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황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세조 | 성종 | 무종 |
소예황후 남필 황후 대황후 탑랄해 노한 백요올진 활활륜 속가답사 | 정자정의황후 불루간 홀첩니 | 답랄마팔랄 선자혜성황후 속가실리 완자알 백홀적 인헌장성황후 문헌소성황후 | |
인종 | 영종(英宗) | 진종 | |
장의자성황후 답리마실리 백안홀독 | 장정의성황후 아팔홀도로 이황후(二皇后) 타이지반 황후 | 바부칸 황후 팔불한 역련진팔랄 홀랄 야속 살답팔랄 복안겁리미실 실렬첩목아 철니 필한 속가답리 | |
문종 | 명종 | 영종(寧宗) | |
복답실리 | 팔불사 정유휘성황후 안출한 월로사 불안홀로도 야소 탈홀사 아제리 | 답납야특미실 | |
혜종 | 소종 | 천원제 | |
다나시리 황후 백안홀도 옹기라트 보현숙성황후 목납실리 삼황후 보안홀도 | 오지하슨다리氏 권황후 김황후 | - | |
추존 | |||
월륜태후 | 광헌익성황후 | 홀로륜 | 활리걸담 | 탈홀사 | 첩목륜 | 역련진팔랄 | 불안홀독 | 홀란 | 고야별속 | 역걸렬진 | 탈홀사 | 야수 | 홀로합랄 | 아실륜 | 독아합랄 | 찰합 | 아석미실 | 완자홀도 | 야속간 | 홀답한 | 합답안 | 알자홀사 | 연리 | 독해 | 모개 | 아복합 | 기국공주 | 올걸욱진 | 소단 | 별토출미실 황백비 | 야속륜 황백비 | 현의장성황후 | 패랄합진 대황후 | 양회 | 홀첩니 | 탈렬가나 | 해미실 | 내만진 | 정절황후 | 야속아 | 독특미 | 출비 | 이키레스 | 명리홀도로 화라차 | 소헌원성황후 | |||
원 황제 | }}}}}}}}}}}} |
1. 개요
權皇后(? ~ 1410)
원나라 소종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의 고려 출신 여성으로, 두번째 황후이자 정궁 황후이다.
2. 생애
아버지는 도첨의정승과 찬성사를 지낸 복안부원군 권겸(權謙)이고, 어머니는 전주최씨(全州崔氏)로 최성지(崔誠之)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정승 권부이다. 할머니는 문화류씨로 첨의중찬 수문전대학사를 지낸 학자 문정공(文正公) 유경(柳璥)의 손녀였다.오빠는 사인을 지낸 권화상(權和尙, ?~1356년 5월)이고, 여동생 2명과 밀직부사와 만호를 지낸 남동생 권항(權恒)이 있다. 바로 아래 여동생은 권침(權?)과 결혼했다가 김입견(金立堅)과 재혼했는데, 안동권씨 성화보와 문화류씨 가정보에 전부(前夫)와 후부(後夫)의 이름이 나타난다. 다른 여동생은 원주원씨 원호(元顥)와 결혼했고, 그는 판삼사사 성안부원군(成安府院君)에 봉작되었다.
권황후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1352년 원나라의 황제 순제 토곤 테무르의 아들 아유시리다르 빌레그트에게 바쳐졌다.
福安府院君 權謙,如元納女于皇太子(복안부원군(福安府院君) 권겸(權謙)이 원나라에 가 딸을 황태자에게 바쳤다.)
고려사절요 제26권 공민왕 원년(1352년) 8월.
고려사절요 제26권 공민왕 원년(1352년) 8월.
權謙 ---恭愍初, 以福安府院君如元, 納女于皇太子, 得拜太府監太監.
고려사 열전 權謙
고려사 열전 權謙
아유시리다르 빌레그트의 첫 부인 오지하슨다리가 일찍 죽자, 아유르시리다르는 새 황후를 맞이하지 않고, 권씨를 정궁 황후로 승격시켰다. 슬하에 아들은 없고 딸만 1명과 이름 미상의 아들 1명이 있었으나 아들은 요절했다. 딸은 아리크부케의 5대손 이수데르에게 출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