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1:18:41

갈매기 성운

갈매기 성운
Seagull nebula
파일:Seagull-Master-8K-NR-1-1-scaled.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4m 25s
적위 −10° 27′ 18″
별자리 외뿔소자리큰개자리
겉보기 등급 15.23
물리적 성질
형태 전리수소영역
발광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지름 140 광년 or 195 광년
겉보기 크기 120'x40'
명칭
갈매기 성운, Seagull nebula

1. 개요2. 역사3. 특징4. 구성 천체(산개성단)
4.1. NGC 23354.2. NGC 23434.3. NGC 2353
5. 구성 천체(성운)
5.1. IC 21775.2. NGC 23275.3. Sh2-2935.4. Sh2-2955.5. Sh2-2965.6. Sh2-2975.7. RCW 4
6. 위치 및 찾는 방법7. 관련 문서

1. 개요

IC 2177 / 갈매기 성운

갈매기 성운은 외뿔소자리큰개자리 경계부근에 위치한 거대한 전리수소영역 및 발광성운으로 지구에서 대략 3,650 광년 떨어져 있다.

2. 역사

성운이 차지하는 지역이 너무 광범위하고 매우 어둡다 보니, 모든 성운이 한번에 발견된 것이 아니라 각 구역별로 나뉘어서 발견되었다.

먼저 윌리엄 허셜이 갈매기의 오른쪽 어깨에 위치한 작은 반사성운인 NGC 2327과 산개성단 NGC 2335, NGC 2343을 발견한 것을 시작으로, 웨일스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아이작 로버트가 갈매기 머리에 위치한 밝은 성운인 IC 2177[1]를 발견한 후, 스튜어트 샤플리스가 샤플리스 목록을, 콜린 검이 Gum 목록을 작성할 시기, 갈매기 성운의 나머지 지역이 발견되었다.

3. 특징

갈매기 성운은 과거에는 오리온자리의 바너드 루프처럼 500만년 전에 발생한 연쇄적인 초신성 폭발로 인해 형성된 큰개자리 껍질(Canis Major Shell)의 북쪽 부분의 가스들이 서로 엉켜지면서 형성된 전리수소영역으로 여겨졌으나, 갈매기 성운 근처에서 큰개자리 껍질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O형 주계열성 폭주별 3개를 발견하면서, 현재는 갈매기 성운 남쪽 부근에 위치했던 산개성단에서 각각 600만년, 200만년, 100만년에 발생한 강력한 초신성 폭발의 영향으로 폭주별이 된 3개의 O형 주계열성들이 빠른 속도로 큰개자리 껍질 구조의 북쪽 부분을 지나갔고, 결국 밝은 항성들이 내뿜은 강력한 항성풍과 빛으로 인해 가스들이 가열되어 갈매기 모양의 거대한 성운이 형성되었다는 이론이 대세가 되었다.

또한 현재 갈매기 성운 내부에는 큰개자리 OB1이라는 OB 성협과 큰개자리 R1 성협이라는 R 성협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갈매기 성운이 과거에 비해 점점 별 형성이 줄어들고 있어, 현재 형성된 성협의 별들이 갈매기 성운에서 형성된 마지막 별들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4. 구성 천체(산개성단)

4.1. NGC 2335

NGC 천체
NGC 2334
살쾡이자리의 렌즈형은하
NGC 2335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NGC 2336
기린자리의 막대나선은하
콜린더 천체
Cr 126
쌍둥이자리의 산개성단
Cr 127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Cr 128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멜로테 천체
Mel 59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Mel 60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Mel 61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NGC 2335
파일:800px-NGC_2335_DSS.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6m 48s
적위 -10° 01’ 42″
별자리 외뿔소자리
겉보기 등급 7.2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겉보기 크기 8.7'
명칭
NGC 2335, Cr 127, Mel 60

NGC 2335

NGC 2335는 갈매기 성운의 왼쪽 날개에 위치한 산개성단으로 윌리엄 허셜이 1785년 1월 10일 발견했다.

성단의 나이는 1억 3천만년에서 1억 6천만년 사이로 추정되며, 큰개자리 OB1 성협의 중심부로 간주되고 있다. 성단 범위에는 35개에서 40개의 항성이 관측되었지만, 실제 성단 구성원으로는 19개만이 식별되었다.

원래는 갈매기 성운과는 관련이 없는 별개의 성단일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관측을 통해 나온 구성원들의 거리값이 갈매기 성운의 구성원들과 일치해 큰개자리 OB1 성협에 포함되는 성단이라는 것이 확실시 되었다.

4.2. NGC 2343

NGC 천체
NGC 2342
쌍둥이자리의 정상나선은하
NGC 2343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NGC 2344
살쾡이자리의 중간나선은하
콜린더 천체
Cr 127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Cr 128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Cr 129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NGC 2343
파일:NGC_2343.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8m 07s
적위 -10° 37’ 00”
별자리 외뿔소자리
겉보기 등급 6.7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겉보기 크기 7.5'
명칭
NGC 2343, Cr 128

NGC 2343

NGC 2343은 갈매기 성운의 중심부 아래에 위치한 산개성단으로 윌리엄 허셜이 1785년 1월 10일 발견했다.

성단의 나이는 1억 600만년으로 추정되며, 청색 거성 또는 준거성으로 보이는 HD 54387을 포함해 32개의 구성원이 성단에 속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원래는 갈매기 성운과는 관련이 없는 별개의 성단일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었지만, 관측을 통해 나온 구성원들의 거리값이 대략 1,000~1,300 파섹 정도로 갈매기 성운의 구성원들과 일치해 큰개자리 OB1 성협에 포함되는 성단이라는 것이 확실시 되었다.

4.3. NGC 2353

NGC 천체
NGC 2352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NGC 2353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NGC 2354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콜린더 천체
Cr 129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Cr 130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Cr 231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멜로테 천체
Mel 61
큰개자리의 산개성단
Mel 62
외뿔소자리의 산개성단
Mel 63
쌍둥이자리의 산개성단
NGC 2353
파일:NGC2353_FSQ_PS5-Crp_med.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14m 30.0s
적위 −10° 16′ 00″
별자리 외뿔소자리
겉보기 등급 7.1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겉보기 크기 20'
명칭
NGC 2353, Cr 130, Mel 62

NGC 2353

NGC 2353은 갈매기 성운의 왼쪽 날개 남쪽에 위치한 산개성단으로 윌리엄 허셜이 1785년 1월 10일 발견했다.

성단의 구성원은 59~200개로 추정되며 이 항성들은 성단 중심 5' 크기에 밀집되어 있다. 이외에도 10' 범위 밖에 위치한 후광 구성원들 역시 발견되었다.[2] 나이는 대략 760만년으로 매우 젊은편에 속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세종대학교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는 성단의 나이가 1억 3천만년이라고 추정해 NGC 2353의 정확한 나이는 불투명해졌다.

과거엔 NGC 2353이 큰개자리 OB1을 포함한 갈매기 성운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관측을 통해 나온 거리값이 1,200 파섹 정도로 갈매기 성운의 거리와 일치하는 것이 밝혀져 현재는 큰개자리 OB1의 구성원으로 확정된 상태이다.

5. 구성 천체(성운)

5.1. IC 2177

IC 천체
IC 2176
쌍둥이자리의 타원은하
IC 2177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IC 2178
쌍둥이자리의 나선은하
IC 2177의 다른 천체 목록 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샤플리스 천체
Sh2-291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Sh2-292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Sh2-293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RCW 천체
RCW 1, RCW 1a/b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RCW 2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RCW 3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Gum 천체
Gum 1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Gum 2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IC 2177
파일:Seagull_Nebula.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4m 25s
적위 −10° 27′ 18″
별자리 외뿔소자리
겉보기 등급 15.3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겉보기 크기 50'
명칭
IC 2177, Sh2-292, RCW 2, Gum 1, Vdb 93

IC 2177

IC 2177은 갈매기 성운의 갈매기 머리부분에 위치한 원형의 발광성운으로 1785년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된 걸로 알려져 있으나, 당시 윌리엄 허셜이 해당 성운을 기록하지 않아 100년뒤인 19세기말에 웨일스 태생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아이작 로버츠 (Isaak Roberts)에 의해 재발견되어 기록상으로는 아이작 로버츠가 최초로 발견한 걸로 기록되어 있다.

중심에는 허빅 Ae/Be 변광성[3]인 B형 스펙트럼의 항성 2개(A,B)와 특성이 알려지지 않은 5 태양질량의 질량을 가진 항성(Ab)으로 구성된 삼중성계인 HD 53367이 위치해 있으며, 이 항성에 의해 성운 전체가 이온화되고 있는 중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 삼중성계중 A와 B는 1.7 AU를 간격으로 서로 공전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5.2. NGC 2327

NGC 천체
NGC 2326
살쾡이자리의 막대나선은하
NGC 2327
큰개자리의 반사성운
NGC 2328
고물자리의 렌즈형은하
NGC 2327
파일:N2327s.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4m 07,2s
적위 −10° 27′ 18″
별자리 큰개자리
겉보기 등급 ?
물리적 성질
형태 반사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겉보기 크기 1'
명칭
NGC 2327

NGC 2327

NGC 2327은 갈매기 성운의 오른쪽 날개에 위치한 작은 반사성운으로 윌리엄 허셜이 1785년 1월 31일 발견했다.

성운 내부엔 150만년 이하의 나이를 가진 항성들로 구성된 산개성단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중 가장 밝은 별은 LkHα 221로 명명된 KO 분광형 황소자리 T형 별이다.

4분 남쪽에는 BRC 27로 명명된 젊은 산개성단이 위치해 있는데, NGC 2327 성운 내부의 산개성단과 나이, 거리등이 일치해 서로 연관이 있는 산개성단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중이다.

5.3. Sh2-293

샤플리스 천체
Sh2-292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Sh2-293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4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Sh2-293
파일:sh2-293.jpg
위쪽이 Sh2-293, 아래쪽이 Sh2-295이다.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1m 49s
적위 −11° 18′ 03″
별자리 큰개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
규모
크기 10'
명칭
Sh2-293

Sh2-293

Sh2-293은 갈매기 성운의 오른쪽 날개 북동쪽에 위치한 구형의 발광성운이다.

성운 전체가 성운 중심에 위치한 B2V III의 분광형을 가진 허빅 Ae/Be 별, 큰개자리 GU(HD 52721)에 의해 이온화되고 있다. 이 항성은 2개의 B2 분광형을 가진 전주계열성과, 특성이 확인되지 않은 2개의 별을 포함한 4중성계인 것이 확인되었다.

현재 Sh2-293은 갈매기 성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Sh2-293의 거리가 1,100 파섹이 아니라 750 파섹이라는 추정치 또한 존재해 전경 물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5.4. Sh2-295

샤플리스 천체
Sh2-294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Sh2-295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6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5
파일:sh2-293.jpg
위쪽이 Sh2-293, 아래쪽이 Sh2-295이다.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2m 39s
적위 −11° 27′ 24″
별자리 큰개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
규모
크기 7'
명칭
Sh2-295

Sh2-295

Sh2-295는 갈매기 성운의 오른쪽 날개 북동쪽에 위치한 구형의 발광성운이다.

중심에 위치한 3개의 항성들로 이온화되고 있으며, 각각 B2 분광형을 가진 2개의 전주계열성으로 구성된 식변광성인 큰개자리 FZ(HD 52942), B2 분광형을 가진 단일 항성들인 HD 53010, BD -11 1761이다. 이중 큰개자리 FZ는 Vdb 90, BD-11 1761은 Vdb 92로 명명된 반사성운을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Sh2-295 내부엔 2개 이상의 반사성운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중이다.

현재 Sh2-293은 갈매기 성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Sh2-293의 거리가 1,100 파섹이 아니라 700 파섹이라는 추정치 또한 존재해 전경 물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5.5. Sh2-296

샤플리스 천체
Sh2-295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6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7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RCW 천체
RCW 1, RCW 1b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RCW 2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Gum 천체
Gum 1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Gum 2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Gum 3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6
파일:abbf0a9a-7106-4923-ac4a-e00f6ab509d0.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2m 39s
적위 −11° 27′ 24″
별자리 큰개자리외뿔소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
규모
크기 2°X 0.6°
명칭
Sh2-296, RCW 1(b)[4] Gum 2

Sh2-296

Sh2-296은 갈매기 성운의 날개에 해당하는 거대한 성운으로, 사실상 갈매기 성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운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 몇몇 사이트에선 갈매기 성운이 SH2-296과 동일한 천체라고 서술되어 있지만, 갈매기 성운은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붙인 별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확한 크기에 대한 정의가 없어 확실하게 Sh2-296 = 갈매기 성운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좀 더 길게 설명하자면, 갈매기 성운이라는 명칭은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이 IC 2177 근처의 성운들이 마치 갈매기처럼 보여 갈매기 성운이라는 명칭을 부여한 것일 뿐이기 때문에,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작게는 Sh2-296 및 근처의 성운들만을 포함하는 성운 복합체만을 의미하지만, 크게는 큰개자리 껍질과 관련이 있는 모든 천체들을 포함하는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어, 갈매기 성운이 Sh2-296과 동의어인지에 대한 논란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또한, Sh2-296의 범위에도 논란이 있다. 몇몇 사이트에선 Sh2-296이 갈매기 날개 형태의 성운만을 지칭하지만, 다른 사이트에선 갈매기 성운의 왼쪽 날개 남쪽에 위치한 NGC 2353 근처의 길쭉한 발광성운 역시 포함된다고 서술되어 있다.

5.6. Sh2-297

샤플리스 천체
Sh2-296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7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8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RCW 천체
RCW 1a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RCW 2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Gum 천체
Gum 2
외뿔소자리 및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Gum 3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Gum 4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Sh2-297
파일:Ced_90.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05m 13.0s
적위 -12° 19′ 00″″
별자리 큰개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
규모
크기 12'
명칭
Sh2-296, RCW 1a, Gum 2, Ced 90, LBN 1039

Sh2-297

Sh2-297은 갈매기 성운의 오른쪽 날개 끝에 위치한 작은 발광성운이다.

성운 중심에는 B1 분광형을 가진 항성들인 HD 53623/HIP 34178가 위치해 있으며, 이 항성들에 의해 성운이 이온화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보통 성운 내부의 이온화 소스에 의해 형성되는 항성들은 이온화 소스로 인해 형성되는 이온화 전선[5]을 따라 형성되는데, Sh2-297 내부의 YSO 천체들은 그렇게 배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h2-297의 이온화 소스는 상술한 두 항성이 아니라, 큰개자리 껍질 전체를 이온화시키고 있는 HD 53975, HD 54879, HD 53623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온화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Sh2-297의 북서쪽 경계의 YSO는 Sh2-297을 구성하는 이온화 가스들이 자연적으로 팽창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했듯이 Sh2-297 내부에는 YSO 물체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Sh2-297 성운 내부에는 평균 100만년, 최대 500만년의 나이를 가지고 있고, 0.3~2.0 태양질량의 질량을 가지고 있는 96개의 YSO 물체가 위치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YSO 천체들 중에서도 유난히 밝고 거대한 천체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 YSO 물체는 성운 너무나도 깊숙이 위치해 있어 알려지지 않은 첫번째 YSO 물체라는 의미를 가진 UYSO-1라고 명명되었다. 이 항성은 양극으로 5.4 태양질량의 일산화탄소 가스를 내뿜고 있으며, 항성 주변에는 30~40 태양질량에 달하는 가스가 항성을 공전하고 있는 중이라는 게 밝혀졌다.

5.7. RCW 4[주의]

RCW 천체
RCW 3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RCW 4
외뿔소자리의 발광성운
RCW 5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RCW 4
파일:31797.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7h 23m 54s
적위 -08° 36′ 00″″
별자리 외뿔소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발광성운
거리 3,650 광년
1,12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
규모
크기 ?
명칭
RCW 4

RCW 4

RCW 4는 NGC 2353 동쪽에 위치한 거대한 발광성운이다.

문단 제목의 각주에 설명되어 있듯, RCW 4는 이 문서의 특성 문단에 서술되어 있는 큰개자리 껍질의 일부로 추정되지만, 알려진 것이 아예 없다.[7] 여기서 더 놀라운 것은, RCW 목록을 제외한 어떠한 목록에도 RCW 4와 동일한 성운이 확인되지 않았다.[8] 이렇게나 RCW 4 성운이 불명확한 성운이라서, RCW 4에 대한 연구 역시 하나도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RCW 4가 어떤 특성을 가졌고, 또 겉보기 크기는 어느정도이고, 거리값은 얼마인가에 대해 알 수 있는 길이 없다. 따라서 갈매기 성운보다 훨씬 더 가까이 있거나, 훨씬 더 멀리 있어 갈매기 성운의 구성원이 아닐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6. 위치 및 찾는 방법

파일:IC2177Location.png

바로 북쪽에 밝은 산개성단인 M50이 위치해 있고, 남동쪽에 시리우스가 위치해 있어 위치는 발견하기 쉬우나, 겉보기 등급이 매우 낮기 때문에 안시 관측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대부분은 장노출 사진을 통해 갈매기 성운을 관측한다.

7. 관련 문서


[1] 대부분의 사이트에서는 갈매기 성운 전체가 IC 2177이라는 번호로 지정되었다고 서술되어 있지만, 해당 NGC 번호는 사실 갈매기 머리에 해당하는 성운에만 지정되어 있어 갈매기 성운 전체를 의미하는 번호가 아니라고 한다.[2] 이 항성들중 가장 밝은별은 O형 주계열성인 HD 55879이다. 다만 이 항성이 실제로 NGC 2353 성단에 포함되어 있는지는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았다.[3] 전주계열성의 일종인 항성이다.[4] RCW 1b는 딱히 특정 물체를 지칭하는 것 같아 보이진 않으며, 단지 경계에 NGC 2353이 있다는 것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5] 성간가스가 이온화되는 과정중에서, 이온화된 상태인 가스와 일반적인 가스의 경계선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이 경게을 이온화 전선이라고 한다.[주의] RCW 4는 특성 문단에 서술되어 있는 큰개자리 껍질의 일부로 추정되어 해당 문서에 추가하였지만, RCW 목록을 제외한 다른 어떠한 목록에도 똑같은 천체가 등재되어 있지 않아 RCW 4가 갈매기 성운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점 미리 참고하기 바란다.[7] 단순히 "정보가 부족하다."가 아니라, 아예 없다.[8] 우주의 모든 천체를 기록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인 SIMBAD에 서술되어 있는 말으로, 이 말은 SIMBAD에 등재된 수백개의 성운 목록중 단 하나도 RCW 4의 위치와 일치하는 성운이 없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