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0:55:53

광분(하스스톤)


1. 개요2. 상세3. 평가
3.1. 사제3.2. 흑마법사
4. 둘러보기

1. 개요

한글명 광분 파일:Hysteria2.png
영문명 Hysteria
카드 세트 광기의 다크문 축제
카드 종류 주문
등급 희귀
직업 제한 사제, 흑마법사
속성 암흑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4
효과 적 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하수인이 죽을 때까지 무작위 하수인을 공격합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저는 제 탈것과 여러 특별한 감정을 공유합니다. 서로 악감정만 쌓고 있지만요."
("My mount and I share a special connection. Just not a good one.")
자이렐라: 모두 날뛰세요! (A rampage!)

2. 상세

광기의 다크문 축제의 미니팩인 다크문 경주에서 출시된 희귀 등급의 이중 직업 카드.

대규모 실성의 축소 버전.[1] 1명에게만 효과를 부여하지만 1번만 공격하는 실성과 달리 죽을 때까지 공격시킬 수 있고 코스트도 낮다.

3. 평가

3.1. 사제

코스트도 낮고 어쨌든 대상으로 지정한 하수인이 죽든가 아니면 그 외의 모든 하수인이 죽든가 하는 두 가지 상황 모두 나쁘지 않아서 조건부 처치기로도 쓸 수 있다. 후술할 OTK 파츠로서의 기능 때문에 출시 초기에 주목받지는 못했으나 성능 자체는 우수하다. 특히 사제의 경우 단일 조건 제압기와 광역 피해 주문 위주의 직업이라 강한 하수인 하나와 약한 하수인 여럿이 있는 필드를 잘 정리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광분은 그런 사제의 아킬레스건을 확실하게 잡아준다. 실성과는 정반대로 고만고만한 하수인만 있는 필드에서는 끽해야 둘 정도밖에 처치하지 못하므로 일장일단이 있지만 실성이 5코스트는 되어야 쓸 수 있다는 걸 감안하면 낮은 코스트로 온갖 필드를 정리할 수 있다는 점은 절대 무시 못할 장점이며, 정리할 수 있는 상황이 너무 많아 템포 덱이 사제를 상대할 때 광분 각을 일일이 피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서 섀도우복싱에도 탁월하다. 이런 장점 덕분에 발매 후에도 모든 사제 덱에서 2장씩 채용 중이다.

최초 발매 시에는 3코스트였으며, 아군 하수인 역시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었다. 그래서 출시 전부터 야생에서 얼어붙은 왕좌의 기사들의 중립 카드들인 흉측한 농사꾼, 죽음예언자와 연계해 7코스트 원턴킬이 연구되었다. # 출시 후에는 파츠를 2장씩 넣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저격이 힘들어서[2] 원턴킬 덱이 흥행하고 있으며, 상대가 원턴킬을 의식해 필드를 깔지않으면 축소술사로 무적이 된 농사꾼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들어 원턴킬을 내버린다.

결국 출시 첫 날부터 우려되었던 대로 야생에 농사꾼 사제와 농사꾼 흑마가 판치면서 개발진 측에서 빠르게 픽스할 것을 예고했고, 19.4.1 패치로 적 하수인에게만 걸 수 있게 너프되었다. 너프 전에는 절정이 발린 아군 하수인에게 발라서 폭힐을 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이 너프의 영향으로 불가능하게 되었다.

20.2.2 패치에서 3코스트에서 4코스트로 너프되었다. 어지간한 미드레인지 덱을 상대로도 필드의 대부분을 지워버리는 강력한 성능으로 악명이 높던 것을 감안하면 너프는 적절하지만 여전히 코스트 대비로는 강력하다는 평이다. 그렇긴 해도 역시 4코스트 정도면 조금 무거워졌기 때문에 템포 덱 상대로 쓰기에 많이 약해졌으며, 이 때문에 1장만 사용하거나 아예 빼 버리는 레시피도 늘었다.

광분 효과를 받은 하수인은 전쟁망치 도전자처럼 최대 30번 공격한다.

3.2. 흑마법사

등장하자마자 야생전에서 흉측한 농사꾼-죽음예언자 OTK에 활용되었던 카드로, 7마나만 되면 언제든 죽을 수 있다는 어이없는 효과 탓에 일주일만에 적만 지정하도록 너프되었다. 그럼에도 흑마법사는 제왕 타우릿산으로 비용을 줄이면 네페르세트 난동꾼-배반-밑작업 후[3] 광분으로 여전히 OTK를 할 수 있다. 흉측한 농사꾼에 비하면 밑작업이 많이 필요해서 쓰기는 쉽지 않지만.

광분에 걸려서 발동되는 강제 공격은 최대 30회까지만 적용된다. 따라서 배반으로 넘겨준 네페르세트 난동꾼에게 광분을 썼을 때 최대 90의 피해를 줄 수 있다.

19.4.1 패치로 적 하수인에게만 걸 수 있게 너프되었다.

20.2.2 패치로 비용이 4로 너프되었다.

4. 둘러보기

스칼로맨스 아카데미 직업 카드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Warrior_64.png
전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Shaman_64.png
주술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Rogue_64.png
도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Paladin_64.png
성기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Hunter_64.png
사냥꾼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Druid_64.png
드루이드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Warlock_64.png
흑마법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Mage_64.png
마법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Priest_64.png
사제
파일:임시 악사2.png
악마사냥꾼
중립 카드 / 전체 카드일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0
, 3.2.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1
, 3.2.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어 번역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원문은 대규모 실성(Mass Hysteria)과 광분(Hysteria)의 이름이 둘 다 Hysteria이다. 따라서 원래는 실성이 옳은 이름.[2] 비겁한 밀고자 등으로 강제로 꺼내죽여도 시체 되살리기로 다시 가져올 수 있다.[3] 네페르세트 난동꾼을 비롯한 적 하수인들을 무력화 저주를 걸어서 적 하수인들을 공격력 0으로 만드는 방법도 있고, 아니면 흑마법사 쪽이 표적 허수아비 같은 공격력 0 하수인을 내놓고 죽음예언자로 면역을 시전하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