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6:56:32

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금융과 경제생활

금융과 경제생활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2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과목이 일부 계승한 이전 교육과정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2015 개정 교육과정/사회과/고등학교/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도덕·역사과 과목 ('25~ 高1)
공통 과목 (1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융합 선택
■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2027학년도 이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28학년도 ~ 통합사회 · 통합과학 (상대평가) }}}}}}}}}



1. 개요2. 단원
2.1. 행복하고 안전한 금융 생활2.2. 수입과 지출2.3. 저축과 투자2.4. 신용과 위험 관리
3. 여담

1. 개요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과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 중 하나이다. 이전에는 일반 선택 과목 <경제>에 해당 내용이 있었다. '금융과 경제생활' 과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고등학교 융합 선택 과목이다. 학생들이 급변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합리적인 금융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금융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신설되었다.

2. 단원

2.1. 행복하고 안전한 금융 생활

[12금융01-01] 행복하고 안전한 금융 생활에 필요한 금융 정보를 탐색하고 평가하며, 단기와 장기의 관점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금융 의사 결정을 한다.
[12금융01-02] 디지털 금융 환경에서 나타난 금융 서비스의 변화된 특징을 이해하고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12금융01-03] 안전한 금융 거래를 위한 계약(약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금융 사기 예방과 피해 구제를 위해 마련된 주요 금융 소비자 보호 제도를 탐구한다.

2.2. 수입과 지출

[12금융02-01] 소득이 수입의 주요 원천임을 이해하고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탐구한다.
[12금융02-02] 소비 지출과 비소비 지출을 구분하고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실천한다.
[12금융02-03] 예산의 의미와 예산 관리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의 금융 생활에서 예산을 수립⋅점검⋅평가한다.

2.3. 저축과 투자

[12금융03-01] 저축의 경제적 의의와 다양한 저축 상품의 특징을 이해하고 저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다.
[12금융03-02] 기본적인 금융 투자 상품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하고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한다.
[12금융03-03] 저축과 투자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자기 책임의 원칙에 따라 저축과 투자를 결정하며, 활용할 수 있는 예금자 보호 제도와 투자자 보호 제도를 탐색한다.

2.4. 신용과 위험 관리

[12금융04-01] 신용 사용의 결과를 고려한 책임감 있는 신용 관리 태도를 기르고, 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자신의 신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12금융04-02] 위험 관리의 필요성과 위험 관리 방법으로서 보험의 원리를 이해하고, 주요 보험 상품의 특징을 비교한다.
[12금융04-03] 고령 사회에서 노후 설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연금의 종류와 특징을 파악하여 안정적인 노후 대비 계획을 설계한다.

3. 여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