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4:39:13

광주 버스 순환01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00>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
[[틀:광주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광주광역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광주광역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광주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순환01-A/B 좌석02 수완03
매월06 진월07 첨단09
파일:광주순환01 순환.jpg
파일:광주 순환01번 현대차량.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A번
기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첫차 05:40 기점
첫차 -
막차 22:10 막차 -
평일배차 10~17분 주말배차 16~20분
운수사명 대원시내버스 인가대수 23대[1]
노선 세하공영차고지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계수초교 → 시청 → 광주종합버스터미널경신여고 → 전남대사거리(동) → 광주역육교교육대 → 산수오거리 → 조선대남광주역 → 남광주농협 → 무등시장입구(남) → 광주국제양궁장 → 원광대한방병원 → 풍암한국아파트 → 마재우체국 → 금호시영아파트 → 운천저수지 → 계수초교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세하공영차고지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주 순환01 노선도(신).png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B번
기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광주광역시 서구 세하동(세하공영차고지)
종점
첫차 05:40 기점
첫차 -
막차 22:10 막차 -
평일배차 10~17분 주말배차 16~20분
운수사명 대원시내버스 인가대수 -[2]
노선 A노선의 역순으로 운행.
중간 출발 정류장
양 방향 남광주역 05:40

2. 개요

세하동에서 출발하여 광주 시내[3]를 한 바퀴 도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A, B)

3. 역사

4. 특징

4.1. 노선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급행간선버스 순환01A, 순환01B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순환01A (↓) 순환01B (↑)
세하동
-
서창농협벽진지점
2126
서창농협벽진지점
2125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
2328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2131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5.18자유공원
2209
5.18자유공원
2210
상무금호아파트
2215
상무금호아파트
2216
계수초교
2230
계수초교
2231
이하 편도 순환 구간
상무대우아파트
2217
한국국토정보공사
2237
시청
2232
시청
2233
버들마을
2192
버들마을
2191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002
광주종합버스터미널
2001
광천치안센터
2004
광천치안센터
2003
경신여고
4434
경신여고
4435
신안교
4339
신안교
4338
전남대사거리(동)
4349
전남대사거리(동)
4348
광주역육교
4540
광주역육교
4541
전대동창회관
4558
전대동창회관
4559
서방사거리
1703
서방사거리
4565
교육대
1706
교육대
4561
풍향시장
1708
풍향시장
4570
산수오거리
1027
산수오거리
1026
법원입구
1056
법원입구
1057
살레시오여고
1017
살레시오여고
1018
조선대
1047
조선대
1048
남광주역
1141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남광주역
1142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양림휴먼시아2차
3079
양림휴먼시아2차
3078
양림휴먼시아1차
3081
양림휴먼시아1차
3080
남광주농협
3207
남광주농협
3208
백운우체국
3091
백운우체국
3093
무등시장입구(남)
3222
무등시장입구(남)
3211
서남하이츠(국제양궁장)
3225
서남하이츠(국제양궁장)
3226
원광대한방병원
2251
원광대한방병원
2252
풍암우미아파트
2262
풍암우미아파트
2263
풍암한국아파트
2266
풍암한국아파트
2267
풍암한신아파트
2268
풍암한신아파트
2269
풍암모아아파트
2258
풍암모아아파트
2259
마재우체국
2245
마재우체국
2246
마재대주아파트
2023
마재대주아파트
2024
서구문화센터
2032
서구문화센터
2031
금호시영아파트
2009
금호시영아파트
2010
CBS방송국
2013
CBS방송국
2014
상무중
2079
금호초교
2076
운천저수지
2088
운천저수지
2089
상무지구입구
2228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상무지구입구
2081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상무쌍용금호아파트
2223
농협운천지점
2213
한국수자원공사
2240
이상 편도 순환 구간
계수초교
2231
계수초교
2230
상무금호아파트
2216
상무금호아파트
2215
5.18자유공원
2210
5.18자유공원
2209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
2131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김대중컨벤션센터(마륵)역(북)
2328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
서창농협벽진지점
2125
서창농협벽진지점
2126
세하동
-
순환01A (↓) 순환01B (↑)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순환버스


[1] 공휴일 20대[2] A번과 차량을 공유한다.[3] 시내라고 하지만 광주광역시가 외곽으로 크게 확장된 현재는 원도심 외곽을 순환하는 형태에 가깝다.[4] 시내버스 노선개편 시행안내, 2017-02-14, 광주광역시북구청[5] 광주, 시내버스 노선ㆍ운행체계 전면 개편, 2016-11-29, 한국일보[6] 순환01번은 서구 구간을 제외한 광주종합버스터미널 ~ 남광주농협에 이르는 상당히 긴 구간을 수완03번과 공유한다. 이 구간에서는 배차가 많고 더 빨리 가는 수완03번에 승객이 몰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7] 현재의 대순환선이 아닌 유스퀘어를 지나는 소순환선 시절의 선형이다.[8] 광주광역시 급행버스들이 가진 특징이기도 하다. 1호선을 제외하고 과거에 세웠던 지하철 계획들이 모두 취소되면서 해당 구간 대부분을 시내버스로 운행 중이다.[9] 유덕역, 마재역, 월드컵경기장역, 풍암역을 제외한 1단계 구간의 모든 역에서 만난다.[10] 1대당 왕복 6~7회로 송암72와 공동 1위[11] 서구763번은 현재 운행 중단[12] RH 땐 그냥 01번과 03번 둘 다 터진다. 대신 터미널에서 목적지가 남광주농협 방향이라면 지원25번이 훨씬 빠르다. 자리도 상당히 널널하다.[13] 정체가 심한 출퇴근 시간대에는 배차 간격이 19~20분까지 늘어지기도 한다.[14] 광주 시내버스 대다수 노선이 가스 충전이나 운행 끝나고 소속 회사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한다.[15] 가스 충전소도 세하공영차고지에서 상무대로 쪽으로 가다 보면 상무CNG충전소가 있어서 충전소 문제도 없다.[16] 예를 들어 세하동이나 김대중컨벤션센터-유스퀘어는 전남대, 광천치안센터 방향인 순환01-A번을 타야 하고, 순환01-B를 타면 남구쪽으로 가서 타면 안 된다. 역으로 유스퀘어에서 마륵역이나 종점을 가려고 하면 순환01-B를 타야 한다.[17] 운천저수지에서 하차 후 도보이용[18] 상무지구입구 또는 농협운천지점에서 하차 후 도보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