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8 11:32:02

개미과 생물 목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벌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개미에 대한 내용은 개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생물 분류 기준은 GBIF Checklist dataset에 등재된 가장 최신의 데이터로 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멸종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해당 계통군에 대한 생물 목록 문서가 있음을 의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이 한글로 기재되어 있으나 발표된 국명이 없음을 의미한다. 공식적인 명칭이 아니므로 인용 시 주의해야 한다. 유래가 같은 학명이 분류 단계만 다를 경우는 제외한다.
﹖ 표기는 계통군의 분류가 확실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1. 가시방패개미아과(Dorylinae)2. 두배자루마디개미아과(Myrmicinae)3. 렙타닐라아과(Leptanillinae)4. 마르티알리스아과(Martiallinae)5. 배굽은침개미아과(Proceratiinae)6. 불개미아과(Formicinae)7. 불독개미아과(Myrmeciinae)8. 시베리아개미아과(Dolichoderinae)9. 총알개미아과(Paraponerinae)10. 침개미아과(Ponerinae) 11. 톱니침개미아과(Amblyoponinae)12. 프세우도미르멕스아과(Pseusomyrmecinae)13. Agroecomyrmecinae14. Aneuretinae15. Apomyrminae16. Ectatomminae17. †포르미시움아과(Formiciinae)18. †하이도미르멕스아과(Haidomyrmecinae)

1. 가시방패개미아과(Dorylinae)[1]

2. 두배자루마디개미아과(Myrmicinae)

3. 렙타닐라아과(Leptanillinae)[24]

4. 마르티알리스아과(Martiallinae)

5. 배굽은침개미아과(Proceratiinae)

6. 불개미아과(Formicinae)

7. 불독개미아과(Myrmeciinae)

8. 시베리아개미아과(Dolichoderinae)

9. 총알개미아과(Paraponerinae)

10. 침개미아과(Ponerinae) [43]

11. 톱니침개미아과(Amblyoponinae)

12. 프세우도미르멕스아과(Pseusomyrmecinae)

13. Agroecomyrmecinae

14. Aneuretinae[45]

15. Apomyrminae

16. Ectatomminae

17. †포르미시움아과(Formiciinae)

18. †하이도미르멕스아과(Haidomyrmecinae)



[1] Dorylus,Aenictus,Eciton 속 등에서 군대개미의 행동특성이 관찰된다.[2] 아프리카 서식 군대개미 120여 종이 포함된다.[3] 구대륙 전반에 퍼져있는 224종의 개미. 알려진 모든 종은 군대개미이다.[4] 인도,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적갈색 군대개미[5] 아메리카 서식 군대개미가 포함된다.[6] 1대1의 전투력은 개미 최강으로 추정된다고.[7] Marauder ants. 일개미 간 극단적인 크기 이형성이 몇 종에서 관측된다.[8] 1200여 종이 넘는 개미 종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종에서 대두 병정 개미를 볼 수 있다.[9] 일개미 1.5mm~2mm, 병정개미 약 3.5mm, 여왕개미 약 7mm~8mm, 결혼비행시기는 8~9월로 한국 전지역의 산에서 서식하는 이 개미들은 작은 크기와 달리 매우 호전적인 성향을 보이는 종이다. 혹개미 속에 속하는 만큼 병정개미들의 머리 크기가 엄청나서 적군개미를 펜치같이 토막낸다. 보통의 개미들은 애벌레가 자라 고치를 형성하지만 혹개미속에 속하는 이 개미들은 고치가 없이 그대로 자라서 내장 등 부속기관은 없이 웅크린 형태로 성체가 되기까지를 기다린다.[10] 도시의 길바닥이나 벽돌 틈에서도 집을 짓고 사는 아주 조그만 개미. 곰개미처럼 매우 흔하다.[11] 전 세계적으로 퍼진 종으로 대한민국에도 제주도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것이 발견되었다.[12] 일개미가 생식활동을 해서 여왕개미 없이 일개미만으로 지속적으로 군체를 꾸려나가는 종이다! 물론 투쟁 끝에 상위 서열이 된 개체들만이 생식활동을 할 수 있다.[13] 한국 유일 수확개미 종.[14] 남부유럽, 북부 아프리카 서식 수확개미 종.[15] 수확개미속[16] 독이 가장 강한 곤충 타이틀을 얻은 개미로, LD50(실험쥐)이 0.12mg/kg이다. 참고로 꿀벌이 2.8 mg/kg임을 생각해보면 매우 강한 편, 인랜드 타이판의 0.01 mg/kg보다는 훨씬 못 미치지만 동부방울뱀의 1.2mg/kg보다 10배로 강하다. 물론 양이 적기 때문에 한 대 정도는 쏘여도 큰 지장은 없지만 그 고통이 4시간은 간다고 한다.[17] 미국 남서부 건조지대 서식종.[18] 미국 남서부(뉴멕시코, 콜로라도) 건조지대 서식종.[19] 영미권에선 Red Imported Fire Ant, 줄여서 Rifa ant로 불린다.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20] 중앙아메리카, 미남부 출신이나 많은 열대와 아열대 지역 특히 동남아시아에 많은 수가 퍼져 악성 침입외래종이 되었다.[21] Solenopsis molesta. 개미 중 가장 작다고 알려진 종류로(일개미의 몸길이 0.7~3mm) 애집개미처럼 집 안에 서식하기도 한다. 가장 큰 특징이라면 야외에서는 다른 개미집 옆에 굴을 파고 먹을 것을 훔쳐다 먹는다. '도둑'개미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했다.[22] 잎꾼개미속 중 하나.[23] 잎꾼개미속 중 하나.[24] 마르티알리스 아과와 더불어 가장 이른 시기에 진화한 개미들로 밝혀졌다. 신대륙에선 발견되지 않았다.[25] 2008년에 아마존에서 발견된 마르티알리네아과 유일의 개미이다.[26] 이 속에 속하는 개미들은 나무에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미권에선 목수개미(Carpenter ant)로 불린다. 전 세계적으로 1500종 넘게 발견된 엄청 큰 속이며 국내엔 20종 정도 있다.[27] 배 쪽에 4개의 무늬가 있어서 이런 명칭이 붙었는데 사실 이건 그 부위가 투명해서 내장이 비쳐보이는 것이다. 만약 사육을 하고 싶다고 해도 사육 난이도가 높은 종이라 개미 사육 초보자는 방생하는 게 좋다.[28] 예전에 기록되었던 홍가슴개미는 밑의 일본홍가슴개미로 같은 왕개미속이지만 사할린 제도와 일본에만 서식하는 종이다.[29] 최근에 분류된 속이다. 머리로 굴을 막는 병정이 있고 여왕의 머리도 굴을 막는 모양이다.[30] 인도차이나반도, 말레이시아 서식종으로 일개미 하나하나가 해부학적으로 걸어다니는 폭탄과 같다. 싸움이 발생되면 복부를 수축시켜 독액을 터트린다.[31] 몸에 난 6개의 가시가 특징이다. 이 속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가시개미만 기생종이다.[32] 2006년 발견된 신종. 물거미처럼 물속에 집을 짓는 건 아니고 맹그로브숲 근처의 갯벌에 집을 짓는데 작은 웅덩이가 많은 만큼 개미들 가운데 유일하게 '자발적으로' 수영을 할 수 있다. 이 개미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이 잡아다가 물 한가운데의 돌 위에 올려놨더니 헤엄을 쳐서 도망갔다고. 조수에 따라 집이 물에 잠길 수 있지만 집에 공기주머니가 생기기 때문에 안전하다.[33] 풀개미라고도 한다. 여왕과 일개미의 크기차가 엄청난 종. 흔히 보이는 쪼만한 개미로 엄청난 생산력과 적응력 등으로 사육하기에는 무리가 없는 종류이다. 여러 마리의 여왕 체제로는 군체를 유지하기 매우 어렵다. 일부 종에서 기생 행동특성을 관찰할 수 있다.[34] 1992년 Seifert에 의해 고동털개미와 분리동정되었다.[35] Weaver ants. 나뭇잎을 끌어당긴 채로 애벌레가 내뿜는 실을 이어붙여 집을 만든다.[36] 무려 경로적분을 할 수 있다. 적분을 해서 끝없이 모래만으로 이어진 사막에서도 집으로 무리없이 귀환한다.[37] 남미의 강 아마존의 어원이 된 그리스신화의 여전사부족 '아마존'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알려진 15종의 개미는 모두 노예 약탈 행동을 보인다.[38] 황소개미, 잭 점퍼 개미 등으로도 불린다[39] 공룡이란 이름답게 개미 중에선 가장 크다. 일개미만 최대 3cm에 달한다고 한다. 동일속 내엔 여왕이 없는 종도 있다.[40] 중부 아메리카에 서식한다. 트럼핏나무라는 속이 빈 나무 속에 살림을 차린다. 나무는 집과 단백질이 풍부한 영양물질을 제공하고 개미는 그에 대한 보답으로 집으로 삼은 나무 근처의 잡초를 제거하고 나무에 접근하는 다른 동물(나방 등)을 공격해 쫓아내거나 죽인다. 트럼핏나무에 자리잡은 개미를 박멸하면 나무는 곧 해충에게 뜯기고 잡초나 덩굴에게 눌려 고사한다. 최재천 교수의 저서에 등장한다.[41] 세계 100대 악성침입종. 주 서식지는 남아메리카이나 인간을 통해 전세계로 퍼져 토착 개미를 박살낸 악명높은 침입종이다.[42] 총알개미아과 내 유일하게 발견된 한 종이다.[43] 이 녀석들은 원시적인 개미로 벌처럼 침이 있으며 쏘이면 꽤나 아프고 군체의 크기가 작다. 특히 일본침개미같이 큰 녀석은 독의 양이 많아서 더 아프다. 벽을 타는 능력도 떨어져서 유리나 플라스틱로 된 수직 벽을 오르지 못한다. 종에 따라 여왕이 없어지면 일개미들이 사투를 벌여서 승리한 녀석들이 여왕이 될 수 있는 정도의 무리이다. 다른 종과는 다르게 애벌레가 기어갈 수 있다. 그래서 기어가서 일개미들이 가져다놓은 먹이를 먹거나 서로 잡아먹기도 한다.[44] 여러 덫턱개미 속 중 하나이다.[45] 현재까지 유일하게 한 종만 스리랑카에서 발견되었으나 화석상으론 9종이 발견되었다.[46] 현재 유일하게 발견된 Aneuretinae아과의 단일종이다. 스리랑카에서만 발견된다.[47] 아포미르미네 아과 유일 발견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