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bgcolor=#1a237e><colcolor=#ffffff> 김효수(교수) Hyo-Soo Kim, M.D., Ph.D. | |
| 출생 | 1959년 3월 26일 ([age(1959-03-26)]세) |
| 국적 | |
| 직업 | 의사, 교수, 의사과학자 |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
| 소속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링크 | 킴셀앤진 미래의학연구재단 |
1. 소개
대한민국의 의사, 교수, 의사과학자인 김효수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교수(킴셀앤진 창업자 겸 대표이사)2. 경력
- 2024.09.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
- 2023.01 – 현재: Asia Pacific Society of Cardiology 회장
- 2020.02 – 현재: 킴셀앤진 대표이사
- 2021.01 – 2022.12: 대한심장학회 이사장
- 2020.06 – 2023.03: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의생명연구원장
- 2020.01 – 2020.12: International Vascular Biology Meeting(IVBM)조직위원장
- 2016.10 – 2018.10: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이사장
- 2016.04 – 2018.04: 대한심혈관중재학회 이사장
- 2009.01 –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세포유전자치료센터 센터장
- 2012.07 – 2016.06: 서울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장, 순환기내과장
- 2000.01 – 2002.01: 미국 보스턴 성엘리자베스병원 심혈관연구소 객원교수 줄기세포, 유전자치료
- 1994.03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 1992.09 – 1994.02: 일본 동경대학 의학부 제 3내과 객원연구원 분자세포생물학
- 1991.05 – 1992.08: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전임의
- 1988.04 – 1991.04: 육군 휴전선 101여단, 국군지구병원 군의관, 육군대위
- 1984.03 – 1988.02: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내과전공의
3. 수상
- 2021, 2022, 2023년: 함춘 창의 논문상 (임팩트팩터 30이상 논문) 서울대학교병원
- 2021년: 심장대상증후군학회 연구업적상 심장대사증후군학회
- 2019, 2020년: 함춘 창의 논문상 (임팩트팩터 20이상 논문) 서울대학교병원
- 2016년: 함춘 창의 논문상 (임팩트팩터 20이상 논문) 서울대학교병원
- 2016년: 우수연구 유공자 정부포상: 대통령 훈장수여 (근정훈장)관련 기사
- 2014.11: 제 24회 분쉬의학상대한의학회 보도자료 본상 대한의학회
- 2008 ~2012년 서울대학교병원 지석영상 5년 연속 수상(일년 동안의 논문들이 게재된 잡지의 임팩트팩터 합계 1위 상) 서울대학교병원
- 2008.03: 제 1회 아산의학상아산사회복지재단 공식 홈페이지
- 2006.12: 우수연구자상 (장관수여) 보건복지부
- 2006.11: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과학자 (장관수여) 과학기술부
4. 보도 자료
[인터뷰] “딱딱하게 굳은 폐, 비대한 심장…유전자 치료 가능”2025년 11월 9일 김효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교수(킴셀엔진 창업자 겸 대표이사) '유전자 치료 기술 발전 위해 규제 완화해야'
[HIF 2025] “한 번 투여로 끝…유전자 치료, 공정 혁신이 열쇠”
2025년 11월 6일 김효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교수(킴셀엔진 창업자 겸 대표이사) '2025 헬스케어이노베이션포럼(HIF2025)' 강연에서 유전자 치료제 산업의 전망과 과제 소개
[서울대병원] 유전자치료로 폐 섬유증 치료 가능성 열었다
2025년 10월 11일 폐 섬유증을 유전자 치료를 통해 완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 제시
[서울대 연구진] 면역 거부 없는 세포치료제 개발 성공
2025년 9월 29일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간엽줄기세포(E-MSCs)를 활용해 혈관내피세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유도하는 기술 개발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 R&D 우수성과 30선”선정
2025년 7월 10일 김효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교수 '확장성 심근병증’의 병리 기전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심부전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기틀을 마련해 논문 발표와 특허 등록 성과를 달성
[리지스틴 차단 항체] 염증성 장질환 치료 판도 바꾼다
2025년 6월 5일 김효수‘리지스틴 항체를 이용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개발’을 주제로 발표
5. Youtube
* 2025년 11월 6일 김효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교수(킴셀앤진 창업자 겸 대표이사) '유전자 치료법의 새로운 전개 '세포의 형질전환'을 기반으로 하는 심혈관 치료법 개발'* EBS 2025년 11월 6일 김효수 서울대병원 교수 '협심증과 심근경색, 뭐가 다른 걸까?'
* 2020년 12월 김효수 서울대병원 교수 '심근경색 협심증 스텐트 시술받는다고 안심 못한다' 재손상 발생
* 2020년 8월 김효수 서울대병원 교수 '심근경색의 새로운 치료법'
6. 주요 논문
6.1. Resistin
Adipokine resistin is a key player to modulate monocytes, endothelial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leading to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in rabbit carotid arter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1 Jan 4;57(1):99-109.Resistin Impairs Mitochondrial Homeostasis via Cyclase-associated Protein 1-mediated Fission, Leading to Obesity-induced Metabolic Diseases. Metabolism. 2023 Jan;138:155343.
6.2. CAP1
Adenylyl cyclase-associated protein 1 is a receptor for human resistin and mediates inflammatory actions of human monocytes. Cell Metabolism. 2014 Mar 4;19(3):484-97.Resistin Regulates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Humans via the Endocannabinoid System. Research (Washington, D.C.). 2024 Apr 2:7:0326.
6.3. PCSK9
Cyclase-associated protein 1 is a binding partner of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9 and is required for the degrad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s by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9. European heart journal. 2020 Jan 7;41(2):239-252.PCSK9 stimulates Syk, PKCδ, and NF-κB, leading to atherosclerosis progression independently of LDL receptor. Nature Communications. 2024 Mar 30;15(1):2789.
6.4. 기타
Aspirin versus clopidogrel for chronic maintenance monotherap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HOST-EXAM): an investigator-initiated, prospective, randomised, open-label, multicentre trial. Lancet. 2021 Jun 26; 397(10293):2487-2496.Prasugrel-based de-escalation of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HOST-REDUCE-POLYTECH-ACS): an open-label, multicentre, non-inferiority randomised trial. Lancet. 2020 Oct 10; 396(10257): 1079-1089.
Effect of celecoxib on restenosis after coronary angioplasty with a Taxus stent (COREA-TAXUS trial): an open-label randomised controlled study. Lancet. 2007 Aug 18;370(9587):567-74.
Effects of intracoronary infusion of peripheral blood stem-cells mobilised with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on left ventricular systolic function and restenosis after coronary stenting in myocardial infarction: the MAGIC cell randomised clinical trial. Lancet. 2004 Mar 6;363(9411):751-6.
Dual Antiplatelet Therapy After PCI According To Bleeding Risk: The HOST-BR Trial. Lancet 2025 (in pres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