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10:41:29

괘이름/결단할 쾌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カイ, ケツ
일본어 훈독
き-める, ゆがけ, わ-ける
-
표준 중국어
gu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

[clearfix]

1. 개요

나눌 쾌 / 쾌괘 쾌(夬) 나누다, 쾌괘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쾌괘는 주역 64괘에서 외괘가 태(兌, ☱)이고 내괘가 건(乾, ☰)인 괘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서는 592C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K(木大)로 입력한다.

활시위를 당기기 위해 깍지를 손가락에 낀 모습을 묘사한 글자이다. 이체자로 이 글자의 옛 형태를 간직한 叏가 있다.

절운계 운서중에서는 거성 쾌운(夬韻)이 있으며, 한국 한자음에서는 이 쾌운에 속하는 한자에 한해서만 초성 ㅋ이 발현된다. 하지만 사실 夬의 경우 쾌라는 발음은 속음인데 夬는 원래 전청이라 본음은 이다. 한국 한자음의 특성을 생각하면 특이한 편. 또한 이 글자는 깍지 결이라는 뜻도 있기 때문에 이 글자가 방으로 들어간 한자는 그 음이 쾌(夬,快) 혹은 결(決, 缺 등)로 갈린다.[1] 한국 한자음에서 의 음가를 가지는 글자는 이 글자를 포함해서 夬(쾌괘 쾌), 快(쾌할 쾌), 獪(교활할 쾌), 筷(대젓가락 쾌, 쾌할 쾌), 噲(목구멍 쾌), 儈(거간 쾌), 𥢶(거친 쌀겨 쾌), 駃(쾌할 쾌)[2], 璯(사람이름 쾌)[3], 䈛(살대 쾌)[4]로 몇 글자 없다. 하지만 이마저도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는 快(쾌할 쾌) 하나밖에 없다.

3. 용례

3.1. 단어


[1] 夬가 방이지만 음이 '쾌'나 '결'이 아닌 한자인 (소매 몌)가 있긴 하다.[2] 버새, 준마라는 뜻일때는 "결"임[3] 갓꾸미개의 뜻으로 쓰일 때는 "회"임.[4] 살대 괴(苦回切), 살대 쾌(古邁切) 모두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