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5부 | |||||
<colbgcolor=#f0ef75,#bd7f14> 삼국지 위지 동이전 | 계루부 | 연노부[1] | 절노부 | 관노부 | 순노부 |
후한서 (주석[2]) | 계루부 | 소노부 | 절노부 | 관노부 | 순노부 |
(중부·내부·황부) | (서부·우부·백부) | (북부·후부·흑부) | (남부·전부·적부) | (동부·좌부·청부) | |
삼국사기 | 계루부 | 비류나부 | 연나부 (제나부[3]) | 관나부 | 환나부 |
[1] 소노부의 오기로 추정된다. [2] 이는 당나라 장회태자가 남긴 주석에 근거한 것이다. [3] 연나부의 오기일 수도 있고, 절노부와 음이 통하는 점을 고려하면 단순 이표기일 수도 있다. |
1. 개요
관노부는 고구려의 다섯 부족인 5부 중 하나로, 초기 고구려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집단이다.고구려가 연맹체 형태였던 시기, 관노부는 주변 소국을 정벌하고 왕위 계승에 개입하는 등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2. 상세
『삼국사기』에 따르면, 태조왕은 관나부 소속 패자 달가를 보내 조나라는 나라를 정벌하게 했으며, 차대왕의 즉위에도 관나부 출신 우태 미유가 도움을 주고 그 공으로 높은 관직인 좌보에 올랐다고 전한다. 이를 통해 당시 관노부가 정치적으로 상당한 세력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하지만 3세기 이후 고구려 왕권이 점점 강해지고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되면서, 관노부를 포함한 기존의 5부 세력은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다. 『삼국지』에는 고구려 동천왕의 어머니가 관노부 출신이라는 기록이 있으며, 『삼국사기』에서는 동천왕이 산상왕과 관노부 여성인 '주통촌녀'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나온다. 이후 관노부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중천왕이 자신의 소실인 관나부 여인을 바다에 던져 죽였다는 이야기로, 이 시기를 전후해 관노부의 세력이 거의 사라졌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