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28 20:20:16

가엔(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3212d><tablebgcolor=#bf1400>
파일:히로아카_로고.png
||
역대 원 포 올 계승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시가라키 요이치 쿠도 토시츠구 브루스 리
제4대 제5대 제6대
시노모리 히카게 반죠 다이고로
래리엇
타유타이 엔
가엔
제7대 제8대 제9대
시무라 나나 야기 토시노리
올마이트
미도리야 이즈쿠
데쿠
}}}}}}}}}

<colbgcolor=#7A1F29><colcolor=#fff> 원 포 올의 제6대 계승자
가엔
ガエン|Gaen
파일:En.webp
본명 타유타이 엔[1]
[ruby(揺蕩井,ruby=たゆたい)][ruby(煙,ruby=えん)] | En Tayutai
성별 남성
나이 불명
개성 연막
원 포 올
성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키하라 테츠야[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병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데번 올리버

1. 개요2. 작중 행적3. 개성4. 평가5. 기타

1. 개요

<nopad> 파일:En_29.webp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등장인물로 원 포 올의 6번째 계승자다. 현재 시점에서는 이미 고인이다.

2. 작중 행적

304화에서 역대 원 포 올 계승자들과 의자에 앉은 모습으로 재등장한다. 선대인 래리엇을 선배라고 하는데 사제 관계인 시무라 나나와 올마이트, 올마이트와 미도리야와는 달리 래리엇과 6대는 학교나 히어로 활동 등에서 선후배 관계였던 듯.

305화에서 래리엇이 밝힌 본명은 엔. 이름의 연기 연(煙)은 그의 개성 연막을 의미한다.

308화에서는 연막을 뿌린 미도리야가 너무 과하다고 생각하자 제어영역을 초과하며, 너무 많이 사용하면 의미가 없다고 말하며 간접적으로 개성에 대해 설명한다. 8대까지 쌓아온 힘을 9대가 제일 거대하고 어렵다고 말하고 의도적으로 어깨의 힘을 빼라고 말한 뒤, 미도리야는 개성을 너무 존중한다며 개성을 도구라고 생각하라고 충고해준다.

313화에서 미도리야에게 연막을 너무 많이 쓰면 안 된다고 다시 말한다. 그리고 미도리야가 하는 일이 위험한 거라고 말한다.

318화에서는 미도리야에게 안정을 취하라고 제안하지만 거절당했다.

408화에 최후가 자세히 나오는데, 올 포 원에 의해 상반신과 하반신, 오른팔이 절단 당하는 끔찍한 최후를 맞았다. 이런 치명상을 입고도 연막을 계속 내서 시야를 가리고 나나에게 원 포 올을 넘겨서 계승을 끊기게 하지 않았다.

411화에선 시가라키 토무라에 의해 시노모리 히카게의 개성이 빼앗기자 그 힘으로 당장 도망가야 된다고 말한다. 이에 래리엇이 그를 쳐다보지만 방금은 위기감지를 가진 시노모리 씨 덕분에 자신들이 산 거라며 또 잠깐이라도 닿게 되면 그 누구도 도망칠 수 없을지 모른다며 전부 다 빼앗기고 끝장난다고 한다.[3] 그리고 후지산까지 와서 이즈쿠도, 도망칠 곳까지 포함한 모든 걸 놓치지 않고 박살내겠다는 토무라를 보며 요이치에게 토무라는 이미 AFO의 후계자같은 것이 아닌 부수는 게 유열인 파괴 그 자체라고 말한다.

413화에선 원 포 올을 시가라키에게 양도하자는 쿠도의 말에 만약 시가라키가 원 포 올을 사용하면 상황은 더 심각해진다고 하며 쿠도가 원 포 올이 아닌 거기에 있는 개성들을 양도한다고 하자 그러면 이 전투에서 가장 쓸모없는 자신이 가야된다고 했지만 이에 쿠도가 자신이 간다고 하고 변속은 이 전투의 핵심이며 시가라키가 변속을 사용하면 막을 수 없다고 말한다.

414화에선 원 포 올을 양도하기로 마음먹은 미도리야가 검은채찍을 온몸에 두르는 전투 방식을 선보이자 놀라고 계속해서 시가라키와 싸울 때 자신이 말한 현재 가장 쓸모없는 연막으로 시가라키의 빈틈을 만들자 감동하고 2대를 양도하고서 시가라키와 미도리야의 기억들이 서로 엇갈리자 당황하는 미도리야에게 2대가 해냈다며 손을 멈추지 말라고 외친다.

415화에선 원 포 올 계승자들의 인자를 전부 시가라키에게 양도했지만 엔을 제외하고선 전부 튕겨져나갔고 엔만이 양도되어 시가라키에게 대미지를 주었다.

419화에서 밝혀진 히어로명은 가엔(ガエン), 본명은 타유타이 엔(揺蕩井 煙, たゆたい えん).

3. 개성

3.1. 연막

<colcolor=#fff><colbgcolor=#7A1F29> 파일:EP132_511.png
연막
[ruby(煙, ruby=えん)][ruby(幕, ruby=まく)] | Smokescreen
사용자 타유타이 엔, 미도리야 이즈쿠
타입 발동계

시야를 차단시키는 안개와도 같은 연막을 광역으로 발생시키는 개성.

현실에서 사용되는 연막탄을 떠올리면 된다. 사용자의 신체에서 연기가 빠르게 뿜어져 나오는식으로 묘사된다.
파일:연막2.gif

사용자가 연막의 양을 조절이 가능하지만, 이미 나와버린 연막을 본인의 자의로 해제하거나 없애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4]
적과 아군 전부, 그리고 개성 사용자의 시야까지도 차단하기 때문에 과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리스크가 커지는 편이기에[5] 사용자의 센스가 요구되는 다루기 어려운 개성.

3.2. 원 포 올

5대 계승자에게 양도받고 7대 계승자에게 양도한 개성. 문서 참조

4. 평가

'선택받은 자'가 아닌 '맡은 자'라는 올마이트의 평가에 가장 걸맞은 계승자. 다른 계승자들은 효율적인 개성을 가지고 있거나, 가족이 핵심 인물이거나, 아니면 메인 캐릭터라는 특별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엔은 그의 개성은 수수한 효과에 비중은 적고 특별한 관계성도 없다. 더군다나 토무라와의 싸움이 진행되며 위기감지를 뺏긴 이후부터는 계승자 중 유난히 정신적으로 나약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다. 원 포 올의 계승자들은 정신력이 강한 캐릭터들이 많아 싸움 도중의 엔의 반응이 특히 눈에 띈다. 다만 자신을 희생시키라고 했기에 희생 정신은 확실하다.

개성 면에서는 본인의 전투력 여부와는 별개로[6] 변속, 발경, 위기감지, 검은 채찍 등 쟁쟁한 개성들 사이에서 혼자 '연막'이라는 조금 애매한 입지의 개성을 갖고 있어[7] 독자들 사이에서 가장 쓸모 없는 선대가 아니냐는 말을 듣고 있었다.[8][9] 하필 엔의 직계 선배인 래리엇의 검은 채찍이 미도리야가 가장 많이 활용하는 유용한 개성이란 점도 컸다. 본인도 이를 잘 알고 있어 쿠도가 희생할 계획을 이야기하자 자신이 대신 희생하겠다고 말한 이유이기도 하다.

원 포 올을 받는 순간 올 포 원의 타깃이 될 걸 알면서도 가정이 있는 유부녀 시무라 나나에게 개성을 양도하여 훗날 일어날 비극의 원흉이 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하나, 나나가 계승받았던 시점은 엔이 올 포 원에게서 도망치다 상,하체와 오른팔이 절단되어 사망하기 직전에 나나에게 겨우 원 포 올을 넘겼던 굉장히 긴박하고 긴급한 상황이었다. 당시 죽어가던 엔도 5대 계승자처럼 어떻게든 일단 원 포 올을 보존해야 된다는 판단이 앞섰을 것이다.[10]

총평은 미숙하고 다른 계승자들에 비하면 비중이 낮지만 평범한 인간의 모습과 초인적인 희생정신을 함께 보여주는 복합적인 인물이다.[11][12]

5. 기타

상반신과 하반신이 분리되는 치명상을 입고 눈물을 흘리며 죽어가던 중 머리카락으로 추정되는 털 몇 가닥을 후계자에게 건내는데, 이 때의 묘사로 보아 원 포 올의 계승은 올마이트처럼 머리카락으로 한 듯 하다.

일본에선 엔이 나나의 남편이라는 추측이 있다. 원 포 올 계승자 중에서 엔만 이름에 숫자를 암시하는 요소가 없는데 사실 결혼 전의 성이 타유타이였고 결혼 이후 '시라'[13]로 성을 바꾼 거였다면 말이 된다. 만약 살해당한 남편이 엔이었다면 나나가 굳이 코타로를 혼자 보낸 까닭에 당위성이 더 강해지기도 한다. 게다가 코타로가 나나의 오무라이스에 6점을 준 장면도 있어서 혹시? 정도로 주목을 받은 추측이다. # 그러나 결국 아닌 걸로 밝혀졌다.

완결 후에 발매된 팬북인 울트라 에이지에서 엔의 생전 활동이 공개되었다. 5대 계승자였던 래리엇은 올 포 원의 지배력이 가장 강했던 골든 에이지에서 그한테 처음으로 맞서기 시작한 히어로였고 그 행동은 엔을 포함하여 여러 이들에게 용기를 주었다. 래리엇을 보고 살아갈 의미를 찾아낸 소년이었던 엔은 그를 동경하여 따라기지만 래리엇은 엔을 걱정해서 그를 멀리하였다. 그러나 엔은 반죠랑 같이 싸우고 싶어했고, 그러다가 반죠와 올 포 원의 대화에서 원 포 올의 존재와 그 내용을 알게 된다. 결국 살해당하기 직전이었던 반죠는 엔에게 원 포 올을 넘기고 "도망쳐서 다음에"라며 엔과 약속을 맺는다. 이후 반죠는 살해당하고 엔은 기나긴 도피 생활을 시작한다.

혼자서 기나긴 도피 생활에 지쳐오던 무렵에 래리엇에게서 영향받은 히어로들은 올 포 원의 동향을 살피다가 엔과 조우하게 된다. 그리고 다들 래리엇에서 영향받은 동지들이었기 때문에 새로운 레지스탕스가 결성된다. 이 레지스탕스 중에 그랜 토리노와 시무라 나나의 남편이 있었다.[14] 레지스탕스는 반격의 기회를 살피지만 올 포 원은 자신을 적대하는 세력을 용납하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나나의 남편이 올 포 원에게 살해당하고 나나는 남편의 의지를 잇기 위해 엔의 레지스탕스에 참가한다. 그러다가 결국 레지스탕스는 궁지에 몰리고 엔도 반토막나는 중상을 입는다. 그때 마침 우연히 가장 가까이에 있던 나나한테 원 포 올을 넘겨준다. 넘겨준 직후에는 빈사 상태였음에도 연막을 대량으러 내뿜어서 나나가 도망칠 수 있게 해주고 끝내 사망한다.

프로필 이름 파트에도 적혀있듯 다른 계승자들과 달리 이름에서 6을 찾기가 어려운데 공식 팬북에서 밝히길 이름의 煙의 훈독인 けむり에서 む가 6이라고.


[1] 풀네임이 공개된 원포올 계승자들 중 유일하게 이름에 6과 관련된 글자가 없다. 다만, 어떻게든 치환을 해보자면 "엔" 그 자체가 6이 될 수는 있다. 6을 읽는 방식 중 훈독에 "むい"가 존재하는데, "煙"가 "けむい"로도 읽을 수 있기 때문.[2] 애니 케디인 우마코시가 참여한 세인트 세이야 오메가에서 류호를 연기했다.[3] 즉, 원래 여기서 최종결전을 벌일 셈이었지만 시가라키가 예상 외로 강해졌기 때문에 역대 계승자들이 그랬듯 미도리야도 도망치며 싸우는 게 최선이라는 주장이다. 원 포 올이 올 포 원에게 절대적으로 우위를 점하던 강탈 면역이 사라져버렸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나온 선택지.[4] 하지만 원포올의 풍압으로 연막을 강제로 날려버리는 식으로 제거할 수는 있다.[5] 감지 계열의 개성을 가지고 있는 상대에겐 연막이 크게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본인의 시야만 좁게 만드는 결과로 만들수 있기 때문.[6] 원 포 올은 후대로 갈수록 강해지는 특성상 6대가 선대들보다 잠재력이 높다는 건 당연하다.[7] 비슷한 위치의 부유는 붕괴 전파를 가진 토무라를 상대로 공중전을 펼치는데 도움이 된다.[8] 원 포 올은 아무에게나 넘겨주면 악용당할 위험 때문에 개성의 강함보다 넘겨받을 사람의 됨됨이를 더 중요시 할 수밖에 없다. 오히려 까다로운 조건에서 활용도 높은 개성의 선대가 포함됐다는 자체가 운이 너무나도 좋았던 거다.[9] 또한 엔의 개성은 전략적으로 유용한 개성이다. 미도리야의 연막 활용을 보고 본인도 감탄하였다.[10] 일단 3대에서 7대까지는 계승자들끼리 어떤 관계인지 자세히 나온 적이 없다. 추측하자면 시무라 나나의 경우 최소한 엔 과는 원 포 올의 비밀에 대해 알려줄 정도의 관계가 있었다는 정도로, 원 포 올의 비밀엔 올 포 원의 존재 또한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까지 알고 있었다면 나나또한 위험을 감수하고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올 포 원이 친동생을 자신에게서 빼앗아가고 그 동생의 개성과 의식을 넘겨받은 쿠도를 증오하여 그의 친인척을 다 죽였으며 후대의 계승자들도 일일이 찾아내서 원 포 올의 강탈을 시도하거나 살해하려 드는등, 죽기 전까지도 집착을 버리지 못했던 모습을 보면 굳이 시무라 나나가 아니라도 누가됬건 원 포 올의 계승자가 된 순간 올 포 원에게 노려져 봉변을 당하는것은 피할수 없는 기정사실이다.[11] 어떻게 보면 원 포 올 계승자들도 특별하거나 선택받은게 아닌 보통 인간임을 보여주는 예시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초인적인 면은 오로지 남들보다 두각을 드러내는 이타심과 희생정신 뿐.[12] 각 개인의 실체를 보면 초대계승자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조차 힘든 병자였고, 시노모리 히카게는 자기 대에서 거대한 악과 맞서기를 포기해서 수련에 매진했고 후대 계승자에겐 신선같이 살다간 괴짜라는 평가를 받았다, 시무라 나나는 남편을 잃고 아들 하나 지키지 못하는 어머니였으며, 올마이트도 대중에게 보여주는 절대무적의 초인같은 모습과 반대로 실 생활에선 툭하면 피를 토하고 해골같은 외모를 한 환자이며, 미도리야도 선대들 중에서도 이해 못할 정도의 이타심 등을 빼면 특별한 면은 없다. 즉 원 포 올 계승자들은 결코 선택받거나 특별한 초인 같은게 아니며 올마이트 말대로 그저 맡겨지고 맡긴 사람들에 불과했다. 그러니 지극히 평범한 사람과도 같은 계승자도 있는 것이 이상한게 아니다.[13] 일본어로 여섯 개라는 단어 발음이 뭇츠인데 여섯의 부분의 발음이 무다.[14] 시무라 나나의 남편이 가족도 있는데 굳이 참가한 이유는 아이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서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