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3 23:34:58

다케시타 요시에

다케시타 요시에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1px -4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rowcolor=#ffffff> 1982 페루 1986 체코슬로바키아 1990 중국 1994 브라질 1998 일본
랑핑
파일:중국 국기.svg
양씨란
파일:중국 국기.svg
이리나 키릴로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글라 토레스
파일:쿠바 국기.svg
레글라 토레스
파일:쿠바 국기.svg
<rowcolor=#FFF> 2002 독일 2006 일본 2010 일본 2014 이탈리아 2018 일본
엘리자 토구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케시타 요시에
파일:일본 국기.svg
예카테리나 가모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킴벌리 힐
파일:미국 국기.svg
티아나 보스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rowcolor=#FFF> 2022 폴란드 2026 2030 2034 2038
티아나 보스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메이저대회 MVP | 올림픽 · 세계선수권 · 월드컵 · 월드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 그랜드챔피언스컵 · 클럽세계선수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파일:V.프리미어 리그 로고.svgV.프리미어리그 여자부
베스트6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colbgcolor=#b0063a><colcolor=#fff> 2006-07 이노우에 카오리 · 케니 모레노 · 다니구치 마사미 · 사키노 쿠미코 · 하시모토 나오코 · 아나 페레이라
2007-08 아라키 에리카 · 이노우에 카오리 · 기무라 사오리 · 베타니아 데 라 크루스 · 나카미치 히토미 · 옐레나 파블로바
2008-09 기무라 사오리 · 스기야마 사치코 · 장예홍 · 나카미치 히토미 · 모리 마리코 · 시즈카 효도
2009-10 아라키 에리카 · 김연경 · 기무라 사오리 · 사코다 사오리 · 다케시타 요시에 · 야마모토 아이
2010-11 아라키 에리카 · 페르난다 로드리게스 · 김연경 · 기무라 사오리 · 다케시타 요시에 · 야마모토 아이
2011-12 아라키 에리카 · 이시다 미즈호 · 기무라 사오리 · 베타니아 데 라 크루스 · 나카미치 히토미 · 야마구치 마이
2012-13 아라키 에리카 · 오우미 아카리 · 고토 치즈루 · 사코다 사오리 · 나가오카 미유 · 히라이 카나코
2013-14 이와사카 나나 · 사코다 사오리 · 신나베 리사 · 나가오카 미유 · 미야시타 하루카 · 야마구치 마이
2014-15 아라키 에리카 · 오우미 아카리 · 시마무라 하루요 · 신나베 리사 · 나가오카 미유 · 야마구치 카나메
2015-16 이와사카 나나 · 사코다 사오리 · 사토 미야 · 나가오카 미유 · 로렌 파울리니 · 폴리나 라히모바
2016-17 아라키 에리카 · 이시이 유키 · 오노 카나 · 코가 사리나 · 나가오카 미유 · 야마구치 카나메
2017-18 폴루케 아킨라데우 · 아라키 에리카 · 이시이 유키 · 네리만 외즈소이 · 다나카 미사키 ·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MVP · 감투상 · 베스트6 · 신인상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흑취기 전일본남녀배구선수권대회 로고.svg흑취기
전일본남녀배구선수권대회

여자부 베스트6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colbgcolor=#050f4d><colcolor=#FFF> 2000년 ☆ 아다치 루미 · 이케다 사치코 · 이소베 에리코 · ★ 기무라 쿠미 · 하시모토 유키코 · 야마시타 유미코
2001년 오누키 미나코 · 스기야마 사치코 · 다카하시 미유키 · ★ 다케시타 요시에 · 노무라 마리 · ☆ 모리야마 준코
2002년 오토모 아이 · 오무라 카나코 · ★ 쿠마마에 치카코 · 코다마 사치코 · 토미타 네네 · ☆ 요시하라 토모코
2003년 기무라 쿠미 · 사사키 미키 · 다니엘 스콧 · ☆ 다케시타 요시에 · 다니구치 마사미 · ★ 요시하라 토모코
2004년 ★ 아담스 · 아라키 에리카 · 이타바시 메구미 · ☆ 다니구치 마사미 · 호라이 마키코 · 무카이 히사코
2005년 오토모 아이 · 오무라 카나코 · ☆ 오카노 히로코 · 칸다 치에 · 구리하라 메구미 · ★ 프란시엔 후루만
2006년 이타바시 메구미 · 오야마 카나 · 오치아이 마리 · ★ 케니아 카르카세스 · ☆ 미야코자와 미도리 · 요시자와 치에
2007년 오야마 카나 · 카노 미유키 · 구리하라 메구미 · 케니 모레노 · ★ 사키노 쿠미코 · ☆ 다케시타 요시에
2008년 이노우에 카오리 · 신디 론돈 · 다니구치 마사미 · 케니 모레노 · 미나미 사츠키 · 요시자와 치에
2009년 카노 마이코 · ★ 기무라 사오리 · 다니구치 마사미 · 장예홍 · 나카미치 히토미 · 야마모토 아이
2010년 아라키 에리카 · ★ 기무라 사오리 · 사코다 사오리 · ☆ 다케시타 요시에 · 다니구치 마사미 · 야마모토 아이
2011년 김연경 · 기무라 사오리 · 스기야마 사치코 · 다케시타 요시에 · ☆ 나이토 카나코 · ★ 야마모토 아이
2012년 인덴 아이 · 코다이라 카오리 · 사카시타 마이코 · 다니구치 마사미 · 하시모토 나오코 · ☆ 미네무라 사키
2013년 오토모 아이 · 신나베 리사 · ☆ 스기야마 사치코 · 나가오카 미유 · 나카미치 히토미 · ★ 히라이 카나코
2014년 에바타 유키코 · ☆ 사코다 사오리 · 다카다 아리사 · ★ 카나니 대니엘슨 · 히라마츠 미유키 · 후지타 나츠미
2015년 아쿠타가와 아이카 · 오쿠무라 마이 ·☆ 다케다 사키 · 다나카 미즈키 · ★ 나카무라 아유미 · 히라마츠 미유키
2016년 오쿠무라 마이 · 나카무라 아유미 · 다나카 미사키 · ☆ 오우미 아카리 · 시라가키 리사 · 폴리나 라히모바
2017년 이시다 미즈호 · ☆ 우치세토 마미 · 나베야 유리에 · 크리스티안느 퓌르스트 · 미야시타 하루카 · 와타나베 히사에
2018년 ☆ 이마무라 유카 · 우치시마 아카네 · 오가와 안나 · ★ 카나스기 유카 · 다나카 미사키 · 하야시 코토나
2019년 이시카와 마유 · 오노 카호 · 우에사카 루리코 · ★ 야나 쿨랜 · 다나카 미즈키 · ☆ 와타나베 히사에
★ 검은 독수리상 / ☆ 감투상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ee193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rowcolor=#FFF> 득점상 공격상 서브상 블로킹상 세터상 수비/리베로상 리시브상 디그상
1977
포마레스 에가미 유미 차오후이잉 마츠다 노리코 조혜정
1981
하이먼 리에코 아카미노바 쑨진팡 히로세 미요코
1985
미레야 루이스 미츠오 사나에 페레즈 양시란 사토 이치코
1989
미레야 루이스 장윤희 카브라할 나카다 구미 사토 이치코 모니카 루그
1991
미레야 루이스 칼데론 페레즈 마팡 장윤희
1995
바바라 옐리치 미레야 루이스 레페링크 카브라할
1999
바바라 옐리치 소콜로바 아구에로 프란시아 바실레프스카야 소콜로바 히로코
2003
글란카 자오뤼뤼 바로스 메네지스 펑쿤 자비에르 저우쑤훙
2007
스코브론스카 카릴로 산토스 시모나 지올리 포펑 카둘로 사노 유코 사노 유코
2011
데 라 크루스 후커 데 라 크루스 퓌르스트 다케시타 남지연 올리베이라 사노 유코
아래 연도부터 기록상 수상을 폐지하고 베스트팀 수상으로 변경되었다.
2015
김연경 주팅 장창닝 로야스 마르테 코가 카스티요
2019
곤차로바 주팅 니제티치 코롤레바 미야 로빈슨 김해란
MVP · 기록상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ee0191,#fe10a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연도 득점상 공격상 서브상 블로킹상
<colbgcolor=#ee0191><colcolor=#FFF> 2003 최광희 다카하시 미유키 양하오 자오뤼뤼
2005 옐레나 파블로바 추진링 암폰 야빠 린쥔이
2007 옐레나 파블로바 쉐밍 기무라 사오리 플룸짓 틴카오우
2009 김연경 쉐밍 기무라 사오리 쉐밍
2011 김연경 김연경 웨이추웨 양준징
2013 김연경 주팅 김연경 쉬윈리
<rowcolor=#FFF> 연도 세터상 리시브상 디그상 리베로상
2003 다케시타 요시에 장나 판신원
2005 펑쿤 저우쑤훙 천자치
2007 눗사라 톰콤 사노 유코 완나 부아깨오
2009 눗사라 톰콤 완나 부아깨오
2011 다케시타 요시에 남지연
2013 눗사라 톰콤 김해란
MVP · 기록상 · 베스트팀
}}}}}}}}}}}}}}} ||

2008, 2009 FIVB 월드그랑프리 세터상
파일:중국 국기.svg 웨이추웨 파일:일본 국기.svg 다케시타 요시에 파일:미국 국기.svg 알리샤 글래스
}}} ||
파일:staff-takeshita0191007.jpg
<colbgcolor=#f05f93><colcolor=white> 빅토리나 히메지 부사장
다케시타 요시에
竹下 佳江 | Takeshita Yoshie
출생 1978년 3월 18일 ([age(1978-03-18)]세)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모지구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가족 관계 남편 에구사 히로타카[1], 아들(2015년생)
포지션 세터
신체 159cm, 52kg
점프 높이 스파이크 280cm, 블로킹 270cm
국가대표 일본 여자 대표팀 (2000~2012)
소속 구단 NEC 레드 로켓츠 (1996~2002)
JT 마블러스 (2002~2012)
감독 빅토리나 히메지 (2016~2020)
에이전트 아뮤즈

1. 개요2. 경력
2.1. 김연경과 뛰면서
3. 선수 경력
3.1. 클럽 성적3.2. 국가대표 성적3.3. 개인 수상
4.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배구 선수 출신 감독. 16/17시즌부터 2019-20 시즌까지 빅토리나 히메지의 감독직을 맏았고 현재는 빅토리나 히메지의 부사장직을 맡고 있다. 별명은 世界 最小 最強 セッター[2], 텐상.

2. 경력

초등학교 3학년때 3살 많은 친언니의 영향으로 배구를 시작했다.

시라누이 여고 재학 시절, 1995년 청소년 세계선수권대회에 참가하여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1996년 NEC 레드 로켓츠에 입단하였다.

1997년 처음으로 시니어 대표팀에 등록되어 주전 세터 오누키 미나코의 백업으로 승선하였다.

1999-20시즌 NEC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이듬해 2000 시드니 올림픽 세계최종예선에 주전으로 참가하였다.[3] 하지만 이 대회에서 3승 4패로 탈락했다. 일본 여자배구팀이 처음으로 올림픽 진출에 실패하였기 때문에 다케시타에게 돌아오는 비난은 어마어마했다. 세터가 159cm로는 세계에 통하지 않는다며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2001년 그랜드챔피언스컵에 출전해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시드니 올림픽의 출전권을 놓친 후폭풍으로 2002년 NEC를 탈퇴하였고 선수 은퇴를 결심했다.

본인의 고향인 기타큐슈시에 살며 간호일을 배웠으나 당시 JT 마블러스 감독으로부터 다시 배구에 복귀하라는 거듭된 권유 끝에 같은 해 8월 JT에 복귀하여 팀은 1부리그로 승격하였다.

2003년 국가대표팀에 복귀하여 같은 해 열린 월드컵에서 감투상(Fighting Spirit Award)을 수상하였고 2004 아테네 올림픽 본선행에 성공하여 최종 5위라는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

2005년부터 일본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맡았다.

때마침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일본의 황금세대 스기야마 사치코, 아라키 에리카, 구리하라 메구미, 오야마 카나, 기무라 사오리, 사코다 사오리, 에바타 유키코 등과 함께 세계무대에서 선전하였다. 2006년 세계선수권에서 세터로서는 이례적으로 MVP를 수상하였다.[4]

2009년 주장직을 내려놓았고 후임으론 센터 아라키 에리카가 선정되었다.

2009-10시즌 외국인 선수로 입단한 김연경과 찰떡 콤비를 차랑하며 그 시즌 25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그 시즌은 비록 준우승으로 끝났으나 다음해 김연경과 함께 일본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2012 런던 올림픽에 출전하여 본인으로서는 3번 연속으로 올림픽 진출에 성공하였고, 한국을 동메달 결정전에서 이기고 올림픽 메달을 목에 걸어 시드니의 아픔을 씻어내는 쾌거를 이루었다.[5]

같은 해 8월, 영광의 시절을 함께한 JT를 탈퇴하고 휴식을 발표했다.

2013년 5월 현역선수로썬 이례적으로 일본 배구 협회의 이사로 취임했다. 같은 해 8월 은퇴했다.

2016년 2부리그의 빅토리나 히메지 감독으로 취임했다. 히메지는 2018-19시즌 1부리그로 승격하였다.

2.1. 김연경과 뛰면서

김연경이 이렇게 공격수 입맛에 잘 맞게 올려준 세터는 처음이였다고 회상하기도 했다. 아래는 일본 기사에 실린 김연경의 인터뷰.[6]
한국에서 100년에 한 명의 일재라고 불리는 에이스 공격수 김연경과 일본이 세계에 자랑하는 세터 타케시타 요시에. 런던 올림픽에서 일본과 한국을 이끄는 두 명은, 예상외로 같은 장소에 있었다. 니시노미야시에 연고하는 JT마베라스다. 타케시타는 한 번 잃을 뻔한 자신을 JT에서 되찾았고, '09/'10시즌부터 2년간을 JT에서 보낸 김연경은, 터키에 이적해 '11/'12시즌, 유럽 챔피언이 되어 MVP를 획득할만큼 성장했다. 김연경이 JT시대를 되돌아 본다.

「일본에 이적한지 얼마 안된 무렵은, 해외에서 사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굉장히 불안했다. 그렇지만, JT의 2년간이 없었으면 지금의 유럽에서의 활약도 없었고, JT는 지금까지의 배구 인생에서 나를 제일 성장시켜 준 팀이다. 일본의 정확한 정보 분석이나 연습 시스템을, 이시하라 감독을 필두로 하는 스탭 여러분으로부터 배웠고, 일본생활이나 문화에 대해서는 팀메이트에게 배웠다. 아무리 연승을 이어가도, 선수는 언제나 그 이상으로 연습하고, 감독도 안이한 태도를 갖지 않았다. 일본인은 굉장하다.」

김연경이 타케시타로부터 배운, 마지막 1점을 결정하는 중요함.

JT시대는 나의 일생의 보물이라고 말하면서, 한층 더 말을 이어간다.

「특히, 텐(타케시타 요시에)씨로부터, 배우는 것이 많았다. 선수로서의 자세는 물론, 나의 플레이는 텐씨에 의해 살려졌습니다. 나의 공격을 살리기 위해서 매시합 얼마나 상대를 연구하고 준비해 왔는지도 알았고, 마지막 1점을 결정하는 중요함, 무게도 배웠습니다.」

황금기를 이루어낸 김연경

 JT에 이적한지 얼마 안된 무렵, 김연경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세터의 토스를 칠 수 있다고 하는 기쁨과 동시에, 국제 대회에서 보이는 쿨한 분위기의 타케시타와 잘 지낼 수 있을지 불안해했었다. 그러나 상냥한 말을 걸어주고 걱정해주는 타케시타의 모습을 접하고, 시합중의 태도는 포커페이스라는 것을 알았다.

 사석에서도 자주 식사하러 갔다.

「이런 일을 말하면 텐씨에게 야단 맞을지도 모릅니다만, 사석에서는 “아줌마”로 변신합니다. 카리스마 세터 타케시타의 모습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처음에는 코트 안팎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엄청 취했나?라고 생각한 정도입니다. 큰 소리로 웃기때문에, 모습이 안보여도 어디에 있는지 곧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런 텐씨를 더욱 더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은 배구에 대한 사고의 깊이라고 말한다.

흑취기 결전 전야, 코트의 지휘관 타케시타에 작전을 진언.

「 나에게는 반드시 두 명의 블록이 붙는다. 그렇지만 화려한 토스 워크로 상대를 흔들어 줄 뿐만 아니라, 「같은 공격에서도 스피드나 높이를 조금 바꾸어 보자」라든지, 「점프 하기 전의 어프로치가 짧아져 버리면, 상대의 블록이 공격을 읽기 때문에 조심해」와 같은 충고도 들었다. 그렇게 세세한 곳까지 보고 있는지 깜짝 놀랐습니다.」

 1년차때부터 팀의 동료로서 녹아든 김연경은, 25연승이라고 하는 팀 기록을 만들었고, 레귤러 라운드 1위로 파이널 라운드 진출을 결정지었지만, 파이널에서는 토레이(Toray)에0-3의 완패.

 이런 말은 텐씨가 싫어할까,라고 하며 짓궂은 미소를 띄우면서, '10년 5월의 흑취기 결전 전야의 에피소드를 말한다.

작년 5월, 흑취기를 첫제패. 「텐씨에게 전화를 걸어 체육관에 호출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했습니다.「토레이(Toray)가 나를 철저하게 마크하기 때문에, 나를 이용하고, 다른 선수에게 볼을 돌렸으면 좋겠다. 나는 득점왕이라든지 MVP에는 정말 관심없고, 팀으로서 어떻게든 토레이(Toray)에 이기고 싶습니다」라고」

 김연경은 코트의 지휘관에게 작전을 진언 하는 것은 월권 행위라고 생각하고 타케시타가 화를 내지 않을까 두근두근이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타케시타로부터 「 나도 같은 생각이다 」라고 들어 마음이 통하는 것을 느꼈다.

「그 결과로, 1-3으로 또 토레이(Toray)에 패배했지만, 다음 시즌의 리그 우승으로 잘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2년차에는 MVP를 받았습니다만, 본래는 텐씨가 받아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므로, 상금은 JT의 회식에 사용했습니다.팀메이트의 위가 힘이 났으므로, 이어진 5월의 흑취기에서도 우승할 수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3. 선수 경력

3.1. 클럽 성적

3.2. 국가대표 성적

3.3. 개인 수상

4. 여담



[1] 한신 타이거즈 2군 투수코치.[2] 세계 최소 최강 세터[3] 이전 주전이였던 오누키 미나코이타바시 미나코가 부진했기 때문에 기용된것으로 보인다.[4] 하지만 당시 대회가 일본에서 열렸고 일본이 우승한 대회도 아니었기 때문에 다케시타의 MVP 수상에 말들이 많았다. 오히려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가모바가 받아야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가모바는 4년뒤 세계선수권에서 MVP를 수상했다.[5] 공교롭게도 당시 한국팀에는 3년전 JT 마블러스에서 최고의 콤비로 활약한 김연경이 있었다. 또한 다케시타의 엄청난 토스와 경기운영으로 한국이 매번 일방적으로 당하는 입장이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한일전/배구 문서 참조.[6] 출처: [NUMBER] 다케시타 요시에의 10년간을 되돌아본다[7] 다만 프로 데뷔는 한신에서 했고 2012년부터 히로시마에서 뛰다 2017년 현역에서 물러났다.