함께 부장되기 시작했다.

4. 삼국시대 갑옷

자세한 내용은 삼국시대 갑옷 문서 참고

5. 통일 신라시대

파일:통일신라투구1.jpg
동궁과 월지에서 발견된 신라 투구
파일:통일신라갑옷1.jpg파일:통일신라갑옷2.jpg
김유신 장군의 생가에서 발견된 미늘갑찰 (左 - 앞면 / 右 - 뒷면)
통일신라의 경우 무덤 양식이 도굴에 약한 굴식 돌방무덤으로 변하고 불교의 확산으로 부장품 자체도 줄어든데다 삼국시대만큼 전쟁이 자주 벌어지지 않는 비교적 평화로운 시대였으므로 이전 시대인 삼국시대에 비해서도 출토된 갑주 실물 유물이 부족하다. 무덤 묘제나 부장품 축소는 후술할 고려시대도 마찬가지라 상황이 비슷하다.

6. 고려시대

6.1. 몽골 침략 전

파일:고려전기_갑옷.png
작가 우용곡이 그린 고려전기 갑옷출처
앞 시대인 삼국시대-통일신라, 뒷 시대인 조선시대와 달리 실존하는 이 시대 갑주 유물이 유달리 거의 없어 갑옷이 정확히 어떻게 생겼는지 유물로 고증하기가 매우 어려운 시대이다. 다만 몇 안 남은 기록이나 유물 등을 종합해보면, 고려 고유의 포형 찰갑송나라식 투구와 장신구를 갖췄을 가능성이 높다.

기록은 고려도경 등을 통해 추정만 가능하며, 유물의 경우, 주변 동아시아 국가들(유목민 왕조, 중원왕조)과 유사하다.

고려의 궁궐이었던 개성시 만월대 유적, 평안북도 동창군 학성리 병실터(11세기 추정), 익산 미륵사지 유적 등에서 출토된 찰갑 유물이 몇점 있다. 다만, 시기 구별은 잘 안되기는 하지만 7~20세기 찰갑들은 구조가 거의 동일한 경우가 많아 구분이 어려워 주변 유물들을 통해 비교해 봐야 알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파일:고려찰갑1.jpg
파일:고려찰갑2.jpg
평안북도 동창군 학성리 병실터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마름쇠 찰갑. 전체적으로 아래 사진에 나오는 다른 시대의 유물과 비슷한 점이 많다. 비록 같은 시대는 아니지만 투공 형태 자체만 놓고 보면 위 사진에 나오는 조선시대의 유성룡의 찰갑, 동래읍성 출토 찰갑, 창녕화왕산성 연지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찰갑과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는데 투공방식으로 보아 연결방식도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파일:b0058018_4f3ccc081f1ae.jpg
투구 유물은 평안북도 구성시(그 유명한 귀주성이 있다)에서 출토된 원주투구 유물이 전해지나, 어느시기 유물인지 알 수 없다.

6.1.1. 일본 측의 묘사

파일:몽고습래회사1.png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 때의 모습을 일본 측에서 기록한 삽화인 몽고습래회사. 당시 몽골군과 고려군의 복식이 묘사되어있으며 검정 군화를 신은 세 병사를 고려군으로 보고 있다. 역사스페셜에 의하면 이 사진에서 투구에 깃털이 북슬북슬하게 난 날개(?) 같은 게 달려 있는 게 고려군이라고 한다.

고려군의 투구는 전형적인 송나라의 양식에서 영향을 받은, 양쪽 관자놀이 부분에 봉시식(투구 드림으로 보는 의견도 있다.)이 달린 모습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저 문제의 군인 3명을 두고 고려군이 아니라 남송의 원병 아닌가 하는 주장도 있었다. 하지만 1차 원정 당시 한족 군대는 주력이 아니었다는 점[2], 타국군과 함께 전투를 벌일 경우 몽골군은 타국 군대를 최전선에 앞세우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고려군이 선두에 섰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개심사지 5층석탑에 새겨진 팔부중상과 몽고습래회사 속 고려군으로 추측되는 병사들의 모습이 유사하다는 점 등 고려군일 가능성을 높여주는 근거들이 꽤 있다.

단 몽고습래회사는 이걸 그린 화가가 직접 몽골군과 고려군을 본 적이 있는지가 불분명하며, 주로 고려군이라고 하는 군인 세 명이 그려져 있는 부분이 그림 속 다른 부분들보다 유독 선명하여 후세에 가필한 것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는 등 정확성에 의문이 많이 가는 유물이라 이걸 곧이곧대로 믿기는 어렵다. 즉 몽고습래회사 역시 고려군 복식을 고증하는 데에 있어서 한계가 있지만 일단 고려군을 묘사한 회화가 너무 희귀한데다, 얼마나 정확하게 그렸는가와는 별개로 문제의 그 군인 3명이 한반도 왕조의 복식과 유사하거나 고려 관련 기록과 일치하는 묘사가 있어서[3][4] 현재로서는 고려군을 고증하는 데에 있어서 참고할 수밖에 없는 유물인 건 사실이다.

6.1.2. 고려시대 예술 속의 묘사

파일:external/pds4.egloos.com/c0036507_46ce864140ed9.jpg
파일:개심사지석탑부조.jpg
파일:개심사지석탑부조2.jpg
파일:external/ecache.ilbe.com/1a014ac08a73bab61580b969a9b26cf3.jpg
고려시대의 불경대방광불화엄경에는 갑옷을 입은 사람들이 나오는데, 고려 갑옷보다는 오히려 송나라 갑옷에 가깝다.[5] 개심사지 5층석탑에 남아있는 암각화. 국조오례의를 바탕으로 그린 조선시대의 찰갑.
첫 번째, 두 번째 그림의 고려시대 갑옷과 세번째의 조선시대 갑옷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의 투구와 비슷한 봉시식이 달린 투구를 쓰는 경우가 많지만 여말선초부터는 송나라 양식이 더 이상 보이지 않으며, 조선시대에는 몽골의 투구인 몽고발주와 첨주형 투구가 주로 쓰인다.[6]

  2. 고려시대에는 호항이 보이지 않는다. 대신 스카프같은 견건(肩巾)을 목에 둘러 앞에서 묶고 있는데, 조선시대엔 견건을 맨 기록이 없고 호항을 목에 두르고 있다. 호항을 착용하고 있으나 견건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것 아닌가 하는 의견도 많았는데, 동시대 주변국의 갑옷을 살펴보면 그러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시대에 함께 존속했던 주변국들의 갑옷을 살펴보면 호항을 따로 착용하기보다는 투구 드림의 형상 자체가 호항과 합쳐진 형상이 많은데, 한반도 왕조는 전통적으로 동시대의 중국계, 유목민족 국가들의 갑옷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을 감안하면[7] 고려 역시 드림 자체가 목을 보호하는 형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3. 고려시대에는 허리에 포두[8]를 두르고 그 위에 혁대를 두르거나 전대를 묶어서 고정한다. 반면 조선시대에는 포두를 착용한 사례가 거의 없다. 조선 역시 악학궤범에서 묘사한 황화갑 등의 의장용 갑옷에서는 포두를 두르며, 회화나 왕릉 무인석상에서는 포두를 착용한 모습이 많이 포착되기는 하지만 실전에서는 널리 쓰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9]

조선시대와는 달리 고려시대의 경우 포두가 예술작품 속 묘사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기록도 존재한다.
문종(文宗) 32년 -바로 원풍 원년이다- 6월 갑인에 송나라 사신 안도(安燾)와 진목(陳睦) 등이 와서 조서를 반포하고 물품을 하사하였는데, 그 물품은 다음과 같다. 국왕의 옷은 2벌로, 각각 금은엽장칠갑에 담았는데, 1벌당 자화라겹공복이 1벌, 천 색화라한삼 1벌, 홍화라수겹삼첨 1조, 홍화라수겹포두 1조, 홍화라수늑백 1조, 백면릉겹고 1벌이다. 화(靴)는 1켤레로, 홍라수겹보(紅羅繡夾複) 2개에 싸서 홍투배대(紅透背袋)에 담았다. 요대(腰帶)는 2개로, 각각 나수보 1개로 싸서 홍투배대에 담은 다음 금도은갑에 담았는데, 하나는 옥(玉)이 16알이고 누진백희해아두미가 모두 10사로 대모친금반홍정에 박았으며, 하나는 투서가 17알이고 두미가 10사로 대모친금반홍정에 박았다.
『해동역사』[10]
늑백 2개는 무릎까지 다리를 묶는다. 『상례비요(喪禮備要)』에 늑백 2개는 무릎에 이르기까지 다리를 묶는 것이라 했다. 당나라 시(詩)에서는 갈비대를 묶어 빛난다 하였다. 또 송나라 신종이 고려의 문종에게 의복을 사여했는데, 자화라수겹포두 1조, 홍화라수늑백 1조를 겹바지 위에 허리부분에 차례대로 매었다. 포두는 대개 겹으로 재봉하여 만들며 늑백 1조 역시 허리띠 위에 묶는다.
『최와문집』[11]

이 세 가지 정도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조선시대 초중기의 찰갑 양식과 거의 판박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고려시대의 포형 찰갑이 몽골 침략 이후 투구나 일부 장구류가 송나라식에서 몽골식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면 디자인 면에서 큰 차이 없이 계속 이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6.1.3. 고려도경 속 묘사

투구와 갑옷[鎧甲]은 아래위가 붙어 있는데 그 제도는 봉액(逢掖)과 같아서 형상이 궤이(詭異)하다. 금화고모(金花高帽 금꽃으로 꾸민 높은 모자)는 거의 2자[尺](약 60cm)나 되고, 비단옷과 푸른 도포[錦衣靑袍]에 헐렁하게 맨 띠[帶]는 고(袴 바지)에까지 드리우니, 대개 그 나라 사람은 키가 작아서 특별히 높은 모자와 비단옷[錦衣]을 입어 그 모양을 장하게 한 것이다. 이제 그림을 그려서 각각 그 명색(名色)을 뒤에 나열한다.
서긍의 고려도경에 의하면 3만 명에 달하는 고려의 용호중맹군(龍虎中猛軍)(국왕 친위대)이 모두 갑옷을 착용했다고 하며, 이 갑옷은 위 아래가 붙어 있는, 봉액(逢掖) 형태이고, 어깨를 가려주는 부박(覆膊)이 없다고 했고, 또 다른 장군의 갑옷은 철찰(鐵札)을 검은 가죽으로 덮고 각각의 철찰을 명주실로 꿰매어 서로 붙어 있게 하며, 허리에는 오색 꽃무늬 띠를 드리웠다고 한다. 계급이 높아질수록 띠가 많아졌으며 가장 높은 계급은 띠가 10개가 넘었다고 한다.

여기서 봉액(逢掖)은 겨드랑이가 만났다는 뜻인데, 이 한자가 봉액(縫掖)(겨드랑이를 꿰맸다는 뜻)이나 이 단어(縫腋)[12]를 잘못 쓴 것이라면 고려 시대의 포형 갑옷도 조선 시대의 갑옷과 마찬가지로 옆트임이 나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의 포형갑옷과 똑같은 방식으로 추정된다. 즉, 고려 시대의 갑옷 상의는 조선시대의 것과 거의 똑같은, 중앙에서 여미며 옆트임이 난 포형 갑옷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투구는 착장 시에 등 뒤로 걸쳤다는 묘사가 나온다. 갑옷의 등 부분이나 어깨에 고정하는 부분이 있었을 것이다. 현대 방탄모보다도 무게가 많이 나가는 투구를 목에 걸면 당연히 목이 졸린다. 그리고 머리에 두건을 쓴 차림이었다고 하는데 시대적 배경으로 보건대 문라건이나 '호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항목 참고.

이 구절 때문에 고려군이 투구를 쓰지 않고 싸웠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 서긍은 전투 중인 고려군을 만난 것이 아니라 사신을 맞이하기 위해 중앙군이 줄지어 사열한 모습을 본 것이다. 즉 현대 기준으로 보자면 의장대를 만난 것과 같기 때문에 서긍이 본 고려군이 투구를 쓰지 않았다고 해서 싸우러 나간 고려군이 투구를 쓰지 않았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고려도경 원문

6.1.4. 기타

당연한 얘기지만 사극 같은 데선 고증을 아주 대놓고 무시한다. 애초에 삼국시대나 조선시대와는 달리 유물도 존재하지 않으니... 무장을 자체 마련했을 지방군이라면 삼국시대 종장판주를 쓰고 나와도 고증이 틀렸다고 할 수가 없는 시대다.
파일:귀주대첩.jpg
파일:동선역전투.jpg
귀주 대첩 일러스트 동선역 전투 일러스트
그나마 조선전쟁 생중계로 유명한 산그림 작가가 가장 잘 고증했다. 사격전을 치르는 궁병들이 투구 대신 머리에 문라건을 쓰고 있거나[13] 여말선초와 흡사한 양식의 포형 찰갑, 목에 두르는 견건, 병사들의 경우 고려도경에 나온 묘사대로 어깨갑옷이 없는 점 등 그나마 가장 기록에 맞게 고증된 편이다.

개차반 수준의 사극 고증과 오스프리의 치명적인 삽화 오류 때문인지 토탈워 센터에선 도대체 고려 갑옷은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토론이 벌어지기도 했다 여기서도 위 산그림 작가의 그림이 가장 정확한 듯하다는 평, 송나라 갑옷과 상당히 흡사하단 평 등 어째 한국의 사극 작가들보다 더 정확하게 아는 것 같다.

최근 들어서는 산그림 작가 외에도 만화가, 일러스트레이터 중 역사, 한복 매니아들을 주축으로 고려시대 갑옷을 그림으로 재현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참고1
참고2
참고3

6.2. 몽골 침략 후

원나라의 침략 이후로 사회가 원나라의 문화를 급속하게 받아 들이면서 이를 따라 갑주도 비슷하게 변한다. 사실상 고려 후기의 갑주와 조선시대의 두정갑과 그 투구는 원나라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원나라

찰갑은 7세기~20세기 내내 큰 변화가 없었다. 즉 삼국시대 말에 3~6세기 찰갑(동환식찰갑)에 비해 간소화 된 이후는 조선시대까지 큰 차이점이 없다. 이는 찰갑이라는 갑옷의 제작 기법상 어쩔 수 없는 문제로, 중국이나 유목민족들 역시 고중세의 찰갑과 근세의 찰갑을 비교해보면 재질이나 수결법 등이 달라지기는 하나 전체적인 구조의 큰 틀은 별 변화가 없다.

관련 유물로는 제주도 항파두리 유적에서 출토된 찰갑편이 있으나, 아직 정확한 보고서가 나오지 않아 정확한 구조를 알 수는 없다.

6.2.1. 갑옷 양식

고려 시대의 주된 갑주 양식은 이전 시대와 마찬가지로 찰갑경번갑 그리고 쇄자갑이다. 경번갑은 쇠사슬과 철판을 이어 만든 갑옷이며, 쇄자갑은 서양의 체인메일처럼 쇠사슬을 이어 만든 갑옷이다. 경번갑과 쇄자갑은 여말선초에는 확실히 유물이 출토되나 그 이전에는 사용 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없는데, 고구려의 기록에서도 쇄자갑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고려 초중기에도 최소한 쇄자갑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파일:external/www.cha.go.kr/1615477.jpg파일:external/anews.icross.co.kr/2039103817_20100903112148_1000388893.jpg
고려시대 정지 장군의 경번갑 유물(左) 및 복원품(右)
파일:attachment/tearsofdragon.jpg
파일:thumbnails-12.w320.jpg
용의 눈물에서의 경번갑 드라마 정도전에서의 경번갑
파일:EIt070m.jpg
여말선초의 쇄자갑 무장[14]

일본 야스쿠니 신사에 고려시대의 갑옷과 투구라는 설명이 붙어 있는 갑주가 보관되어 있다.[15] 단 신사 측에서 쓴 설명과는 달리 전시된 갑옷과 투구의 양식은 한반도보다는 차라리 원나라나 청나라의 그것과 비슷하다.

6.2.2. 투구

파일:ytJbBkC.jpg
이 투구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중기까지 널리 사용된 첨주형 투구이다. 드라마 용의 눈물불멸의 이순신에서 이영남과 기타 제장들이 쓰고 나온 투구가 바로 이 투구라고 할 수 있다. 첨주형 투구는 긴 철판 4개가 세로 방향으로 둥글게 배열되고 철띠와 쇠못으로 이를 고정하는 식으로 만들어진다. 이외에도 몽고습래회사나 당대 불화 빛 불탑 부조 등에서 보이는 모습을 보면, 초중기에는 봉시식이 달린 송나라식 투구도 썼을 가능성이 높다.

7. 조선시대 갑옷

자세한 내용은 조선시대 갑옷 문서 참고


8. 매체에서의 묘사

한국 사극에서 등장하는 대다수의 갑옷은 고증 수준이 심각하게 나쁘다.[16] 특히 고려 이전 시기를 다루는 사극에서 고증 문제로 가장 많이 까이는 요소 중 하나이다. 조선 갑옷 또한 제대로 고증 안 돼서 포졸복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일본의 밀덕이 운영하는 사이트에서는 일본 갑옷과 함께 직접 한국 고대 갑옷 자료를 조사하여 3D 모델로 고증하고 있는데, 고구려 갑옷 자료 페이지에서 "한류 영화 등에서 나오는 호화로운 갑옷은 확인하지 못했다"(3번 문단 마지막 줄)고 밝히기도 했다. 거기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한국 갑옷을 참고할 수 있는 드라마로 그나마 대조영, 연개소문, 근초고왕을 추천하고 있는데, 주몽 등에 비하면 그나마 양호하지만 이들도 근초고왕을 제외하면 갑옷이 별로 좋은 고증이 아니라는 점에서 갑옷이 제대로 고증된 사극이 적다는 사실만을 반증하는 꼴이 됐다. (참조 포스팅) 다만 갑옷 고증의 경우 일본이 유독 잘 지키는 것에 가깝지, 중국이나 서양만 해도 대부분 안 지키는 경우가 많아서 한국만 유독 고증을 지키지 않는 것은 아니다. 고증은 예전에 비해서 발전하고 있는 분야다. 예산이 문제일 뿐이다.[17][18]

대체로 사극의 의상 고증은 복식학자들이 하는데, 일반적으로 한복 고증에 주로 힘을 쏟기 때문에 갑옷은 소품 제작자에게 만들어달라고 대충 의뢰하거나 다른 작품에서 사용한 것을 돌려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

기본적으로 얼굴이 나와야하는 주연급 인물들에게 투구를 안 씌우는 것은 그렇다고 쳐도 투구는 씌워놓고 급소인 목을 보호하는 드림부분을 묶지 않고 전투하는 것이 너무나도 당연하게 나온다. 간단히 묶기만 하면 되는 문제지만 아예 끈조차도 없으며 이것을 지킨 사극이 전무한 것만 봐도 고증에 대한 무관심을 보여준다.#

여가에 주인공과 주연급 인물은 고증과는 무관한, MMORPG 게임에서나 등장할 법한 화려한 비닐 소재 갑옷을 입는 경우가 태반이다. 점퍼 갑옷에 이글루 투구 해당 짤방에 나오는 태조 왕건은 지금 사극과 비교해보면 비교가 안될 정도로 복장 고증이 뛰어난 편이다. 비록 후대에 들어 만들어진 근초고왕이나 정도전 등에 비하면 갑옷의 세세한 디테일 오류나 재질 같은 부분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당시 예산이나 기술력 문제도 감안할 필요가 있고, 최소한 후술할 주몽이나 태왕사신기처럼 대놓고 고증을 무시하지는 않았다.

한류에 힘입어 주몽이나 태왕사신기 등의 많은 국내 사극이 해외로 수출되고 있다. 예로 든 해당 두 작품은 발고증 판타지 갑옷의 끝판왕, 종결자라고 불리는 작품이다 물론, 둘 다 애당초 제작진이 '퓨전'을 지향한다며 고증이란 걸 염두에 두지 않은 작품이긴 하다. 하지만 퓨전사극임에도 오히려 재미와 고증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전부 잡은 추노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아무리 퓨전사극이라고 고증을 대놓고 무시해도 되느냐" 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이다. 고대사를 아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한국 사극을 보는 외국의 시청자들에게 고대 한반도의 갑옷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불러일으키기 딱 좋은 상황이다. 태왕사신기는 주 수출 타겟이었던 일본 반응이 미적지근했기에 별다른 성과를 보지 못했으나, 주몽은 이란 시청률 85%, 카자흐스탄 시청률 80%에 육박했는데, 이란과 카자흐스탄 시청자들이 고구려 갑옷을 찰갑이 아닌 드라마에 나온 근본없는 판타지 갑옷으로 착각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한국의 시청자들도 포함. 일부러 논문이나 자료사진 등을 찾아보는 사람이 아닌 한 드라마에 나오는 모습을 그대로 고증이라 받아들이는 것은 당연하다.

드라마 한편 나올 때마다 갑옷고증으로 신나게 욕먹는 게 일상다반사가 되다보니 다들 그러려니 했다. 그러다가 결국 방송사 측에서도 이 문제를 느꼈는지 2010년대 들어서 제작되는 사극은 그나마 고증 자료를 슬쩍 엿보기라도 한 듯한 갑옷을 만들기 시작했다. 특히 근초고왕대왕의 꿈은 드라마 본편의 평가와는 별개로 갑옷만은 상당한 수준으로 재현해서 호평을 받기도 했다. 이후 최근으로 오면 올수록 남한산성(영화)고려 거란 전쟁 등 준수한 갑옷 고증을 자랑하는 작품들이 하나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1] #[2] 몽골의 1차 일본 침공 당시 남송 군대가 참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저 군인들이 고려군일 것이라는 이야기가 오랫동안 정설처럼 돌아다녔는데, 고려사 및 고려사절요에서는 몽한군(몽골인+한족 군대) 25,000명과 고려군 8,000명이라고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몽한군 중 한족의 비중이 얼마나 큰지는 알 수 없으나 10만의 한족이 출병했던 2차 원정 때에 비하면 최소한 한족의 비중이 크지 않았다는 점은 확실하다.[3] 서긍의 고려도경에서는 고려군의 갑옷을 두고 어깨갑옷이 없으며 상하의가 붙어있다고 묘사하고 있는데, 몽고습래회사 판본 중에는 이 문제의 군인 3명이 정확히 이 묘사에 부합하는 형태의 찰갑을 입은 판본이 있다. 또한 이들이 입고 있는 옷 역시 두루마기 등 한복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들이 입고 있는 옷에 두정갑의 두정과 유사한 땡땡이 무늬가 있어 저 옷이 두정갑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많았는데 그럴 가능성은 낮다. 애초에 두정갑은 겉이 천일 뿐이지 속에는 철편이 달려 있어서 몽고습래회사 속 묘사처럼 휘날릴 수가 없으며, 소매부터 끝단까지 두루마기와 저 정도로 똑같이 생긴 두정갑은 몽고습래회사 외의 회화나 기록에서 나타난 적이 없고 실제 유물도 발굴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4] 단 몽골 전통 복식 역시 한복과 같은 북방계 양식을 취하고 있기에 유사한 지점이 있고, 어깨갑옷이 없는 갑옷은 고려뿐만 아니라 활쏘기를 중시하는 국가에서는 심심찮게 사용했던 양식이라 이것만으로 고려군이라고 확정지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가능성이 좀 더 올라가는 정도.[5] 불교 예술에 등장하는 갑주는 정말 그 시대의 갑주를 참고하기도 하지만, 대체로 시대와 국가를 막론하고 당송풍의 양식적인 형태로 그리는 경우가 많아 이것만으로 고증을 하기에는 애로사항이 많다.[6] 일본의 원구박물관에서는 '원구'의 투구라며 첨주형 투구를 전시하고 있는데, 만일 이것이 몽골군이 아니라 고려군이 쓰던 것이었다면 고려 역시 최소한 몽골 침입기 즈음부터는 첨주형 투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7] 조선만 봐도 그러한 양상이 보인다. 조선은 전기에는 찰갑, 후기에는 두정갑 위주로 무장하는데 이 역시 동시대 중국 왕조나 여진족이 주로 입은 갑옷의 변화 양상과 일치한다.[8] 중국풍 갑옷에서 흔히 허리띠 안쪽에 둥근 천을 덧대어 고정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포두(抱肚 혹은 袍肚. 전자는 당나라 후기에 포두가 처음 나타났을 때 명칭이고 후자는 송나라 대에 들어서 바뀐 명칭) 라고 한다. 과두(裹肚)라고도 하는데, 과두의 경우 허리 안쪽의 천뿐만 아니라 허리띠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포두는 허리에 찬 무기가 갑옷과 부딪히면서 소음을 내거나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에서 입었는데, 송나라 대에 들어서는 실용적인 목적 못지않게 장식성이 강해진다.[9] 정확히는 조선 전기에는 소수나마 착용한 사례가 있었으나 그 이후에는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왕릉 무인석상들은 정석적으로 포두를 착용하고 있는데, 중기만 가도 천으로 만들어진 포두에 갑옷 문양이 표현되는 등 포두의 실제 구조를 모른 채 기존의 석상을 참고하여 만든 티가 역력하기 때문이다.[10] 조선 후기 실학자 한치윤이 쓴 역사책으로, 송나라 황제로부터 고려 국왕이 사여받은 복식을 언급하는 대목이다.[11] 18세기 사람인 김규오가 쓴 시문집이다.[12] # 조선시대의 포형 갑옷이나 대창의처럼 옆트임이 겨드랑이 아래까지 길게 들어가고 소매가 넓은 옷을 의미하며, 일본어로는 호에키(縫腋)라고 부르며 일본에선 아직도 헤이안 시대의 관복을 의미한다.#[13] 단 이들은 정규군이 아니어서 무장이 부실했기 때문에 이렇게 그린 것이지 고려도경 속 기록을 보고 이렇게 그린 것은 아니다. 본 그림이 등장하는 책 고려전쟁 생중계 속 다른 일러스트들을 보면 정규군들은 전투 도중 칼같이 투구를 쓰고 있다.[14] 출처는 책 '조선전쟁 생중계' 의 일러스트 중 하나. 일러스트 작가의 블로그를 참조해보는 것도 좋다.[15] https://www.joongang.co.kr/article/4768626#home[16] 좀 심하게 말하면 판타지 영화인 반지의 제왕에서 나왔던 고중세 서양식 갑옷들이 삼국시대나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그대로 나오는 꼴이다(...)[17] 서양에도 바이킹 롱패딩이나 적이 쉽게 잡아서 벗겨낼 수 있도록 뿔 달린 투구나 쓰는 고증 말아먹는 영화나 드라마도 2020년에 아직도 얼마든지 나오고 있다. 일반인들은 고증 문제는 신경도 안쓰고 그저 애호가들의 지식자랑 정도로 여긴다. 특히 고질적인 문제는 자꾸 갑옷 더럽게 똥칠하고 다니는 거. 당시 유럽인들은 갑옷에 프라이드를 가졌고 전투상황이 아니라면 갑옷을 귀중하게 다뤘다. 당대 최고의 기술로 만들어진 갑옷의 가격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가격이었기 때문에 돈이 아무리 많아도 소중히 다뤄야 했다.[18] 따라서 고증에 신경쓰는 작가들은 평상시에 갑옷을 정비하는 모습까지 꼼꼼히 챙긴다. 대표적으로 덩크와 에그 이야기에서 덩크가 에그를 종자로 받아들일 때 제일 먼저 물었던 질문들 중 하나가 "갑옷을 어떻게 닦는지 알고 있느냐?"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