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6:36:38

녹색당(대한민국)/지역당

1. 개요2. 지역당
2.1. 경기녹색당2.2. 대구녹색당2.3. 부산녹색당2.4. 서울녹색당2.5. 충남녹색당
3. 지역당 창당준비위원회
3.1. 강원녹색당3.2. 경남녹색당3.3. 경북녹색당3.4. 광주녹색당3.5. 대전녹색당3.6. 울산녹색당3.7. 인천녹색당3.8. 전남녹색당3.9. 전북녹색당3.10. 제주녹색당3.11. 충북녹색당

1. 개요

녹색당(대한민국)의 지역당에 대해 서술한 문서다.

녹색당 강령에 '지역당의 연합체' 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녹색당 내에서 지역당 활동은 활발하게 이뤄지고 강조되고 있다. 선진국의 다른 생태주의적 정당과 마찬가지로 중앙집권형 체제보다는 풀뿌리 민주주의와 지역분권에 신경쓰고 있기 때문. 명칭에서도 광역시도당과 당협을 구분하지 않고, 지역의 이름을 붙여 ○○녹색당으로 명명한다. 예를 들어 타 정당의 서울특별시당이라면 ○○당 서울특별시당 또는 ○○당 서울시당으로 명명하는데, 녹색당은 서울녹색당으로 명명하며 당협의 이름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정당법상 규정된 명칭 사용이 필요한 경우 '녹색당 ○○시당'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충청남도, 경기도에 선거관리위원회 지역당 요건을 갖춘 광역시도당이 있으며, 기타 지역은 창당준비위원회이다. 세종은 아직 창당준비위원회가 없다.

2. 지역당

2.1. 경기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2012년 2월 5일 창당했다. 약 2천여 명의 당원들이 소속되어 있다.

2.2. 대구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2.3. 부산녹색당

가덕도 신공항 건설, 고리원전 수명연장 등 이슈 대응 중이다.

2.4. 서울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서울녹색당은 2012년 9월 15일에 창당해 현재 약 2,000여 명의 당원이 있다.

2.5. 충남녹색당

홍성을 기반으로 한 지역활동이 창당 때부터 꾸준히 있어 왔다.
석탄화력발전소 밀집지역이 있어 탈석탄 탄소중립을 앞당기기 위해 노동계, 환경단체 등과 연대하고 있으며,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에 따른 '노동자가 주체가 되는 정의로운 전환'에도 힘쓰고 있다. 농촌지역 마을공동체를 파괴하는 산업단지, 폐기물매립장 건설 등 현안 대응 중이다.

3. 지역당 창당준비위원회

3.1. 강원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홈페이지

석탄화력발전소, 설악산 케이블카, 송전탑 건설 등 지역 내 개발산업이 많아 이에 대응 중이다.

3.2. 경남녹색당

400여 명의 당원이 있으며, 진주, 창원, 거제 산청, 하동, 함양 등에서 당원 모임이 이루어지고 있다.
충남에 이어 두 번째로 석탄화력발전소가 많은 지역 특성상 탈석탄을 위한 활동이 두드러지며, 부산과 가까이 있기에 탈핵운동에도 결합력이 높다.

3.3. 경북녹색당

2018년, 2022년 지방선거 당시 안동시의원 선거 2인 선거구에서 녹색당 허승규 후보가 각 16%, 18% 득표율을 얻는 등 기초의원 당선에 집중하는 지역당이다. 핵발전소 가동·신설 및 핵폐기물 처리장 문제, 영풍석포제련소 폐쇄 문제 역시 다룬다.

3.4. 광주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3.5. 대전녹색당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2016년 5월 22일 창준위를 발족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용원자로 안전 및 핵재처리실험 문제를 다룬다.

3.6. 울산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2016년 12월 29일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 고리, 월성 핵발전소 운영 감시와 조기 폐쇄를 위한 활동과 감금 돌고래 방류와 같은 동물권 의제까지 다루고 있다.

3.7. 인천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3.8. 전남녹색당

전남 22개 지역에서 280여 명의 당원이 있다. 기후위기와 무분별한 산림개발, 농지 해제, 폐기물처리장 건설 등의 현안에 맞서고 있다.

3.9. 전북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2012년 3월 창당발기인대회를 시작으로 현재 약 330여 당원들이 16개 시, 군, 구에서 활동 중이다. 특히 정읍과 완주 지역 활동이 활발하다.
새만금 수라갯벌 신공항 건설 반대, 한빛노후핵발전소 가동연장 반대, 지리산 산악열차 및 케이블카 설치 반대, 소싸움 폐지 등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10. 제주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홈페이지

2011년 12월 발기인모임을 시작으로 2016년 5월 22일 제주녹색당 창당준비위원회 첫 총회를 열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제주 역사상 최초의 여성 도지사 후보, 그리고 두 명의 비례후보를 내 '정당지지율 4.87%'를 얻었으며, 2022년 역시 여성 도지사 후보와 청년, 청소년 비례후보를 내기도 했다.
제주 제2공항, 하수처리장증설, 비자림로숲, 제주바다 남방큰돌고래 등 환경이슈에 앞장서 대응하고 있다.

3.11. 충북녹색당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인스타그램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블로그

약 200여 명의 당원이 소속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