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09:37:37

귀참/몬스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귀참
1. 개요2. 일반3. 보스
3.1. 신을 먹는 자
3.1.1. 티아매트3.1.2. 아리만3.1.3. 벨제부브3.1.4. 오딘3.1.5. 하데스3.1.6. 니알랏토텝3.1.7. 티폰3.1.8. 사탄3.1.9. 루시퍼3.1.10. 메피스토펠레스3.1.11. 어비스 가고일
3.2. 일행
3.2.1. 힐러리3.2.2. 우즈메3.2.3. 베로니카&세바스3.2.4. 바사라3.2.5. 오펜하이머3.2.6. 고인쿄
3.3. 대재앙
3.3.1. 염옥마 가고일3.3.2. 빙인마 가고일3.3.3. 뇌정마 가고일3.3.4. 석상마 가고일3.3.5. 쌍룡전함3.3.6. 쌍룡전함 창우3.3.7. 쌍룡전함 천상3.3.8. 쌍룡전함 청우3.3.9. 쌍룡전함 악봉3.3.10. 블리츠 티아매트3.3.11. 헤일 티아매트3.3.12. 로고스 아리만3.3.13. 비즐 오딘3.3.14. 하데스 에레오스3.3.15. 야수신 니알랏토텝3.3.16. 글라시아스 티폰3.3.17. 사탄 이그니스3.3.18. 마수3.3.19. 듀라한3.3.20. 무충의 공주3.3.21. 리바이어던 리히트3.3.22. 오카타 이조
4. 관련 문서

1. 개요

사이버스텝의 온라인 게임 귀참의 등장 몬스터들을 소개하는 항목.

대다수의 몬스터는 사망하면 몸에 검은색 불꽃이 일으키며 소멸한다. 예외로는 로봇형 몬스터인 벤케이 계열이나 인간형 몬스터인 일행(고이코우) 계열 등이 있다.

몬스터들은 공통적으로 몬스터 카드를 드랍하는데, 몬스터 카드를 1개씩 회수할 때마다 그 몬스터에 대한 정보가 20% 증가하며, 5개를 모으면 100%를 달성하면서 그 몬스터에 대한 정보가 완전히 개방된다.

2. 일반

말 그대로 일반 몬스터들. 일러스트와는 다르게 모습 및 속성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3. 보스

말 그대로 보스 몬스터들. 이 중에는 일반 몬스터로도 출현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일반 몬스터들과 마찬가지로 일러스트와는 다르게 모습 및 속성이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일본 신화의 요괴나 신을 모티브로 한 몬스터들이 대부분이다.

3.1. 신을 먹는 자

후술할 일행과 더불어 본작의 주적에 해당하는 보스 계열이다. 일본 서버 명칭은 카미쿠이. 과거 일본을 혼란에 빠뜨렸던 마물들이다. 설정상으로 위의 일반 보스들보다 훨씬 강력한 존재들이다. 인간과 신을 위협했지만 태양신 아마테라스가 만든 3개의 대결계에 봉인당했었다. 하지만 누군가에 의해 대결계 1개가 파괴되어 신을 먹는 자의 봉인이 풀려 주인공이 직접 이들을 쓰러뜨려야 한다. 일반 보스들과는 달리 서양 신화의 요괴나 신을 모티브로 했다.

3.1.1. 티아매트

파일:귀참_티아매트.png

작중 가장 먼저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티아매트이며 말 그대로 머리가 다수 달린 드래곤의 모습을 하고 있다. 튜토리얼에서 도망치는 시즈카 고젠을 위협하다가 주인공(젠키/사쿠라)과 싸우는데, 체력을 0으로 만들면 퇴각한다.

3.1.2. 아리만

파일:귀참_아리만.png

작중 2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는 아흐리만이며 외형의 모티브는 게게게의 키타로 시리즈의 요괴인 백베어드다.

3.1.3. 벨제부브

【혐짤 주의】
파일:귀참_벨제부브.png

작중 3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벨제부브이며 말 그대로 거대한 파리의 모습을 하고 있다. 모델링을 가까이 보면 좀 징그럽다.

3.1.4. 오딘

파일:cs오딘top.jpg

작중 4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오딘. 항목 참고.

3.1.5. 하데스

파일:귀참_하데스.png

작중 5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그리스 로마 신화하데스.

3.1.6. 니알랏토텝

파일:귀참_니알랏토텝.png

작중 6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니알랏토텝.

3.1.7. 티폰

파일:귀참_티폰.png

작중 7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티폰.

3.1.8. 사탄

파일:귀참_사탄.png

작중 8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사탄.

3.1.9. 루시퍼

파일:귀참_루시퍼.png

작중 9번째로 만나는 신을 먹는 자.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루시퍼. 그 정체는 오랜 봉인으로 약해졌던 사탄이 각성한 진정한 모습. 사탄일 때의 말에 따르면 예전엔 신이나 신을 먹는 자나 마찬가지였다고 요괴 도감에 적혀있다.

3.1.10. 메피스토펠레스

파일:귀참_메피스토펠레스.png

이름의 유래 및 모티브는 메피스토펠레스. 본체는 인간인 파우스트. 본작에서 인간이 계약을 통해 신을 먹는 자가 되는 몇 안되는 케이스다.

3.1.11. 어비스 가고일

가고일 중에서 유일하게 신을 먹는 자다. 그 위상에 맞게 가고일 중에서 가장 강하다. 또한 후술할 4마리의 가고일의 수호신으로 볼 수도 있지만 신을 먹는 자다.

3.2. 일행

상술한 신을 먹는 자와 더불어 본작의 주적에 해당하는 보스 계열이다. 신을 먹는 자들을 뒤에서 조종하는 수수께끼의 조직. 일본 서버 명칭은 고이코우. 일반 보스들이나 신을 먹는 자, 후술할 대재앙 보스들과는 달리 이쪽은 인간형 보스들로 이뤄진 세력.

3.2.1. 힐러리

금발에 보라색 양복을 입고 안경을 착용한 여성 일행. 책을 항상 들고 다닌다.

3.2.2. 우즈메

금발에 보라색 비키니 내지는 란제리만 입은 구릿빛 피부의 여성 일행. 검을 무기로 사용한다. 이바라키도지와 맞먹는 수준의 노출도를 자랑한다. 후술할 베로니카와 함께 다니는 일이 많다.

3.2.3. 베로니카&세바스

분홍색 머리에 검은 고스로리풍 옷을 입은 여장남자. 작중 무거운 물건을 옮기다가 혼잣말로 말하던게 근처에 있던 일행들이 들어버렸다. 베로니카는 "나 같이 귀여운 애가 여자일리 없잖아!" 라고 말하며 도망갔다가 이후에 세바스를 타고 일행과 전투를 벌이고 다시 도망간다. 세바스는 베로니카가 탑승하는 로봇이다. 상술한 우즈메와 함께 다니는 일이 많다.

3.2.4. 바사라

청발에 빨간 양복을 입은 슬림한 남성. 창을 무기로 사용한다.

3.2.5. 오펜하이머

백발에 검은 양복을 입은 덩치 큰 남성. 도끼를 무기로 사용하며, 카가에서 첫 등장한다. 이후 티폰과의 싸움 바로 직전에 보스로 등장하여 주인공을 상대한다.

3.2.6. 고인쿄

일행의 리더. 백발에 검은 양복을 입은 보라색 피부의 거대한 중년 남성.

3.3. 대재앙

오니가시마에 있는 치후리에게 기력을 소모하여 들어가는 특별 던전으로, 보스전과 일일 퀘스트 등을 할 수 있다. 6분에 1씩 충전되며 기본적인 상한선이 50이며, 캐릭터 레벨이 51레벨부터 최대치가 1씩 오른다. 기력 완전 회복약을 사용할 경우 최대값만큼 회복하며 초과분은 쌓인다. 기력이 최대일 경우 사용불가. 여기에는 신을 먹는 자를 기반으로 한 파생 보스도 일부 섞여 있다.

3.3.1. 염옥마 가고일

불 속성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는 가고일 보스.

3.3.2. 빙인마 가고일

얼음 속성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는 가고일 보스.

3.3.3. 뇌정마 가고일

번개 속성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는 가고일 보스.

3.3.4. 석상마 가고일

산 속성 포지션을 담당하고 있는 가고일 보스.

3.3.5. 쌍룡전함

3.3.6. 쌍룡전함 창우

3.3.7. 쌍룡전함 천상

3.3.8. 쌍룡전함 청우

3.3.9. 쌍룡전함 악봉

3.3.10. 블리츠 티아매트

3.3.11. 헤일 티아매트

3.3.12. 로고스 아리만

3.3.13. 비즐 오딘

3.3.14. 하데스 에레오스

3.3.15. 야수신 니알랏토텝

3.3.16. 글라시아스 티폰

3.3.17. 사탄 이그니스

3.3.18. 마수

3.3.19. 듀라한

3.3.20. 무충의 공주

3.3.21. 리바이어던 리히트

3.3.22. 오카타 이조

귀참 10주년 기념으로 출시된 신규 대재앙 보스.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