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23:06:03

국가비상사태

국가 비상사태에서 넘어옴

1. 개요2. 역사3. 계엄령

1. 개요

국가비상사태(國家非常事態, National Emergency Situation)는 적의 침략이나 내란, 대규모 천재지변의 발생으로 국가의 치안 질서가 중대한 위협을 받아 통상적 방법으로는 공공의 안녕질서 유지가 불가능한 상황일 때 정부수반(대통령, 총리 등)이 선포하는 통치행위라고 할 수 있다. 민·관·군이 힘을 합쳐 대응하기 위한 체제다.

2. 역사

1963년 12월 17일자로 발효된 제3공화국 헌법은 제75조 1항에서 “대통령은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에 있어서 병력으로써 군사상의 필요 또는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계엄을 선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었지만 대통령에 의한 국가비상사태 선포의 법적 근거는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1]

대통령에 의한 국가비상사태가 최초로 선포된 것은 1971년 12월 6일 박정희 대통령에 의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현재 대한민국은 안전보장 상 중대한 시점에 처해 있다며 그 이유로 중공의 ‘유엔’가입을 비롯한 제 국제정세의 급변, 그 틈을 탄 북한의 남침 위협을 들었는데 이에 따라 국가안보를 최우선시하고 일체의 사회불안을 용납치 않으며, 최악의 경우 국민자유의 일부도 유보하겠다는 등 6개항의 특별조치를 발표했다. 하지만 미국조차도 북의 남침 위협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고 반대했다. 비상사태 선포의 직접적 배경은 학생들의 교련 반대 투쟁 및 부정부패 척결시위 등 대정부 투쟁의 고조였다.

민주공화당은 국가비상사태 선포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대통령에게 비상대권을 부여하는[2]국가보위에관한특별조치법’을 12월 21일 국회에 제출하였다. 이 법안은 경제질서에 대한 강력한 통제권한과 언론·출판, 집회·시위, 단체교섭 등 국민의 기본권을 대통령이 독자적으로 제약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노동자들의 기본권리인 단체교섭권단체행동권을 주무 관청의 허가를 받아야만 행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사실상 두 기본권을 봉쇄해 버렸다. 신민당의 특별법 저지투쟁에도 불구하고 공화당 의원들은 일부 무소속 의원들과 함께 12월 27일 새벽 3시 국회 4별관에서 특별법안을 처리·통과시켰다.

국가비상사태선포부터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법 통과는 대통령 1인 권력의 강화를 초래하였고 1972년 10월 유신체제 수립의 기반이 되었다. 국가비상사태는 1979년 10월의 대통령 시해사건(10.26 사태), 1980년 5월 5.18 민주화운동 때의 비상계엄 확대 시기에 또 다시 선포되었다. 문제의 국가보위법은 1981년 12월 17일에 폐지되었다.

3. 계엄령

국가비상사태가 발령될 정도의 상황이라면 특수한 경우(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제외하고서는 이미 해당 지역에 계엄이 선포되었을 것이다.

국가비상사태와 상당한 밀접 관계를 가지고 있는 계엄은 해당 문서를 참고 바람
[1] 과거만 해도 제대로 된 법이 없었지만, 국가비상사태에 해당 되는 전쟁으로 1950년 6월 25일 육군사관학교 2기생은 입교한지 25일 만에 6.25 전쟁이 발발해 사관생 신분으로 전투 후 소위로 임관 했다.# 소위 임관 후에도 전쟁 중 절반 가량이 전사했다.[2] 김수환 추기경이 1971년 12월 24일 밤 성탄 자정미사에서 "비상 대권을 대통령에게 주는 것이 나라를 위해 유익한 일입니까?"라고 일갈했는데 이 부분을 비판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