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4 19:08:24

불루간 대카툰

파일:몽골 제국 및 원나라 문장 white.svg
원 황후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세조 성종 무종
소예황후
남필 황후
대황후
탑랄해
노한
백요올진
활활륜
속가답사
정자정의황후
불루간
홀첩니
답랄마팔랄
선자혜성황후
속가실리
완자알
백홀적
인헌장성황후
문헌소성황후
인종 영종(英宗) 진종
장의자성황후
답리마실리
백안홀독
장정의성황후
아팔홀도로 이황후(二皇后)
타이지반 황후
바부칸 황후
팔불한
역련진팔랄
홀랄
야속
살답팔랄
복안겁리미실
실렬첩목아
철니
필한
속가답리
문종 명종 영종(寧宗)
복답실리 팔불사
정유휘성황후
안출한
월로사
불안홀로도
야소
탈홀사
아제리
답납야특미실
혜종 소종 천원제
다나시리 황후
백안홀도 옹기라트
보현숙성황후
목납실리 삼황후
보안홀도
오지하슨다리氏
권황후
김황후
-
추존
월륜태후 | 광헌익성황후 | 홀로륜 | 활리걸담 | 탈홀사 | 첩목륜 | 역련진팔랄 | 불안홀독 | 홀란 | 고야별속 | 역걸렬진 | 탈홀사 | 야수 | 홀로합랄 | 아실륜 | 독아합랄 | 찰합 | 아석미실 | 완자홀도 | 야속간 | 홀답한 | 합답안 | 알자홀사 | 연리 | 독해 | 모개 | 아복합 | 기국공주 | 올걸욱진 | 소단 | 별토출미실 황백비 | 야속륜 황백비 | 현의장성황후 | 패랄합진 대황후 | 양회 | 홀첩니 | 탈렬가나 | 해미실 | 내만진 | 정절황후 | 야속아 | 독특미 | 출비 | 이키레스 | 명리홀도로 화라차 | 소헌원성황후
원 황제 }}}}}}}}}}}}

원나라의 황후
불루간 대카툰 |卜魯罕
존호 수정황후(綏靜皇后)
시호 없음
비야우트(伯岳吾)
미상
출생 연대 미상
사망 1307년 6월 21일
재위 원나라의 후궁
? ~ 1299년 10월 4일
원나라의 황후
1299년 10월 4일 ~ 1307년 5월
부군 성종
1. 개요2. 생애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卜魯罕
(? ~ 1307)

원나라 성종의 후궁이자 두번째 황후.

1299년 성종의 정비 시린다리 카툰이 죽자 그해 10월 정비로 승격되었으며, 성종의 아들 테이슈를 낳았으나 이듬해 요절했다. 테무르 칸 사후 2개월간 섭정으로 있었으며, 안서왕 아난다를 추대하려 하다가 퀼리그 칸 카이산의 정변으로 축출, 사사되었다.

2. 생애

불루간의 출생 년도와 생일은 미상이다. 그의 할아버지 부카 쿠르겐(不合古咧堅 혹은 普化)은 바야우트부족 출신으로, 칭기즈 칸을 섬기는 천부장 중의 1명이었다. 쿠르겐은 몽골어로 부마라는 뜻으로, 할아버지 부카 쿠르겐의 부인은 이름은 기록에 없어 실전되었지만, 칭기즈 칸 가문의 여성으로 추정된다. 원사 106권에는 훈신으로 나타난다. 부카 쿠르겐은 칭기즈 칸 재위 시, 주치 칸의 아들과 함께 삼림 부족을 정벌하는 전쟁에 참전했으며, 칭기즈 칸과 자무카 사이의 전투인 13익 전투에서도 활약하였다. 일설에는 부카 쿠르겐이 불루간의 할아버지가 아니라 증조부라는 설도 있다. 신원사 104권에 의하면 호는 수정(綏靜)이라 한다.

페르시아계 사서 '집사의 바야우트 부 편에는 바야우트부는 크게 2계통이 있으며, 지다 강 유역에 사는 제데이 바야우트와, 초원에 사는 케헤린 바야우트가 존재한다고 기록된다. 부카 쿠레겐은 이 중 제데이 바야우트부 출신이었다.

불루간의 아버지 툴리쿠스 쿠르겐(Тулис хүргэн, 脱里忽思 혹은 脫思想)의 부인은 칭기즈 칸의 딸과 주치의 딸이었다. 그는 현명하고 슬기로운 성격이었다 한다. 불루간의 유년시절과 초기 생애에 대한 것은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불루간은 부유한 집안 출신이었다.
1295년 입궁하여 성종(成宗) 테무르의 첩이 되고, 1299년 10월 성종 테무르의 정비 시린다리 카툰이 죽자, 성종은 재혼하지 않고 불루간이 곧 정비로 승격, 책봉하였다. 1299년 10월 4일 황후로 책봉되었다. 그는 시린다리 카툰 보다 성종 테무르의 호의, 총애를 받았다 한다.

1305년 그는 성종의 유일한 아들 테이슈(德壽)를 낳아 주었다. 원사 114권 열전에는 시린다리 카툰이 테이슈를 낳았다고 기록했으나, 라시드 웃딘의 집사와 와사프의 와사프 역사에는 바야우트부 출신 불루간 대카툰이 테이슈 태자를 낳았다고 기록하였다. 원나라말 명나라초의 작가 도종의(陶宗儀)가 1366년에 쓴 남촌철정록(南村輟耕録) 혹은 철정록(輟耕録)에 의하면 테이슈 태자는 불루간 대카툰의 소생이라 한다. 원사 114권 열전에는 시린다리 카툰이 테이슈 태자를 낳았다고 기록되었으나, 이는 원사의 다른 기록과 모순된다. 원사 106권의 후비표에는 시린다리 원비 옹기라트씨, 일찍 훙하다. 지대원년(원 무종 원년) 추존시호 정자정의황후이고, 성종묘에 배향했다.(失憐答里元妃弘吉剌氏 早薨 至大元年追尊諡曰貞慈静懿皇后 配享成廟)라는 기록과 원사 174권 제사편에 대덕 11년 무종 즉위.....(이하 중략)..... 선비를 황후로 추존하고 성종실에 부묘했다(大徳十一年 武宗即位.....(이하 중략).....追尊先元妃為皇后、祔成宗室)고 기록되어 있어, 1299년에 시린다리가 황후로 책봉되었다는 원사 114권 열전의 기록과 서로 모순된다. 또한 원사 20권의 1299년 10월 4일 바야우트씨를 황후로 책봉했다(冬十月戊申朔 有事于太廟。壬子 冊伯岳吾氏為皇后)와도 모순된다.

성종은 여타 몽골 군주들과 마찬가지로 주색(酒色)을 즐기는 나쁜 버릇이 있어, 재위 중반부터 건강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1300년 성종의 모후 황태후 코코진(闊闊眞)이 사망한 이후, 성종의 황후 불루간(卜魯罕)이 실권을 장악, 천자(天子)의 대리로 정무를 관장하면서 세력을 신장하였다. 성종은 술과 황음으로 병약하여 여러 병에 자주 걸려 병석에 누웠고, 성종 말년은 대부분 정무를 보기 힘든 상황이 되어 있어, 황후 불루간과 중서성우승상 하라흐슨 등이 테무르를 대신해 정무를 주관하였다.
1304년 1월 불루간은 불교 사찰 천수만녕사(天壽萬寧寺)를 건립하고, 기부하였다.

성종의 병세가 더욱 악화되자 1305년 6월 성종은 자신의 아들 테이슈(德壽)를 황태자에 책봉하는 한편, 둘째형(次兄) 다르마발라(答剌麻人剌)의 아들 카이샨(海山)과 아유르바르와다(愛育黎拔力人達)를 각각 몽고고원과 하남(河南)으로 추방함으로써, 제위계승문제를 매듭짓고자 했다. 여기엔 불루간 황후의 압력이 크게 작용하였다.

1306년 불루간 카툰은 수도 대도에 투멘 황실 사원을 건립하였다.[1] 1306년 불루간 카툰은 다기 카툰과 그의 아들 아유르바르와다를 공격, 회주(懷州, 허베이 성 회맹로 주변)로 추방했다.

본래 불루간은 위구르 계통의 바야우트씨(伯岳吾氏) 출신으로, 다르마발라의 아내이자 가격(家格)면에서 상위였던 옹기라트씨(弘吉剌氏) 출신의 다기(答己)를 경계하고 있었다. 성종이 다기와의 재혼을 검토한 사례도 있었던 만큼, 불루간과 다기의 관계는 내내 불화가 지속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운이 나쁘게도 1306년 성종의 황태자는 친킴(眞金)처럼 부황(父皇)보다도 앞서 요절하고 말았다. 아들 테이슈가 죽고 성종(成宗) 테무르은 후계자를 지명하지 못했다. 성종이 재위 13년만에 아들 없이 병으로 죽은 후, 약 25년간(1307년 ~ 1332년)은 제위계승을 둘러싸고 미증유의 혼란이 계속되었다. 5대(五代)의 분쟁시대조차 이렇게 심한 혼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1307년 1월 성종의 병세가 위중해졌고 다급해진 불루간은 섬서(陝西)에 주둔 중이던 성종의 사촌동생 안서왕(安西王) 아난다에게 사람을 보내, 제위에 등극할 것을 제안했다. 불루간은 좌승상 아구타이(阿忽台)와 손잡고 아난다를 추대하려 했으며, 메릭 테무르 등도 아구타이에게 가담하였다. 아난다는 당시 몽골 서부 지역에 큰 군대가 있었으며, 오고타이가문의 군대, 차가타이 한국의 군대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방어하였다. 불루간은 아난다를 보정(輔政)으로 임명하여 불러들였다.

1307년1월, 성종마저 붕어하였다. 그러나 아난다는 무슬림이었고, 일부 몽골 귀족은 크게 반발했다. 안서왕의 제위 계승에 불만을 품고 있던 우승상 하라하슨(哈剌哈孫)을 비롯한 몽고 왕공(王公)들은 비밀리에 카이샨과 아유르바르와다에게 성종의 서거 사실을 알리면서, 속히 대도(大都)로 귀환할 것을 촉구했다. 퀼리그 칸 카이샨은 성종의 유고 소식을 이미 듣고 대도 근처에 주둔하면서 상황을 엿보고 있었고, 2월, 아유르바르와다가 모친 다기와 함께 국상(國喪) 참례 명목으로 입경(入京)하였다. 이제 불루간 일파와의 일전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3월 2일 선제공격을 감행한 아유르바르와다 일파가 대도를 제압, 불루간파(派) 일당을 일망타진하는데 성공했다. 불루간이 거사를 도모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아유르바르와다가 하루 앞서 선수를 친 것이다. 불루간은 3월 초 쿠릴타이를 계획하고 있었다. 안서왕과 좌승상 아쿠타이(阿忽台)는 처형당했고, 메릭 테무르는 감금당했다가 사약을 받았다. 1307년 3월 초, 아유르바르와다는 불루간을 아난다와 간통했다는 혐의로 황태후에서 폐위되고, 동안주(東安州, 현,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랑팡 시 안치구)로 유배하였다. 그해 5월 불루간은 자진의 명을 받고 죽임을 당했다.

몽골의 사학자 소드벨리크( Ч.Содбилэг)에 의하면 불루간 카툰은 1309년까지도 살아있었다는 설이 있다. 그의 시호 여부는 미상이다.
불루간의 시신의 행방과 장지는 미상이다. 한때 그가 안서왕 아난다와 사통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확실한 근거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라시드 웃딘과 바사프는 그녀가 성종의 독자 테이슈 태자를 낳았다고 기록했으나, 원사에는 테이슈가 시린다리의 소생으로 기록된 이유는 알려진 것이 없다.

1310년 무종 카이산은 성종의 정비 시린다리 카툰을 태묘의 성종묘에 부묘하고, 1310년 10월 혹은 1307년 6월 30일 시호를 추서했다. 그러나 불루간은 태묘에 배향되지 못했고, 시호를 받은 기록은 나타나지 않는다. 원사 성종편에 그의 칭호는 폐황후(廢皇后)로 등장한다.

3. 둘러보기

원사(元史)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de3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181818"
1권 「태조기(太祖紀)」 2권 「태종·정종기(太宗定宗紀)」 3권 「헌종기(憲宗紀)」
패아지근 철목진 패아지근 와활태 · 패아지근 귀유 패아지근 몽가
4·5·6·7·8·9·10·11·12·13·14·15·16·17권 「세조기(世祖紀)」 18·19·20·21권 「성종기(成宗紀)」 22·23권 「무종기(武宗紀)」
패아지근 홀필렬 패아지근 철목이 패아지근 해산
24·25·26권 「인종기(仁宗紀)」 27·28권 「영종기(英宗紀)」 29·30권 「태정제기(泰定帝紀)」
패아지근 애육려발육팔달 패아지근 석덕팔랄 패아지근 야손철목아
31권 「명종기(明宗紀)」 32·33·34·35·36권 「문종기(文宗紀)」
패아지근 화세랄 패아지근 도첩목이
37권 「영종기(寧宗紀)」 38·39·40·41·42·43·44·45·46·47권 「순제기(順帝紀)」
패아지근 의린질반 패아지근 타환첩목이
※ 48권 ~ 105권은 志에 해당. 106권 ~ 113권은 表에 해당. 원사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4><tablewidth=100%><tablebgcolor=#004db1> 114·116권 「후비전(后妃傳)」 ||
광헌익성황후 · 소자황후 · 흠숙황후 · 정절황후 · 소예순성황후 · 남부이 · 정자정의황후 · 불루칸 · 선자혜성황후 · 수케시리 · 장의자성황후 · 장정의성황후 · 바부칸 · 정유휘성황후 · 바부샤 · 부다시리 · 다리예테미쉬 · 다나시리 · 백안홀도 · 보현숙성황후 · 현의장성황후 · 휘인유성황후 · 선의숙성황후 · 소헌원성황후
115권 「예종등전(睿宗等傳)」 117권 「별리고태등전(別里古台等傳)」
타뢰 · 진금 · 감마랄 · 답랄마팔랄 별리고태 · 출적 · 독랄 · 아홀도 · 관철보화 · 첩목아불화
118권 「특설선등전(特薛禪等傳)」 119권 「목화려등전(木華黎等傳)」
특설선 · 패독 · 아랄올사척길홀리 목화려 · 박로출 · 박이홀
120권 「찰한등전(察罕等傳)」 121권 「속불태등전(速不台等傳)」
찰한 · 찰팔아화자 · 출적태 · 진해 · 초내태 · 오야이 · 갈사맥리 속불태(1) · 안축이 · 외답아 · 박라환 · 초사
122권 「파이출아이특적근등전(巴而朮阿而忒的斤等傳)」
파이출아이특적근 · 철매적 · 안찰아 · 암목해 · 풍숙안 · 석리검부 · 삭직돌로화 · 석아길사 · 합산납
123권 「포지아등전(布智兒等傳)」
포지아 · 소열태초올아 · 활활불화 · 배연팔도로 · 아술로 · 소고아 · 아랄와이사 · 초아 · 야포감복 · 조아가반 · 순지해 · 점철발도아 · 겁겁리 · 탑불이아 · 직탈아 · 월리마사 · 날고랄 · 아아사란 · 합팔아독 · 애모
124권 「탑본등전(塔本等傳)」
탑본 · 합랄역합적북로 · 탑탑통아 · 악린첩목이 · 이정(李楨) · 겁렬속가 · 망가산아 · 맹사속
125권 「새전적섬사정등전(賽典赤贍思丁等傳)」 126권 「안동등전(安童等傳)」
새전적섬사정 · 포로해아 · 고지요 · 철가 안동 · 염희헌
127권 「백안전(伯顏等傳)」 128권 「아추등전(阿朮等傳)」
팔린백안 아출 · 아리해아 · 상위 · 토토흡
129권 「내아팔적등전(來阿八赤等傳)」 130권 「철리등전(徹里等傳)」
내아팔적 · 뉴린 · 아랄한 · 아탑해 · 사도 · 이항 연지길태철리 · 불홀목 · 토별연완택 · 아로휘살리
131권 「속가등전(速哥等傳)」
속가 · 낭가알 · 망올태 · 오로적 · 완자도(2) · 백첩목아 · 회도 · 역흑미실 · 배항
132권 「항홀사등전(杭忽思等傳)」
아속항홀사 · 보로합답 · 옥와실 · 맥리 · 탐마적 · 발도아 · 앙길아 · 합랄태 · 사전 · 첩목아불화
133권 「탑출등전(塔出等傳)」
탑출 · 배연 · 야한적근 · 엽선내 · 탈력세관 · 홀날출 · 중희 · 단지아 · 찰랄아태탈환 · 실리백 · 패란해 · 겁렬 · 암백 · 야속태아 · 석도아
134권 「철길사등전(撒吉思等傳)」
철길사 · 월합내 · 석반 · 철련 · 애설 · 활활 · 독홀로 · 당인조 · 타아적 · 화상 · 유용 · 가로납답사 · 활리길사 · 소운석탈홀련 · 알라사 · 타라태 · 야선불화
135권 「철가술등전(鐵哥朮等傳)」
철가술 · 탑출 · 탑리적 · 탑해첩목아 · 구아길 · 홀도 · 패아속 · 월거련적해아 · 아답적 · 명안 · 홀림실 · 실랄발도아 · 아속철리 · 갈랄 · 걸태 · 탈인납 · 내만태화상
136권 「합랄합손등전(哈剌哈孫等傳)」 137권 「백찰한등전(伯察罕等傳)」
합랄합손 · 아사불화 · 배주 백찰한 · 곡추 · 아례해아 · 혁혁저아이정 · 탈열해아
138권 「강리탈탈등전(康里脫脫等傳)」 139권 「내만태등전(乃蠻台等傳)」
강리탈탈 · 연철목아 · 멸아길태백안 · 마찰아태 · 탈탈 내만태 · 타아지 · 타이직반 · 아로도 · 뉴적해
140권 「별아겁불화등전(別兒怯不花等傳)」 141권 「태불화등전(太不花等傳)」
별아겁불화 · 하유일 · 철목아탑식 · 달식첩목이 태불화(太不花) · 찰한첩목아
142권 「답실팔도로등전(答失八都魯等傳)」 143권 「마조상등전(馬祖常等傳)」
답실팔도로 · 경동 · 야속 · 철리첩목아 · 납린 마조상 · 노노 · 자당 · 아영 · 소운석해애 · 태불화(泰不華) · 여궐
144권 「답리마등전(答里麻等傳)」 145권 「역련진반등전(亦憐真班等傳)」
답리마 · 월로첩목아 · 복안철목아 · 성길 · 복수 · 도동 역련진반 · 염혜산해아 · 월로불화 · 달례마식리
146권 「야율초재등전(耶律楚材等傳)」 147권 「장유등전(張柔等傳)」
야율초재 · 점합중산 · 양회중 장유 · 사천예 · 사천상
148권 「동준등전(董俊等傳)」 149권 「야율유가등전(耶律留哥等傳)」
동준 · 엄실 야율유가 · 유백림 · 곽보옥 · 석천응 · 야율독화 · 왕순(王珣)
150권 「석말야선등전(石抹也先等傳)」
석말야선(3) · 하백상 · 이수현 · 야율아해 · 하실 · 학화상발도 · 조진 · 석말명안 · 장영 · 유형안
151권 「설탑랄해등전(薛塔剌海等傳)」
설탑랄해 · 고요아 · 왕의(王義) · 왕옥 · 조적 · 저순 · 왕선 · 두풍 · 석말패질아 · 가타라콘 · 오돈세영 · 전웅 · 장발도 · 장영
152권 「장진형등전(張晉亨等傳)」
장진형 · 왕진 · 양걸지가 · 유통 · 악존 · 장자량 · 당경 · 제영현 · 석천록 · 유빈 · 조유
153권 「유민등전(劉敏等傳)」
유민 · 왕즙 · 왕수도 · 고선 · 왕옥여 · 초덕유 · 석천린 · 이방서 · 양환 · 가거정
154권 「홍복원등전(洪福源等傳)」 155권 「왕세현등전(汪世顯等傳)」 156권 「동문병등전(董文炳等傳)」
홍복원 · 정정 · 이진 · 석말안지 · 알지리 · 정온 왕세현 · 사천택 동문병 · 장홍범
157권 「유병충등전(劉秉忠等傳)」 158권 「요추등전(姚樞等傳)」 159권 「송자정전(宋子貞等傳)」
유병충 · 장문겸 · 학경 요추 · 허형 · 두묵 송자정 · 상정 · 조자량 · 조벽
160권 「왕반등전(王磐等傳)」
왕반 · 왕악 · 고명 · 이치 · 이창 · 유숙 · 왕사렴 · 이겸 · 서세륭 · 맹기 · 염복
161권 「양대연등전(楊大淵等傳)」 162권 「이홀란길등전(李忽蘭吉等傳)」
양대연 · 유정(劉整) 이홀란길 · 이정(李庭) · 사필 · 고흥 · 유국걸
163권 「이덕휘등전(李德輝等傳)」
이덕휘 · 장웅비 · 장덕휘 · 마형 · 정사렴 · 오고손택 · 조병
164권 「양공의등전(楊恭懿等傳)」
양공의 · 왕순(王恂) · 곽수경 · 양환 · 양과 · 왕구 · 위초 · 초양직 · 맹반린 · 상야 · 이지소
165권 「장희등전(張禧等傳)」
장희 · 가문비 · 해성 · 관여덕 · 조갑랄 · 주전 · 공원 · 주국보 · 장립 · 제병절 · 장만가노 · 곽앙 · 기공직 · 양새인불화 · 선비중길 · 완안석주
166권 「왕준등전(王綧等傳)」
왕준 · 수세창 · 나벽 · 유은 · 석고산 · 공언휘 · 채진 · 장태형 · 하지 · 제병절 · 맹덕 · 장영실 · 석말구구 · 초정 · 번즙 · 장균 · 단신저일 · 왕석랄 · 조굉일
167권 「장입도등전(張立道等傳)」
장입도 · 장정진 · 장혜 · 유호례 · 왕국창 · 강욱 · 장초 · 여질 · 담자영 · 왕운
168권 「진우등전(陳祐等傳)」
진우 · 유선 · 하영조 · 진사제 · 진장경 · 조여표 · 요천복 · 허국정
169권 「하인걸등전(賀仁傑等傳)」
하인걸 · 가석랄 · 유합라팔도로 · 석말명리 · 사중온 · 고휴 · 장구사 · 왕백승
170권 「상문등전(尙文等傳)」
상문 · 신도치원 · 뇌응 · 호지휼 · 왕이용 · 창사문 · 장소 · 원유 · 장방 · 학빈 · 고원 · 양식 · 오정 · 양덕규
171권 「유인등전(劉因等傳)」 172권 「정거부등전(程鉅夫等傳)」
유인 · 오징 정거부 · 조맹부 · 등문원 · 조원용 · 제이겸
173권 「최빈등전(崔斌等傳)」 174권 「요수등전(姚燧等傳)」
최빈 · 최욱 · 엽이 · 연공남 · 마소 요수 · 곽관 · 협곡지기 · 유갱 · 야율유상 · 학천정 · 장공손
175권 「장규등전(張珪等傳)」
장규 · 이맹 · 장양호 · 경엄
176권 「조백계등전(曹伯啟等傳)」
조백계 · 이원례 · 왕수 · 왕의(王倚) · 유정(劉正) · 사양 · 하약우 · 조사로 · 유덕온 · 울지덕성 · 진기종
177권 「장사명등전(張思明等傳)」 178권 「양증등전(梁曾等傳)」 179권 「하승등전(賀勝等傳)」
장사명 · 양원규 · 장승 · 장몽해 · 진호 양증 · 유민중 · 왕약 · 왕결 · 송도 · 장백순 하승 · 양타아지 · 소배주
180권 「야율희량등전(耶律希亮等傳)」 181권 「원명선등전(元明善等傳)」 182권 「장기암등전(張起巖等傳)」
야율희량 · 조세연 · 공사회 원명선 · 우집 · 게혜사 · 황진 장기암 · 구양현 · 허유임 · 송본 · 사단
183권 「왕수성등전(王守誠等傳)」 184권 「왕도중등전(王都中等傳)」
왕수성 · 왕사성 · 이호문 · 패출로충 · 이형 · 소천작 왕도중 · 왕극경 · 임속가 · 진사겸 · 한원선 · 최경
185권 「여사성등전(呂思誠等傳)」 186권 「장정등전(張楨等傳)」
여사성 · 왕택민 · 간문전 · 한용 · 이직 · 개묘 장정 · 귀양 · 진조인 · 성준 · 조감 · 장저
187권 「오고손양정등전(烏古孫良楨等傳)」 188권 「동단소등전(董摶霄等傳)」
오고손양정 · 가로 · 녹로증 · 공사태 · 주백기 · 오당 동단소 · 유합랄불화 · 왕영 · 석말의손
189·190권 「유학전(儒學傳)」
조복 · 장수 · 김이상 · 허겸 · 진력 · 호일계 · 황택 · 한택 · 동서 · 안희 · 호장유 · 웅붕래 · 대표원 · 모응룡 · 정저손 · 진부 · 동박 · 양재 · 유선 · 한성 · 오사도 · 주문규 · 주인영 · 진려 · 이효광 · 우문공량 · 합랄로백안 · 섬사
191·192권 「양리전(良吏傳)」
담징 · 허유정 · 허즙 · 전자 · 복천장 · 야율백견 · 단직 · 암도랄 · 양경행 · 임흥조 · 관음노 · 주자강 · 백경량 · 왕간 · 노기 · 추백안 · 유병직 · 허의부
193·194·195·196권 「충의전(忠義傳)」
이백온 · 석규 · 유합랄발도 · 임지 · 야율특말 · 보바르 · 합랄보화 · 유천부 · 소경무 · 장환 · 이보 · 이제 · 곽가 · 저불화 · 주희동 · 변침 · 교이 · 안유 · 왕사원 · 양박 · 조련 · 손총 · 석보 · 성소 · 양승 · 납속랄정 · 백안불화적근 · 번집경 · 전보암철리 · 주당 · 섭병 · 유경손 · 유술조 · 계완택 · 추려 · 패라첩목아 · 팽정견 · 왕백안 · 유준 · 타리불화 · 조야준대 · 진군용 · 복리아돈 · 조해 · 위중립 · 보안불화 · 민본 · 배주 · 조홍의 · 정옥 · 황후 · 백첩목이 · 질리미실 · 박새인불화 · 정호례
197·198권 「효우전(孝友傳)」
왕윤 · 곽도경 · 소도수 · 곽구구 · 장윤 · 전개주 · 영저구 · 필야속답립 · 번연 · 유덕천 · 곽회 · 공전 · 장자기 · 진걸아 · 양일 · 장본 · 장경 · 원선 · 조육 · 호광원 · 진소손 · 조일덕 · 왕사총 · 철철 · 왕응초 · 정문사 · 왕천 · 곽전 · 양호 · 정문충 · 소경조 · 호탁 · 손수실 · 이자경 · 종기 · 조영 · 오호직 · 여병 · 서옥 · 윤신 · 유정양 · 유통 · 장왕구 · 장사효 · 두우 · 장수 · 손근 · 장공 · 자여도 · 왕용 · 황윤 · 석명삼 · 유기 · 유원 · 축공영 · 진사효 · 강겸 · 호반려 · 왕사홍 · 하종의 · 합도적 · 고필달 · 증덕 · 근병 · 황도현 · 사언빈 · 장소조 · 이명덕 · 장집 · 위경익 · 탕림 · 손억 · 석영 · 왕극기 · 유사경 · 여우 · 주락
199권 「은일전(隱逸傳)」
두영 · 장특립 · 두본 · 손철 · 하중 · 무각
200·201권 「열녀전(列女傳)」
왕추추 · 진로화진 · 마영 · 조옥아 · 풍숙안 · 조왜아 · 주숙신 · 갈묘진 · 장의귀 · 이동아 · 탈탈니 · 주면가 · 귀가 · 이지정 · 채삼옥 · 범묘원 · 서채란 · 우숙정 · 진숙진 · 야산홀도 · 여언능 · 반묘원 · 유취가 · 나묘안 · 이새아 · 도종원 · 안정동
202권 「석로전(釋老傳)」 203권 「방기전(方伎傳)」
팔사파 · 구처기 · 전절 전충량 · 근덕진 · 장강 · 이호 · 손위 · 아로와정 · 역사마인 · 아니가
204권 「환자전(宦者傳)」 205권 「간신전(奸臣傳)」
이방녕 · 박불화 아합마 · 노세영 · 상가 · 철목질아 · 합마 · 삭사감
206권 「반신전(叛臣傳)」 207권 「역신전(逆臣傳)」
이단 · 왕문통 · 아로휘첩목아 철실 · 패라첩목아
208·209·210권 「외이전(外夷傳)」
고려 · 탐라 · 일본 · 안남(진조) · 면국 · 점성 · 섬국 · 유구 · 삼서
(1) 121권의 속불태(速不台)와 122권의 설불태(雪不台)는 동일인물이므로 122권에서는 생략한다.
(2) 131권의 완자도(完者都)와 133권의 완자도발도(完者都拔都)는 동일인물이므로 133권에서는 생략한다.
(3) 150권의 석말야선(石抹也先)과 152권의 석말아신(石抹阿辛)은 동일인물이므로 152권에서는 생략한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db1><tablebgcolor=#004db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