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6:56

강서1·2동/도로

내거로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강서1·2동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bordercolor=#80c342>
파일:청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c342><colcolor=#fff> 1~3 1순환로 · 2순환로 · 3순환로
가경로 · 가로수로 · 가포산로 · 강상로 · 강서로 · 강촌로 · 경산로 · 경신로 · 고락로 · 공단로 · 과상미로 · 과학산업1로 · 과학산업2로 · 과학산업3로 · 과학산업4로 · 과학산업5로 · 관암로 · 국사오산로 · 금계사정로 · 금계장동로
남석로 · 남촌로 · 내거로 · 내곡로 · 내수동로
당곡저산로 · 대농로 · 대신로 · 덕암로 · 동막로 · 동촌로
무심서로 · 문암로 · 미호로 · 미호강변로
백봉로 · 복대로 · 봉명로 · 봉정로 · 부모산로 · 비하로
사운로 · 산단로 · 상신로 · 상정쌍청로 · 서경로 · 서부로 · 서촌로 · 서현동로 · 서현로 · 서현서로 · 서현중로 · 성봉로 · 성재사정로 · 세종로 · 세종오송로 · 세종청주로 · 송절로 · 송화로 · 수의로 · 신기로 · 신성로 · 신율로 · 신전로 · 신정로 · 심동로
에스케이로 · 엘지로 · 오산가좌로 · 오송가락로 · 오송생명1로 · 오송생명2로 · 오송생명3로 · 오송생명4로 · 오송생명5로 · 오송생명6로 · 오송생명7로 · 오송생명8로 · 오송생명9로 · 오송생명10로 · 오송생명11로 · 오송생명12로 · 오송생명13로 · 오송생명14로 · 오송생명15로 · 오송생명로 · 옥산산단1로 · 옥산산단2로 · 옥산산단3로 · 옥산산단4로 · 옥산산단로 · 외북로 · 운천로 · 원터로 · 원평로 · 월명로 · 유성로
장구봉로 · 저산태성로 · 정중연제로 · 주봉로 · 주현로 · 죽천로 · 중부로 · 지동로 · 진재로 · 짐대로 · 증안로
천석로 · 천수로 · 청연로 · 청정로 · 청주역로 · 청향로 · 충대로
태성탑연로
평동로 · 풍년로 · 풍산로
현암로 · 호암로 · 호죽성재로 · 호죽화산로 · 화계로 · 흥덕로
충청북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1. 개요2. 강서1동
2.1. 북부 4동 (부모산 이북)
2.1.1. 지동동
2.1.1.1. 지동로 (직지대로 214)2.1.1.2. 고락로 (직지대로 80)
2.1.2. 서촌동
2.1.2.1. 서촌로 (직지대로 21)2.1.2.2. 동촌로 (직지대로 161)2.1.2.3. 강촌로 (직지대로 32)2.1.2.4. 내거로 (직지대로 22)2.1.2.5. 신기로
2.1.3. 정봉동 (없음)2.1.4. 신촌동 (없음)
2.2. 동부 3동 (중부고속도로 동쪽)2.3. 남부 6동 (부모산 이남)
2.3.1. 석소동 (없음)2.3.2. 휴암동2.3.3. 수의동
2.3.3.1. 수의로 (가로수로 804)2.3.3.2. 강상로2.3.3.3. 유성로2.3.3.4. 청정로
2.3.4. 신전동
2.3.4.1. 신전로 (가로수로 942)
2.3.5. 현암동
2.3.5.1. 현암로
2.3.6. 동막동
2.3.6.1. 동막로
3. 강서2동
3.1. 서부
3.1.1. 신성로 [신성동]3.1.2. 평동로 [평동]3.1.3. 남촌로 [남촌동]
3.2. 중부
3.2.1. 내곡로 [내곡동] ★3.2.2. 상신로 [상신동]3.2.3. 외북로 [외북동] (개발)3.2.4. 화계로 [화계동] (개발)
3.3. 동부
3.3.1. 문암로 [문암동]3.3.2. 원평로 [원평동]3.3.3. 송절로 [송절동]
3.3.3.1. 원터로 (개발)3.3.3.2. 신정로 (개발)
3.4. 신 도로 (2019년~)
3.4.1. 송화로 (송절동)

1. 개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1동/강서2동의 도로를 모아둔 문서.

2. 강서1동

강서1동에는 총 13개의 동이 있고 동마다 대체로 1~2개 정도의 로를 지니고 있어 23개의 길이 소재해있다. 위 표에서는 강서로가 보조 간선도로로 빠져서 22개. 정봉동·신촌동·석곡동·석소동·휴암동 5개 동에는 동 이름을 딴 길이 존재하지 않는다.

2.1. 북부 4동 (부모산 이북)

2.1.1. 지동동

2.1.1.1. 지동로 (직지대로 214)
서청주IC 서쪽의 지동1구 정류장에서 남쪽으로 빠지는 길.
2.1.1.2. 고락로 (직지대로 80)
지동2구 정류장에서 남쪽으로 빠지는 길. 지동로의 지동1구와는 서쪽으로 800m 가량 떨어져있다.

2.1.2. 서촌동

2.1.2.1. 서촌로 (직지대로 21)
남북으로 길쭉한 서촌동의 서쪽 마을을 지나는 길이다.

서쪽 신촌동과는 직선 거리로 가까운 위치에 있으나 중간에 충북선과 동산을 끼고 있다. 서촌로 북쪽에서 충북선을 건너는 건널목이 있다.#

2015년 경에는 남쪽 부분에서 507번 지방도충북선입체교차하도록 공사하고 있다. 고가도로로 지어져 서촌로는 굴다리 식으로 지나갈 수도 있고, 해당 서촌로 구간이 아예 없어질 가능성도 있다.
2.1.2.2. 동촌로 (직지대로 161)
충북선 인근의 서촌동과 가로수로 북부의 지동동을 동서로 잇는 도로.

남촌동(강서2동)의 남촌로, 서촌동의 서촌로와는 달리 동촌동이라는 마을은 없다. 대신 인근에 자연부락 지서마을을 지난다.

서촌초등학교가 이 길 변에 있다(동촌로 126).

서촌로와 마찬가지로 원래는 청주역로와 만났으나 507번 지방도 입체교차 공사에 따라서 공사 후에는 교차할지 어쩔지 아직은 알 수 없다.
2.1.2.3. 강촌로 (직지대로 32)
본래 수의동 강촌마을에서 북쪽으로 올라오는 길이었으나 3순환로로 인하여 강촌마을과는 굴다리로 이상한 모양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3순환로로는 매립장교차로를 통해 진입할 수 있다.

강서1동의 길 중에서 강내면을 지나는 몇 안 되는 길이기도 하다.
2.1.2.4. 내거로 (직지대로 22)
강촌로에서 약 100m 서쪽을 지나는 남북축의 길. 길이 1.8km(178번). 140번대 남쪽부터는 흙길로 변하다가 강촌로로 합류한다.

강촌로 합류 지점의 그 좁은 산책길 같은 진입로를 보면 청주시가 로급 도로에 얼마나 관대한지 알 수 있다.# 사실 동이라서 로급으로 붙었지 이웃 강내면 같았으면 길로 이름이 붙었을 것이다.
2.1.2.5. 신기로
남북으로 길쭉한 서촌동의 동쪽 마을을 지나는 길이다. 석남천을 지나 신성동 신성로로 통한다. 원래는 세남천교라는 다리만 있었는데 2015년에 신성로와 신기로를 잇는 다리가 새로 지어졌다.

서촌동 서쪽의 서촌로 일대와는 직접적으로 통하지 않고 동촌로를 통해서만 연결된다.

2.1.3. 정봉동 (없음)

2.1.4. 신촌동 (없음)

2.2. 동부 3동 (중부고속도로 동쪽)

2.2.1. 강서동

2.2.1.1. 강서로 (2순환로 1242)
2.2.1.2. 호암로
남쪽 석곡동과의 경계에서 지금의 강서지구(서현로) 서쪽 끝을 이어주는 길. 그런데 2015년 경에 서부로가 정비되면서 강서지구로 통하는 길로 서부로1101번길이 신설되어 호암로의 1/3 정도가 잘려나갔다. 100~140번대는 이제 서부로1101번길로 취급된다.

2.2.2. 석곡동

2.2.2.1. 남석로 (서부로 1100)
석곡동과 남이면 남이외천리를 이어준다고 해서 앞글자를 딴 이름의 길. 사실 석곡동도 예전에는 남이면이었는데 1973년 강서면에 편입된 것이다. 만약 남이면에 계속 남아있다가 청주·청원 통합으로 도농복합시가 되었다면 청주시에서는 읍면 단위에서는 'OO-OO로' 식의 이름을 선호하기 때문에 '석곡외천로' 식으로 이름이 붙었을 수도 있다.

2.2.3. 비하동

2.2.3.1. 부모산로 (2순환로 1066)
2.2.3.2. 청향로 (2순환로 1084)
2.2.3.3. 주봉로 (가로수로 1079)
2.2.3.4. 비하로 (가로수로 1161)

2.3. 남부 6동 (부모산 이남)

파일:Ganseo1-1.jpg

남쪽 남이면과는 서부로를 경계로 하고 있다.

수의동·신전동·현암동·동막동은 각각의 이름을 딴 수의로·신전로·현암로·동막로가 서로 교차하여 도로상으로도 인접해있다.

2.3.1. 석소동 (없음)

석소동은 서쪽에 가로수로를 통해서만 이어지며 석소동만을 지나는 마을길은 없다. 석소동을 지나는 길은 가로수로 725번길로 지정되어있다. 남쪽에 754번길도 있으나 마을은 없고 작은 집들만 있다.

2.3.2. 휴암동

'휴암로'는 없고 남쪽부터 이어지는 신전로가 휴암동까지 이어져 가로수로로 통한다.
2.3.2.1. 관암로 (가로수로 999)
대한적십자사 충북지사가 있는 일대에서 북쪽으로 부모산 기슭으로 올라가는 길. 관암절 방죽을 지난다.
2.3.2.2. 가포산로 (가로수로 900)
휴암동을 동서로 가르는 길.

2.3.3. 수의동

남북을 가로지르는 수의로를 중심으로 서쪽의 청정로, 동쪽의 유성로가 십자로를 이루고 있다.
2.3.3.1. 수의로 (가로수로 804)
강촌마을이 있는 강상로 시작지점 반대편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길. 현암동 현암 마을에서 현암로와 만나면서 끝난다. 이후 도로명은 현암로로 부여돼있는, 현암 마을을 낀 짧은 구간을 지나면 동막로가 갈라져 나간다.

전반적으로 수석천 서쪽 변을 따라가다가 남쪽으로 언덕을 넘어 현암동에 이른다.
2.3.3.2. 강상로
강촌마을 진입로. 충렬사 정류장 인근에서 북쪽으로 올라간다.
2.3.3.3. 유성로
강상촌분기점 즈음에서 수의동 마을회관 정류장 앞(수의로 115)에서 수의로와 합류하는 길. 가포산로와 비슷하게 3순환로 공사와 더불어 강상촌분기점이 생기면서 가로수로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게 되었다. 가포산로와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2.3.3.4. 청정로
수의도장골 정류장(수의로 96)에서 서쪽으로 뻗는 길. 서쪽 산너머 강내면 월곡리의 상월곡길과 통한다.

2.3.4. 신전동

2.3.4.1. 신전로 (가로수로 942)

2.3.5. 현암동

2.3.5.1. 현암로
신전로와 직결하여 남북으로 내려가는 길. 서부로 671 지점에서 끝난다. 대부분 농로이며 현암 마을과 진다리 마을을 잇는다. 현암 마을을 끼고 아스팔트 포장이 된 짧은 구간은 사실상 수의로, 동막로의 직결 구간 역할이다.

2.3.6. 동막동

2.3.6.1. 동막로
동막동을 휘감아들어가는 길. 현암동에서 언덕을 넘어와 오동천을 따라가다, 북쪽으로 꺾으며 오동천과는 멀어진다. 그리고 여기서부터 길은 더더욱 좁아진다.

동막로361번길이 서쪽 강내면의 다락리의 다락탑연길과 만난다.

'동막로175번1길'이라는 희한한 이름이 붙은 길도 있다. 길은 있는데 그 길로 주소가 붙은 집은 2018년 기준으로는 없는 듯.

3. 강서2동

파일:500pxGangseo2.jpg

청주시 교외 권역의 동인 강서2동의 도로. 대부분 왕복 1~2차선의 좁은 길이며, 2순환로3순환로 사이에 존재한다.

도로 대부분이 동 이름을 땄다. XX동에 속한 지역은 전부 XX로가 들어간 주소를 갖도록 도로를 이리저리 꼬아놓은 게 특징. 3순환로를 끼지 않고 북쪽 미호천에 붙어있는 신대동, 이미 전역이 공단으로 개발된 향정동을 제외하면 모두 동 이름을 딴 길이 존재한다. 동 이름을 따지 않은 길로는 원터로와 신정로가 있는데, 이들 길은 송절동에 있다.

이들 동은 동 명칭을 딴 도로를 중심으로 하여 그 외의 길이 거의 지나지 않기 때문에 편의상 강서2동의 개별 동들도 길 밑에 작성한다.

청주시 시내버스는 주로 큰 길을 지나는 편이지만, 이들 교외 구간에서는 두드러지는 큰 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아래의 길들을 대부분 지난다. 그래도 'OO로-번길'로 지선 처리된 길들보다는 'OO로' 쪽이 마을의 중심을 지나기 때문에 주로 그쪽을 지나는 편.

남쪽에 위치한 길들은 청주 테크노폴리스 개발 사업으로 길 대부분이 사라졌다. 해당 길은 위 그림에서 회색으로 표시되어있다. 개발 이후에는 새로운 길들이 신설될 수도 있다.

3.1. 서부

중부와는 중부고속도로로 단절되어있다.

서부의 세 동은 충북선3순환로 북쪽 지역도 포함하고 있기는 하지만 북쪽 지역에는 마을이 없다.

3.1.1. 신성로 [신성동]

평동과는 신성로66번길이 평동로143번길과 통한다.

석남천을 건너 이웃 강서1동 서촌동의 신기로와도 만난다.

같은 명칭의 도로가 대전광역시에도 소재해있다. 신성로 문서 참조. 대전광역시 신성로 역시 신성동에서 땄다.

3.1.2. 평동로 [평동]

동 이름이 '평동'으로 외자이기 때문에 '평동로'로 '동'까지 들어가서 이름이 지어졌다. 이웃 대전에도 비슷하게 '장동로' 식으로 존재. 아무래도 한국에서 '평로' 식으로 길 이름에까지 외자 이름을 지으면 '평로 - 평동'의 연관성을 떠올리기 어려워서인 듯.[1]

마을의 구조는 평동로와 평동로143번길이 삼거리를 이루는 식이다. 위에서 말한 대로 143번길은 신성동으로 통한다.

평동로는 남쪽에서 남촌로와 만난다.

3.1.3. 남촌로 [남촌동]

버스는 지나지 않는다. 평동로와 교차하는 지점에서 918번과 918-1번이 정차한다.

3.2. 중부

3.2.1. 내곡로 [내곡동] ★

강서2동 주민센터가 있는 곳. 남쪽 외북동을 찌르듯이 내려간 부분에 내곡초등학교가 소재해있다.

50번에서 동서축 도로인 문암로와 교차하며, 아래 도로는 모두 문암로로 빠진다.

3.2.2. 상신로 [상신동]

버스는 지나지 않는다.

상신동/원평동은 충북선 북쪽에 마을이 위치한 몇 안 되는 동 중 하나이다.

오창읍으로 통하는 엘지로가 신축되었다. 상신로와 거의 평행한 경로이다.

3.2.3. 외북로 [외북동] (개발)

외북로는 거의 철거되었으며 오창읍으로 통하는 남북축 도로로 엘지로가 신축되었다.

3.2.4. 화계로 [화계동] (개발)

외북로/화계로 일대는 테크노폴리스 사업으로 마을과 도로가 거의 철거되었으며 이 자리에는 공단이 들어올 예정이다. 2순환로의 신 구간이 이 두 동의 동서를 뚫고 지나갈 예정으로, 해당 구간은 에스케이로로 이름지어질 예정이다.

3.3. 동부

3.3.1. 문암로 [문암동]

내곡로에서부터 무심천무심서로까지 동서로 지나는 긴 길. 내곡로-상신로-원평로-원터로가 모두 이 길과 교차한다. 선형은 충북선과 거의 평행하게 약 150m 남쪽으로 떨어진 정도.

충북선 이북은 문암생태공원이 조성되어있다.

북청주역이 이 지역에 설치될 예정이다.

3.3.2. 원평로 [원평동]

3.3.3. 송절로 [송절동]

봉명동과 붙어있는 동. 송절로는 송절동의 최남단 경계가 된다. 송절중학교 역시 최남단에 송절로를 끼고 있다.

테크노폴리스 지웰과 테크노폴리스 푸르지오가 2020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이 문서의 다른 길과는 달리 시가지 최외곽의 포장도로로 번듯한 4차선 도로이다. 그런데 의외로 시내버스는 지나지 않는다. 남북쪽으로 갈라진 월명로, 송절로64번길 등을 이용하자. 본선에는 버스가 서지 않고 지선에만 서는 특이한 길 중 하나.
3.3.3.1. 원터로 (개발)
본래 송절삼거리에서부터 송절방죽과 신정방죽을 끼고 남북으로 진행하던 도로. 본선은 거의 철거되고 원터로29번길만 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근래에는 송화로가 신설되면서 구역의 대부분이 송화로150번길로 대체되었다. 다만 본래 원터로 변의 민가가 모두 철거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2020년대에도 원터로로 주소가 붙은 건물이 남아있다.
3.3.3.2. 신정로 (개발)
동 이름에서 따온 것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신정동'이라는 동은 없다. 강서1동의 신전로[2]와 발음이 유사하여 헷갈릴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길의 존재를 알기도 전에 길 대부분이 사라지고 말았다. 2023년 5월12일 기준으로 통제 되었다. 현재 24년 8월 12일 기준으로 신정로는 공사를하여 새길로 재탄생을 하고 있다.

3.4. 신 도로 (2019년~)

3.4.1. 송화로 (송절동)

테크노폴리스 지웰과 푸르지오의 북단을 지나는 길. 엘지로가 지나는 서쪽 즈음을 시작으로 무심서로까지 약간 북향해가며 동서를 지난다.

2018년 3월 기준으로 다음 지도에서 지도를 확대해도 '송화로'라는 이름은 표기되어있지 않지만 '청주시 송화로'라고 검색하면 표시는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외자 이름에 대한 이러한 특례는 산·강·섬 표기에서도 그러하다. '제주도' 섬을 지칭하는 표현은 '제주 섬'인 반면, '진도' 섬을 지칭하는 표현은 '진도 섬'이다.[2] 신전로는 신전동에서 따온 길이고 버스도 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