냥킹덤 Meow Kingdom にゃん王国 | |
| |
<colbgcolor=#37d,#345><colcolor=#fff> 개발 | 파더메이드 |
유통 | |
플랫폼 | iOS | iPadOS | Android |
ESD | |
장르 | 수집형 RPG |
출시 | |
언어 | 자막 한국어 | 일본어 | 중국어(번체) | 영어 | 스페인어 음성 한국어 | 일본어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nopad> |
냥킹덤 PV |
귀염뽀작 고양이들의 마을로 놀러오세요!
고양이 3남매와 함께 떠나는 우다다다 신나는 모험♬
고양이 3남매와 함께 떠나는 우다다다 신나는 모험♬
파더메이드에서 개발한 수집형 모바일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 냥이, 냥겜으로 불리기도 한다.
2. 특징
전투는 기본적으로 자동 진행이며, 스킬의 발동 타이밍을 플레이어가 정하는 방식이다. 수동으로 플레이어가 직접 스킬을 발동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발동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기본적인 전투 콘텐츠는 스토리와 탐험으로 구분되어 있다. 탐험에는 의뢰, 삐약삐약 대난투, 캣트리, 시련의 유적, 캣츠 아레나, 길드 레이드, 토이 레이드가 있다. 캣츠 아레나는 PvP이며, 나머지 전투는 모두 PvE이다.
용병단 마을을 직접 꾸밀 수 있으며, 꾸미기에 필요한 장식품이나 시설은 전용 재화로 구매할 수 있다. 잘 꾸미면 동물의 숲 시리즈처럼 마을을 예쁘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한정 캐릭터는 없지만, 대체로 과금 요소인 픽업 에픽 캐릭터들이 강세를 보이는 편이다.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에게 높은 장벽은 승급과 레벨업이다. 초반에는 빠른 레벨업이 가능하지만, 게임이 진행될수록 레벨업에 필요한 골드와 경험치 수정이 급격히 늘어나서 레벨업 속도가 느려진다. 레벨 초기화, 동기화 기능이 있어서 고양이 5마리만 수동으로 레벨업하고 나머지 고양이는 레벨을 동기화할 수 있다는 점이 다행. 200레벨 달성 후에는 수동으로 레벨업할 고양이 5마리를 한 번에 레벨업해야 하며, 동기화 고양이만 변경할 수 있다.
3. 메인 메뉴
3.1. 고양이
소지하고 있는 고양이들을 확인하고 육성할 수 있는 메뉴이다. 레벨업, 승급, 장비 및 스킬 강화, 각성, 레벨 초기화, 레벨 동기화로 원하는 고양이를 육성하면 된다.레벨업에는 골드와 경험치 수정, 승급에는 냥소울, 장비 강화에는 강화 가루, 스킬 강화에는 냥젤리, 각성에는 열매가 소비된다.
3.2. 모집
재화를 사용하여 고양이를 뽑는 메뉴이다. 기본적으로 1회당 티켓 1장이나 300젬을 사용하며, 10회를 한 번에 뽑는 것도 가능하다. 티켓이 우선으로 소비되며, 10회 모집의 경우에는 부족한 티켓 1장마다 300젬으로 계산하여 티켓과 젬을 동시에 소비할 수도 있다.모집을 실행하면 캐릭터와 냥소울을 준다. 이미 가지고 있는 에픽 캐릭터가 나올 경우 냥소울 20개를 주며, 승급과 전용 장비 강화가 완료된 캐릭터가 나올 경우 냥소울을 구매할 수 있는 마일리지를 준다.
- 픽업 모집
특정 캐릭터가 나올 확률이 조금 높게 조정되어 있는 뽑기. 픽업 에픽 캐릭터의 확률은 2%이며, 나머지 에픽 등급 캐릭터는 2%/픽업 제외 에픽 캐릭터 개수만큼의 확률이 적용된다.
- 상시 모집
원하는 캐릭터 5개를 위시리스트에 등록하여 확률을 높게 조정할 수 있는 상시 뽑기. 위시리스트에 등록된 캐릭터의 확률은 각 0.5%이며, 나머지 에픽 등급 캐릭터는 1.5%/픽업 제외 에픽 캐릭터 개수만큼의 확률이 적용된다.
3.3. 길드
말 그대로 플레이어 길드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이다. 길드 뽑기, 길드 레벨업, 길드 레이드, 길드원 도움으로 길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길드 레벨이 오르면 공격력, 방어력, 체력을 올려주는 버프가 적용된다. 단 캣츠 아레나는 길드 버프 적용 대상에서 제외.3.4. 탐험
스토리를 제외한 PvE, PvP 전투를 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의뢰 게시판
캐릭터를 설정해서 의뢰 수행에 보내면 일정 시간 이후 골드와 경험치 수정을 얻을 수 있다.
- 삐약삐약 대난투
수상한 동굴에서 몰려오는 병아리 떼를 처치하면 된다. 경험치 수정, 냥젤리, 배틀 코인을 얻을 수 있다.
- 캣트리
AI 봇으로 구성된 파티와 전투하는 퀘스트. 후반으로 가면 전용 장비를 장착한 봇도 등장한다.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골드, 강화 가루, 배틀 코인을 얻을 수 있다. 특정 스테이지에서는 상시 모집 티켓도 준다. 특정 스테이지 돌파 이후에는 매일 1회 젬과 강화 가루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시련의 유적
이면 세계의 캐릭터와 전투하는 개인 보스전. 1~3 스테이지에서는 다이노 스크래쳐, 4~6 스테이지에서는 냥드라고라가 등장한다. 7~12 스테이지에서는 해피, 세실리아, 체페슈가 매일 번갈아 등장하고 13~17 스테이지에서는 니노, 시저, 테루가 매일 번갈아 등장한다.
- 캣츠 아레나
다른 플레이어가 설정한 캐릭터 파티와 전투하는 PvP 대전. 시즌제로 진행되며 매일 순위에 따른 아레나 코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시즌 종료 시 최종 순위에 따라 젬과 아레나 코인을 얻을 수 있다.
- 길드 레이드
특정 기간 동안 보스 캐릭터와 전투하는 길드 대항전. 개최 기간 동안 누적된 대미지를 합산하여 길드 순위를 매긴다. 시즌 종료 시 최종 순위에 따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토이 레이드
특정 기간 동안 보스 캐릭터와 전투하는 개인 대항전. 개최 기간 동안 매 전투마다 가한 대미지 중 최고 대미지로 순위를 매긴다. 시즌 종료 시 최종 순위에 따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3.5. 스토리
메인 스토리를 따라 스테이지를 돌파하는 퀘스트. 클리어하면 캐릭터 강화에 필요한 재화를 얻을 수 있다.2024년 12월 13일 업데이트에서 상급자 전용 하드 모드가 추가되었다.
4. 등장 고양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냥킹덤/고양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냥킹덤/고양이#|]][[냥킹덤/고양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평가
5.1. 긍정적 평가
- 고양이 캐릭터
일러스트와 인게임 그래픽이 귀엽고, 퀄리티에 대한 평가가 좋다. 캐릭터마다 부여된 성격과 배경 스토리도 세계관에 걸맞는 특징을 갖고 있어서 미티단, 올가단, 네페단, 아르젠단 등 여러 캐릭터 팬덤이 소소하게 형성되었다.
- 더빙
풀 더빙은 아니지만 캐릭터마다 성우가 있다. 고양이 메뉴에서 음성 듣기 기능을 이용하면 녹음된 대사를 들을 수 있다. 소규모 회사에서 만든 게임이라 중복 캐스팅이 많은건 조금 아쉬운 점.
- 육성 편의성
5개의 캐릭터만 수동으로 레벨업하고 나머지 고양이는 레벨을 동기화할 수 있어서 육성이 편리하다. 간편 착용 버튼을 한 번만 누르면 인벤토리에 있는 가장 높은 티어의 장비를 바로 착용할 수 있으며, 전용 장비는 냥소울을 모아서 강화 버튼만 누르면 따로 신경쓸 것이 없다.
- 소통을 위한 노력
이찬수 대표나 냥킹덤 GM들이 네이버 게임 라운지에서 개발자 노트를 통해 유저 건의 사항을 언급하거나 유저들의 게시물에 직접 댓글을 달며 소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편이다. 그래서 운영 이슈에 대한 불만 사례는 많아도, 운영진 피드백이 직접적으로 불만을 유발한 사례는 거의 없다.
5.2. 부정적 평가
- 버그
업데이트마다 버그가 자주 발생해서 업데이트 직후에는 정상적으로 플레이하는게 어렵다. 서버 패치로 대응 가능한 경우에는 빠르게 수정되지만, 클라이언트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인기 게임들에 비해 패치가 다소 느리다.
- 난이도
메인 스토리 퀘스트가 뒤로 갈수록 고스펙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후반에는 5성이나 200레벨을 달성하지 못하면 클리어가 불가능한 수준까지 도달한다. 이로 인해 스토리 메타에 맞는 일부 캐릭터들이 강제되는 문제가 있다.
- 캐릭터 밸런스
신규 에픽 캐릭터 중심으로 메타가 형성되는 경향이 다른 게임들보다 유독 강하며, 캐릭터 메타가 전투 컨텐츠 유형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아서 심각하게 고착화되어 있다. 특히 미티, 타냐, 아르젠, 레아 등의 최상급 캐릭터들은 보유한 유저와 보유하지 않은 유저의 양극화를 초래할 정도로 과도한 밸런스 파괴를 유발했다. 2025년 2월 17일에 업데이트된 휴르부터 픽업 캐릭터 몰빵 현상이 완화되기 시작했다.
- 소셜 UI/UX
다른 플레이어의 마을에 방문해서 하트를 최대 5개 줄 수 있는데, 시설이나 캐릭터를 각각 눌러서 줘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불편하다. 자신을 팔로우한 유저를 일일이 팔로우해서 맞팔 표시를 확인해야 하는 것도 번거로운 불편 사항. 2025년 3월 28일 업데이트에서 하트를 50개 이상 선물한 유저에게 하트를 한 번에 선물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하트 선물의 불편함이 사라지게 되었다.
6. 문제점
- 잦은 업데이트 사고
업데이트 도중이나 업데이트 적용 후에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사고에 대한 사과 보상은 아쉽지 않을 만큼 넉넉하게 주지만, 게임 이용에 장시간 불편을 겪어야 해서 유저들의 불만이 많다. 정식 출시 6개월 만에 업적 보상 무한 수령 오류가 두 번이나 발생했고, 이로 인해 게임 운영에 대한 평판이 크게 나빠졌다. 2024년 8월 공지 2024년 11월 공지
출시 1주년을 불과 2개월 앞둔 시기에 화면이 버벅거려 게임 플레이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기상천외한 버그가 발생했다. 2025년 4월 공지
- 고인물과 신규 유저의 양극화
레벨업 재화 수급의 한계로 신규 유저 입장에서 기존 유저와 간극을 좁히는 것이 너무 버겁다. 이런 시스템은 신규 유저의 빠른 성장을 권장하는 요즘 수집형 게임들의 패러다임에 완전히 역행하는 특징이다. 캐릭터 승급은 과금과 확률대로 적용되지만 만레벨을 달성하는 것 자체는 점점 쉽게 업데이트하는 추세와 달리 냥킹덤의 레벨업 속도 최대치는 모든 유저에게 동일하다. 그래서 늦게 시작한 유저일수록 PvE든 PvP든 뽑기를 통한 승급과 별개로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밖에 없으며, 신규 유저 유입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로 고인물 유저층이 완전히 콘크리트가 되어버린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는 저레벨 구간에 육성 부스트를 적용하는 업데이트를 했다. 신규 유저 유입으로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조속히 해결해야 할 문제점.
- 캣츠 아레나 집중 공격
캣츠 아레나에서 같은 그룹 안에 있는 특정 유저를 집중해서 공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동일한 유저를 연속해서 공격할 수 있던 문제는 패치로 막혔지만, 두 명 이상의 유저를 정해서 번갈아 공격할 수 있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아서 일방적인 괴롭힘으로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다. 쿠키런: 킹덤이 괜히 아레나에 티어 제도와 랜덤 매칭을 도입한 것이 아니다. 아무리 PvP가 과금과 실력으로 승부를 가르는 콘텐츠라 하더라도 저격 행위가 가능한 매칭 방식은 반드시 개선해야 할 문제점. 해당 문제점에 대한 건의사항[1]
해당 문제점을 반박하는 유저들이 언급하는 '힘의 논리'라는 것은 현실 사회에서 권력을 내포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굉장히 조심스럽게 발언해야 하는 표현이다. 신규 유저들을 대하는 일부 기존 유저들의 태도가 얼마나 고압적인지 느껴지는 대목.
7. 사건 사고
- 루크레시아 전용 장비 수치 오류 사고
2024년 11월 22일 업데이트 이후 루크레시아 전용 장비의 스킬 추가 대미지 계수가 공격력의 300% 이상으로 잘못 적용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2024년 12월 17일에 패치로 수정되었다.
- 팡 업데이트 후 뽑기 오류 사고
2025년 1월 27일 픽업 캐릭터 팡이 등장하면서 발생한 사고. 마을에 방문한 팡과 대화한 후에 고양이 모집, 길드 뽑기, 우편함 수령이 실행되지 않았다. 고양이 모집에 사용한 티켓과 젬은 복구되지 않고 그대로 증발.헐당일 오전 9시 15분에 서버 패치로 수정되었다.
8. 기타
- 파더메이드의 전작인 냥냥 고양이 리조트의 영향을 받았는지 마을 배경과 일부 시설에서 전작을 우려먹은 흔적이 있다.
- 카카오톡에 냥킹덤 유저 오픈채팅방이 있다. 유저 사설 채팅방이지만, 게임에서 채팅방으로 연결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 다만 엄연히 공식 채팅방은 아니므로 채팅방 유저들끼리 일어날 수 있는 사건 사고에 대해 가급적 주의하는 것이 좋다.
결국 캣츠 아레나 집중 공격 문제로 인해 오픈채팅방의 친목질 문제가 공론화되기 시작했다. 처음 문제를 제기한 유저가 친목질 때문에 집중 공격을 당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 오픈채팅방의 고레벨 유저들이 편들기와 여론몰이에 급급해 비추천과 궤변으로 일관하는 추태를 부렸다.
[1] 본문과 댓글에 비추천이 상당히 많이 찍혀 있다. 시스템의 허점에 대한 유저들의 문제 의식이 결여되었다는 방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