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22:41:56

김민주(2002)

김민주(야구선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KIA 타이거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6 이성원 · 10 김태형 · 11 조상우 · 20 이준영
· 25 한재승 · 32 김현수 · 33 올러 · 38 장재혁
· 39 최지민 · 43 김건국 · 48 이의리 · 51 전상현
· 53 김기훈 · 54 양현종 · 61 김시훈 · 62 정해영
· 66 이도현
2군
0 곽도규 · 4 유지성 · 13 윤영철 · 17 임기영
· 19 윤중현 · 21 김사윤 · 24 김승현 · 28 이형범
· 30 홍원빈 · 31 박준표 · 37 강동훈 · 40 네일
· 41 황동하 · 46 김정엽 · 49 김민주 · 50 유승철
· 59 양수호 · 60 김도현 · 63 이호민 · 65 성영탁
· 69 김대유 · 02 강이준 · 03 박건우 · 06 장민기
· 012 강병우 · 014 이승재 · 017 김세일 · 018 김경묵
· 022 오규석 · 028 최건희 · 029 나연우 · 030 임다온
· 045 김양수
최종 편집: 2025년 9월 21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
KIA 타이거즈 등번호 49번
김유신
(2021~2024)
김민주
(2025~)
현역
파일:김민주 2025 정면 프로필.png
<colbgcolor=#ea0029><colcolor=#fff> KIA 타이거즈 No.49
김민주
Kim Minju
출생 2002년 9월 8일 ([age(2002-09-08)]세)
서울특별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서울청담초(성동구리틀) - 건대부중 - 배명고 - 강릉영동대
신체 183cm, 85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사우타
프로 입단 2024년 7라운드 (전체 66번, KIA)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24~)
연봉 2025년 / 3,1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KIA 타이거즈
2.2.1. 2024 시즌2.2.2.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배명고 시절 준수한 성적과 140km를 넘나드는 빠른 볼로 지명권 후보에 들었으나 3학년 때 몸상태가 안 좋았고 구속이 하락해 지명은 받지 못했다.

이후 영동대 시절 떨어졌던 구속을 다시 회복하여 최고 148km를 기록했고 변화구도 더 좋아졌다고 한다. 드래프트 직전 최강야구에 출연하였다.[1]

2023년에는 외야수로도 출전한 듯하다.

2.2. KIA 타이거즈

2.2.1. 2024 시즌

2024년 드래프트에서 7라운드 6번째로 KIA 타이거즈에 입단했다. 계약금은 5,000만원. 캔버라-오키나와 스프링캠프 명단에도 들어갔다.

하위픽 신인들 중 유일하게 두자릿수 등번호인 45번을 받았다.

3월 9일 첫 시범경기의 선발 투수로 나온 이의리의 뒤에 이어 신인 중 처음으로 등판했고, 승계주자 실점 없이 이닝을 끝내는 투구를 보였다. 무브먼트가 좋고 제구가 잘 되는 모습으로 보아 잘하면 1군에서 원 포인트로 쏠쏠하게 등판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3월 26일 퓨처스리그 첫 등판 이후 부상으로 빠져있다가 8월 4일 KT 2군과의 경기에서 복귀했다. 현재 퓨처스리그 7경기 1홀드를 기록하고 있다.

퓨처스 복귀하고 7이닝 무실점 평자 0을 기록하면서 9월 1일 확장엔트리 때 1군에 콜업되었다.

9월 27일 한화 이글스전 8회말에서 1군 데뷔 경기를 치렀다. 1, 2루 주자 상황에서 노시환에게 우중간 2루타를 내주고, 채은성에게 볼넷을 내주었지만 이상혁황영묵에게 삼진을 뽑아내면서 무실점을 기록하였다. 최고 구속은 142km/h.

2.2.2. 2025 시즌

시즌을 앞두고 등번호를 49번으로 바꾸었다.

3월 16일 시범경기 삼성 라이온즈전 9회 초에 마무리로 등판하여 1이닝 4K의[2]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후 부상으로 인해 1군과 2군에서 출장하지 못하고 있다.

6월 4일 퓨처스리그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6월 27일 1군 콜업되었다.

6월 27일 잠실 LG전에 등판하여 오스틴을 우익수 플라이 아웃으로 잡으며 1/3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6월 29일 잠실 LG전, 6회말에 등판하여 5타자를 상대하며 1자책점을 기록했다. 처음 1이닝을 공 7개의 적은 투구수로 처리한 뒤 7회말에 멀티 이닝을 책임지기 위해 등판했는데, 상대타자 박동원을 상대로 횡으로 크게 휘는 슬라이더를 이용해 헛스윙 삼진을 이끌어냈고, 다음 타자인 오지환 역시 3구 2루수 땅볼로 잡아냈다. 이후 천성호, 박해민, 신민재에게 차례로 볼넷, 안타, 몸에 맞는 공으로 2사 만루를 허용한 뒤 최지민과 교체됐다. 최지민이 3-유간 땅볼을 유도했으나 타구가 워낙 깊었기에 포구에는 성공한 유격수 박찬호가 송구를 하지 못해 책임주자 1명을 불러들여 1자책점을 기록했다. 주자 출루 이후 흔들려서 2이닝을 막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그 전까지 5타자를 굉장히 잘 잡았으며 빠른 템포 + 괜찮은 제구로 1이닝 정도는 추격/패전조로 쓸만한 모습을 보여줬다.

7월 2일 SSG전 4회초에 등판했다. 저번 등판보다 매우 좋지 못한 모습으로 1이닝 3피안타 2사사구 1탈삼진 3실점을 기록했다. 특히, 패스트볼의 구속이 직전 등판 대비 4km가량이 떨어졌다는 것이 심상치 않아 보이는데 아픈 것인지, 날이 지나치게 더워서인지는 알 수 없는 부분이다. 추가로 저번 경기와 마찬가지로 좌타자 상대로 커브를 던질때 컨트롤이 미숙한지 사구가 하나씩 나오곤 한다. 이후에 기아가 8:5 까지 따라갔던 것을 생각하면 김민주의 부진이 참으로 아쉬울 따름.

7월 3일 이도현과 함께 말소되었다. 어제 투구 이후 팔꿈치 통증이 느껴졌다고. 왜 항상 시범 때 기대주고 시즌 들어와서 너도 다치냐 어제의 급격한 구속하락이 납득이 되는 부분. 반대급부로 임기영과 이형범이 콜업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김민주 투구폼1.gif
최고 143km까지 나오는 무브먼트가 좋은 빠른 구속과 체인지업 슬라이더를 구사하는 사이드암 투수다. 투수로서 완성도 자체가 매우 높아 즉시전력감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제구 또한 나쁘지 않은 편이다[3]. 일각에서는 뱀직구 무브먼트와 투구폼을 보고 임창용을 떠올리기도 한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김민주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4 KIA 2 0 0 0 0 1 9.00 3 0 1 0 2 4.00 182.54 -0.13
KBO 통산
(1시즌)
2 0 0 0 0 1 9.00 3 0 1 0 2 4.00 182.54 -0.13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김민주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IA 타이거즈 등번호 45번
파노니
(2023.7.11.~2023)
김민주
(2024)
위즈덤
(2025~)
}}} ||
[1] 정식 입단은 하지 못했기 때문에 행적은 여담 문단에 서술하고, 별개의 행적 문단은 만들지 않는다.[2] 1루수 서건창의 낫아웃 포구 실패로 인한 1K[3] 최강야구 첫 등판 때 제구가 급격히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 제구가 안 좋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대학 시절엔 오히려 제구가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첫 등판이면서 전국구급 방송임에 긴장해서 그런 걸 수도 있다. 물론 멘탈 관리도 선수에게는 중요한 요소인 점을 감안하면 마이너스 요소가 될 수 있다.[4] 아마추어 야구 취재로 유명한 전상일 기자가 자신의 라이브 방송에서 직접 '고교 시절에는 이슈가 있어 지명되지 못했다, 2023 드래프트 때는 기량이 제대로 올라오지 않아 지명되지 못했다'고 발언하였다. 영상에서 보듯이 고교 시절 미지명 사유를 '학폭'이란 정확한 단어를 쓴 게 아니라 단지 '이슈'라고 두루뭉술하게 언급하였기에 정확히 어떤 이슈였을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5] 다만 해당 선수는 참작할 사유가 있었다.[6] 이로 인해 팬들 사이에서 김민주에 대한 여론은 상당히 좋지 않은 편이다. 트라이아웃 출신도 아닌 아마추어 선수를 고작 1주일 테스트 해보고 방출 결정전이라는 중요한 경기에 등판시킨다는 생각부터 전혀 공감이 되지 않고, 이 프로그램의 취지상 승률 7할이라는 결과가 주 목적이고 영건 성장은 부수적인 것인 만큼 지석훈 때와 같이 은퇴 선수를 불렀어야 맞다는 등 지속적으로 제작진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었다. 조급한 마음에 설득력이 결여된 등장 방식을 택한 장시원 PD의 섣부른 판단이 만들어 낸 실책이었다는 것이 시청자들의 주 의견이다.[7] 심지어 선발 각오를 듣기 위한 인터뷰 촬영 중에 갑자기 이택근 코치의 호출을 받았다.[8] 이미 KIA 타이거즈와 계약한 상태이긴 하지만, 계약은 2024년부터 유효하기에 아직까지는 강릉영동대 소속으로 출전이 가능한 상태이다. 실제로 이날 나왔던 강릉영동대 선수들 중 드래프트에 합격했거나 육성선수 신분으로 프로팀과 계약한 상태임에도 경기에 출전한 선수들에 꽤 있었다.[9] 그 아래로 권은비ㅋㅋ, 김채원ㅋㅋ 같이 같은 그룹 출신들의 이름을 부른다. 해외야구 갤러리발 드립이 퍼진 듯하다.[10] 최강야구 시즌 2 이후 영건들을 필두로 모인 회식에서 프로에 진출한 선수들을 위한 기념품 중 김성근 감독의 책을 각 선수 별 한 마디씩 적어서 주었는데, 김민주에게 전해진 책에는 이름이 김민국으로 쓰여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