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6:48:54

바가케라톱스(프로토케라톱스과)

고비케라톱스에서 넘어옴
바가케라톱스
Bagaceratop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gaceratops.jpg
학명 Bagaceratops rozhdestvenskyi
Maryanska & Osmolska, 1975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조반목Ornithischia
아목 †각각아목Cerapoda
하목 각룡하목Ceratopsia
계통군 †진각룡류Euceratopsia
소목 †코로노사우루스소목Coronosauria
†프로토케라톱스과Protoceratopidae
바가케라톱스속Bagaceratops
[[생물 분류 단계#종|{{{#000 }}}]]
  • †바가케라톱스 로즈데스트벤스키 (B. rozhdestvenskyi)모식종
    Maryanska & Osmolska, 1975

파일:bagaceratops_by_olorotitan-damkw7p.jpg
복원도

1. 개요2. 연구사3. 특징4. 등장 매체

[Clearfix]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후기 몽골에서 살았던 각룡류 공룡. 속명의 뜻은 '작은 뿔 달린 얼굴'로, '작다'는 의미의 몽골어 Baga를 활용한 것이다.

2. 연구사

이 녀석은 1970년대 몽골과 폴란드의 고생물학자들이 고비 사막 일대에서 진행한 공동탐사 과정에서 처음 발굴되었다. 몽골 남부 으므느고비 지역의 바룬고요트층(Barun Goyot Formation)에서 발견되어 모식표본으로 지정된 화석은 두개골 일부에 불과했는데, 안타깝게도 지금까지 발견된 화석 표본들 역시 하나같이 전체적인 골격 보존률이 영 좋지 않은 편이다. 그나마 두개골 화석의 경우 꽤나 온전한 형태로 보존된 5점을 포함해 대략 20~30여 점에 달할 정도로 많은 수량이 발굴되었다는 점은 위안거리.

이러한 화석 자료의 한계 때문에 일부 표본들의 경우 한때 프로토케라톱스의 일종으로 잘못 동정된 적도 있었다.[1] 하지만 프로토케라톱스의 두개골과 자세히 비교해보면 일단 이빨 갯수가 위아랫턱에 각각 10개 가량 뿐으로 적은 편인데다, 프릴의 크기나 상악골 및 전상악골의 개구부 형태 등 몇 가지 해부학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3. 특징

최소 5cm 남짓한 것에서부터 최대 17cm짜리까지 두개골 화석 표본마다 크기 차이가 상당히 나는 것이 특징인데, 학자들에 따르면 이러한 차이는 유체부터 성체에 이르기까지 제각기 다른 성장 단계의 개체들을 망라한 결과라고 한다. 이처럼 두개골 화석 자료가 상당히 축적된 덕택에 이 녀석은 성장 과정에서 어떤 변화를 겪었는지 조금이나마 추적해볼 수 있는 공룡 중 하나가 되었으며, 연구 결과 다 자란 성체는 대충 몸길이 0.8m에 몸무게는 최대 7kg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는 동시대의 다른 친척뻘 각룡류들에 비하면 다소 작은 덩치로, 이 녀석의 속명도 이 작은 몸집을 반영한 것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플라티케라톱스나 중국 내몽골 자치구에서 마찬가지로 두개골 일부만 발견된 마그니로스트리스(Magnirostris)가 바가케라톱스의 한 개체로 인정되었는데, 이를 토대로 추정한 몸길이는 2.5미터에 몸무게는 175kg이다.[2]

지금까지 발견된 각룡류 중에서는 꽤나 늦게 출현한 공룡이었지만, 눈 위에는 뿔이 아예 없었고 코 위에도 뿔 대신 조그마한 골질의 융기부만이 확인되는 등 상대적으로 원시적인 각룡류들에게서 발견되는 특징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1975년 이 녀석을 최초로 학계에 소개한 연구진들은 이 녀석을 프로토케라톱스과의 일원으로 분류하였으나 2003년 이 녀석을 바가케라톱스과라는 별도의 분류군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현재는 이 녀석이 아즈카케라톱스 등의 새로 발견된 원시적 각룡류들과 함께 바가케라톱스과에 속한다고 보는 관점과 여전히 프로토케라톱스과에 속한다고 보는 관점으로 학자들의 입장이 양분되어있다시피 한 상태다.

4. 등장 매체

지니키즈기이한 공룡탐험에 등장한다. 귀여운 막내 포지션으로 바가라는 이름이 있으며 주인공 일행에게 귀여움을 독차지하며 주인공 일행을 도와주는 조력자로 나온다. 친구로는 암컷 박트로사우루스와 수컷 타르보사우루스와 이웃 아저씨 닉토사우루스가 있으며 그중에 박트로와는 절친관계이다.[3] 막내답게 이들을 형 누나라고 부른다. 푸근이와 호두에게도 형누나라고 부르는 걸로 보아 나이가 꽤나 어린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작중 굶주린 타르보에게 잡아먹힐 뻔하질 않나, 모래 폭풍에 휩쓸려 기억상실증에 걸리질 않나, 말리보사우루스에게 살해당할 뻔하질 않나, 어둠의 마법사의 계략에 휘말리는 등 그 어린 나이에 온갖 수난을 겪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일례로 한 때 프로토케라톱스속의 코즐로브스키종(P. kozlowskii)으로 분류되었다가 1990년에 브레비케라톱스(Breviceratops)라는 별도의 속으로 독립해나간 화석 표본들은 현재 2003년부로 플라티케라톱스(Platyceratops)속의 모식표본으로 지정된 화석 한 점을 제외하면 전부 바가케라톱스 아성체의 것으로 재동정되었다.[2] Paul, Gregory S. (2016).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83. ISBN 978-1-78684-190-2. OCLC 985402380.[3] 육식공룡인 타르보는 어느 날 늪에 빠진 박트로를 동정심을 느낀 타르보가 구해주다가 바가가 그걸 잡아먹는 것으로 착각해 덤벼들다가 타르보가 장난을 치면서 친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