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22:17:00

기아기간토 X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기아기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ギアギガント X.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기아기간토 <ruby>X<rp>(</rp><rt>크로스</rt><rp>)</rp></ruby>,
일어판명칭=ギアギガント <ruby>X<rp>(</rp><rt>クロス</rt><rp>)</rp></ruby>,
영어판명칭=Gear Gigant X,
속성=땅, 레벨=4, 공격력=2300, 수비력=1500, 종족=기계족,
소재=기계족 레벨 4 몬스터 × 2,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기계족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자신 묘지의 레벨 3 이하의 "기아기아"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기계족 하급의 만능 서치에, 스크랩 드래곤형 유언계 효과도 지니고 있는 기아기아의 에이스 몬스터. 에이스 몬스터라지만 스탯이나 효과나 공격적으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카드군 전체의 컨셉인 "전개"에 초점을 둔 몬스터.

다만 주의할 점은, 이 카드는 분명 기아기아와 관련된 카드지만 이 카드 이름이 묘하게 달라서 "기아기아" 카드군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아기아노 Mk-II 등 다른 기아기아 서포트 카드의 대상은 되지 않는다. 아마 2번 효과를 우려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듯.

①의 효과는 패 / 덱에서 기계족 하급 몬스터를 서치 및 샐비지하는 기동효과. 기아기아 한정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기계족 덱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카드의 역사가 기계족 전개 덱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덱에서 용병으로 사용되었다.

첫 번째로 이 카드를 사용한 덱은 머시너즈 가제트 덱이었다. 가제트를 가져오는 것은 기본이고, 머시너즈 기어프레임을 가져와서 머시너즈 포트리스를 서치하거나, 양철 금붕어를 가져와서 2번째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할 수 있어 사실상 테마 카드나 다름없었다.

대상머시가제가 한물 간 이후에 이 카드는 ABC 덱이 이용하였다. 핵심 몬스터인 ABC-드래곤 버스터의 소환에 필요한 없는 카드를 서치해 오기에는 이 카드가 적격이었기 때문. 10기 이후 ABC 덱이 링크 전개 덱으로 바뀐 이후에도, 캐논 솔저를 서치해 FTK 루트에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투입되었으나, 캐논 솔저의 금지 및 다른 링크 전개 덱의 대두로 인해 ABC가 환경에서 도태되면서 이 카드도 빠지게 되었다.[1]

그 이후 한동안 4축 기계 덱이 나오지 않아 이 카드도 실직자 신세였지만, 사이버스톰 액세스 이후에 초중무사가 추가 지원을 받으면서 4레벨 기계족 몬스터를 여럿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다시금 이 카드는 사용처를 찾게 되었다.

초중무사의 몰락 이후로는 Earth Machine 정도만이 유일한 취직처. 원 취직처였던 ABC의 경우 듀얼리스트 팩/휘광의 듀얼리스트 편에서 XYZ+ABC 덱이 지원을 받았음에도,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에 밀려 사용되지 않고 있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 레벨 3 이하의 기아기아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유발효과. 레벨 3 이하의 기아기아는 기아기아노 시리즈 3종뿐. 이중 MK-II와 MK-III는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면 능력치도 시궁창인게 효과도 쓰지 못하는 잉여가 되므로 사실상 유일한 선택지는 MK-I이다. 일단 MK-II나 MK-III밖에 못 살리는 상황이더라도, 이들을 필드 위에 좀 더 살려둘 수 있다면 다음 랭크 3 엑시즈 소환의 발판으로 삼거나 최소한 1회용 수비벽은 될 수 있다. 이 효과는 기본적으로 기아기아 덱에서나 쓸 수 있는 효과지만, 기아기아노 MK-I을 범용 기계족 서포트로서 채용한 경우는 다른 기계족 덱에서도 살릴 기회가 있을 것이다.

일러스트에서 쇄골 부분을 잘 보면 기아기아노와 기아기아노 MK-II가 박혀있는 것이 보인다. 그러나 이 두 카드로는 엑시즈 소환이 불가능하다. 특수 소환 효과가 긴급탈출일지도 이후 나중에 나온 함정 카드 기아기아기아의 효과로 이 둘을 소환하면 레벨이 1 오르기 때문에 실제로 이 카드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2014년 머신기아 트루퍼즈에서 마지막으로 재록된 이후 단 한 번도 재록된 적이 없어 입수 난이도가 매우 높아졌다. 다른 카드들과 달리 이 카드는 11기 말~12기 초 티어 덱인 초중무사가 사용했고, 그 이후에도 Earth Machine 덱이 이용해서 더욱 수요가 높기 때문.

원래는 톱니바퀴 거인이라는 뜻의 기어 기간를 의미하는 이름이었던 듯하나, 한국에서는 일본어 표기를 그대로 옮겨서 기아기간가 되고 말았다. 앞의 "기아"야 뭐 카드군 이름 자체가 기아기아로 번역되었으니 그렇다 쳐도…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2-04-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JP046 | リターン・オブ・ザ・デュエリスト [ RETURN OF THE DUELIST ]
2013-1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S14-JPM30 | デュエリストセット Ver.マシンギア・トルーパーズ
2020-06-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TP-JP210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0 Vol.2
2012-07-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KR046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2012-07-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KR046 | 듀얼리스트 세트 Ver. 머신기아 트루퍼즈
2012-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EDU-EN046 | RETURN OF THE DUELIST
2013-11-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10-EN017 | COLLECTIBLE TIN 2013 WAVE 2
2014-10-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GR-EN035 | GEARGIA RAMPAGE STRUCTURE DECK
2020-11-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GO-EN131 | Gold Series: Maximum Gold
2025-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04-EN188 | QUARTER CENTURY STAMPEDE

4. 관련 카드

4.1. 기아기아노

4.2. 기아기아노 MK-II


[1] 엄밀히 말하면 ABC 덱은 캐논 솔저의 금지 이후에도 메가캐논 솔저를 사용하는 FTK 루트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메가캐논 솔저는 레벨이 5라서 이 카드로 서치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